• 제목/요약/키워드: Yeona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연암 저작 추정서 『익감(翼鑑)』에 관하여 (Ikkam(翼鑑) presumed to be written by Yeonam)

  • 박상영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a newly discovered book whose title is Ikkam (翼鑑) and prepare for a full-scale study. The book, Ikkam, has a variety of contexts in which it seems to be written by Park Ji-won. First, 'Sanin' in 'Yeonam-Sanin' is consistent with the behaviors of Yeonam Park Ji-won who lived in hiding in the Yeonam valley in 1777. In addition, many statements written in the introduction, such as "as we stick to the old things, we do not know a makeshift", "we are well versed in changes" and "many soldiers are not always good" remind us of other writings of Park Ji-won. Moreover, he writes the statements using antithesis. It is the force of writing style of a literary person who is not engaged in medical service. In addition, he puts six qi in the introduction, but it is not as sophisticated as Jejungsinpyeon (濟衆新編). It suggests that this book may be published earlier than Jejungsinpyeon. When comparing Ikkam with Euimunbogam (醫門寶鑑) and Jejungsinpyeon, it seems common to place six qi in the introduction at the time. In addition, through this book, we find that Park Ji-won known as a writer of Geumryosocho (金蓼小抄) has fairly much knowledge in the medicine. We can estimate his passion and depth about the medicine through a longing for a new medical book shown in the introduction of Geumryosocho. However, various approaches to similar disease symptoms shown in the introduction help us to recognize his true qualities in the medicine. In addition, like other experience prescriptions, this book excludes prescriptions using medicinal herbs with toxicity or rare medicinal herbs in the situation with a limited supply of them in remote areas but includes prescriptions which are widely used. It shows that experience prescriptions in the Joseon Dynasty are effective to specifically identify medicinal herbs and prescriptions which are widely used in Korea. These values cannot be compensated by Donguibogam (東醫寶鑑) which has an infinite value.

자기서사에 따른 사물의 의미변용과 여행 체험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How the meaning of things can be changed based on the epic of self and travel experience -focusing on 『Yeulhailgi』-)

  • 서은아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5-29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how Ji-Won Park(Yeonam) created the eaning of things based on the epic of self and how his travel experience manifested on the epic of self. First of all, the author examined that how Yeonam interpreted the meaning of things based on his own reflection using the examples of "The Golden Arbor" and "Baeki-Sukje." As a result, the author found that Yeonam focused on the material value of "the Golden Arbor" rather than the reason of creation of "The Golden Arbor." Yeonam also used "Baeki-Sukje" as an iron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 of loyalty and integrity. Second, it helped to present personal self epic since travel experi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travel journey could reduce the pressure from the epic of society on individuals. For instance, when Ji-Won Park (Yeonman) traveled the China (the country of Chung) where society promoted public welfare, Yeonman was able to express himself freely which showed utilitarian over justice. Finally, the author talked about how a book of travels can be used for the case of literature therapy since "Yeulhailgi" was written by Yeonam while he was traveling. The author indicated that it might be useful for the patients to write own travel journey since the therapist could analyze the mind of patients by the epic of self. In addition, using a book of travels also can be valuable for the patients since the therapist could analyze the condition of patients as well as help patients see through themselves while reading a book of travels.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요소 분석 (The Analysis of Counseling Elements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 정미정;임진영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59-7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을 통해 전통적인 가치관, 태도, 표현방식 등을 상담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한국적 상담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 논문 및 관련도서를 통해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적 특징을 제시하며 상담학적 의미를 찾아보았고, 연암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적 요소를 바람직한 삶의 원리, 관계 형성의 원리, 인간변화의 구체적 전략으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한 상담적 요소가 현대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연암에게 배울 수 있는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 관계형성 및 유지 능력,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기법으로 나누어 체계화하였다. 연암에게 배울 수 있는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 기법으로는 감동주기,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대화하기, 삶을 즐기는 방법 전수하기, 성장에 초점 맞추어 꾸중하기, 이야기 자료 활용하기, 유머 활용하기, 창의적인 방법 활용하기, 특성과 역량에 맞추어 성장시키기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연암의 삶과 사상을 통해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과 청담자의 성장을 돕기 위한 구체적 상담기법을 찾아내어 현대 상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좀 더 지속적인 연구와 검증을 통해 보다 가치 있는 상담 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상담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연암 상담법이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나라꽃 무궁화 품종중 가로수용, 분화용 및 지피용으로 조경적 활용도가 높은 품종 선정 (Selection of Cultivars with Vigorous Growth Habit for Street Tree, Dwarf Tree Form for Pot Plants, and Spreading Branches for Groundcovers in the Recently Developed Cultivars of Rose of Sharon (Hibiscus spp.) for Landscape Uses)

  • 강호철;김동엽;하유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9
    • /
    • 2016
  • 본 연구는 조경수용 무궁화 우수품종 보급을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127품종의 1년생 접목묘를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동안 생육 및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품종 중 키가 큰 가로수 및 독립수용 품종, 왜성형 분화 및 지피용 품종 등을 선정하여 무궁화를 조경수로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나라꽃 무궁화 품종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먼저 접목 1년생 수고를 조사한 결과 20~120cm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무궁화 '주몽'과 '홍가로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Daewangchun', 'Daeil', 'Lohengrin', 'Jina', 'Yeonam' 등이 키가 100cm 이상으로 가장 큰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무궁화 127품종 중 조경적 활용가치가 높은 교목성 가로수로 이용할 수 있는 품종은 무궁화 '주몽'과 '홍가로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Daewangchun', Hibiscus hybrid 'Daeil', Hibiscus hybrid 'Lohengrin', Hibiscus hybrid 'Jina', Hibiscus hybrid 'Yeonam' 등이 있었다. 분화 및 분재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왜성형 품종으로는 'Red Heart', '백령도', 종간교잡종 '진선', '꼬마', '여천', '야음' 등이 있었으며, 키가 30cm 미만의 아주 작은 품종으로는 '안동', '청조', 'Lil Kim' 등이 포함되었다. 수고가 작은 왜성형으로 가지의 생장이 아래로 향하는 '탐라', 'Melrose', '비단', '하이리', '별이', '병화', '미백', '한양', '청암', 'Lil Kim Violet', '종무', '은하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Saehanseo'와 Hibiscus hybrid 'Yousoon'은 화단 및 지피용 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았다.

대구 도심 녹지 공원의 곤충상에 관한연구(II) (Insect Fauna of Urban Green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 (II))

  • 박종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2-190
    • /
    • 2010
  • 본 조사에서는 대구광역시 녹지공원의 공원별 곤충의 출현정도를 알아보았고, 식생의 차이에 따른 곤충 발생 현황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종합적으로 9목 61과 93속 100종의 곤충이 조사되었고, 종 다양도는 연암공원이 35과 61종으로 가장 높은 다양성을 보였고, 봉무공원이 31과 43종, 범어공원이 29과 41종, 두류공원이 28과 35종, 국채보상운동공원은 2과 2종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활엽수림이 식재되어 있는 조사지에서 곤충 분포가 균일하였으며,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공원 내 잔디지역에서의 곤충 다양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버섯(P. eryngii spp.)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함량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f P. eryngii spp. Extracts)

  • 지희연;김규현;공원식;김선림;김진애;정일민;김정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16-219
    • /
    • 2005
  •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of DPPH, SOD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n mushroom(P. eryngii spp.) extract. The antioxidant acitivity using DPPH showed that strain No. 2007$(31.78\%)$ and strain No.2014$(27.45\%)$ were the highest DPPH inhibition. Among the thirteen mushroom examined, strain No. 2014$(58.30\%)$ and strain No. 2010$(57.19\%)$ had the highest SOD activity.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were in strain No.2013$(1465.03{\mu}g/g)$ and strain No.2005$(1401.09{\mu}g/g)$. Our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mushroom with high natural antioxidant.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포항시 여남동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산출된 가자미목 화석의 기재와 의의 (The description of the Flat fish (Pleuronectiformes) Fossils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Yeonam-dong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 고주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16
  • 신생대 어류 화석 4개체가 포항의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발견되었다. 본 화석은 뒷지느러미의 앞쪽 담기골(pterygiophore)이 연장되어 있고, 후의쇄골(postcleithrum)이 존재하며, 두 개의 인접한 혈관극 사이에 뒷지느러미 담기골 두개가 거의 일정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하미축골(hypurals)이 융합되었고, 세 번째와 네 번째 하미축골과 첫 번째 전미추체(preural centrum)가 융합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인근의 잘 발달된 판상 신경극과 낚시바늘모양의 미설골(urohyal)이 존재하고, 그 좌골부(sciatic part)가 꺾여있다. 그리고 준하미골(parahypural)이 첫 번째 전미추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이 화석은 국내 최초의 가지미목으로 동정되었다. 그간의 두호층 지질학적 연구는 천해환경의 생물들이 육상의 큰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떠내려가 저탁류에 의해 심해환경에서 퇴적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여태껏 천해환경 생물들만 발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호층에서 최초로 심해생물인 가자미류가 보고되었다.

한국 영일만 해저퇴적물의 입도분포 (A Grain Size Analysis of Bottom Sediments of Yeongil Bay, Korea)

  • 박병권;송무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4-85
    • /
    • 1972
  • 본 연구 지역인 영일만은 한반도 남동부 즉 북위 36$^{\circ}$에서 36$^{\circ}$10'까지, 그리고 동경 129$^{\circ}$20'에서 129$^{\circ}$35'에 위치하고 있다. 영일만은 경상북도 포항에 접하여 있으며 평균수심 약 25m이며 면적은 약 200$\textrm{km}^2$에 달한다. 동측에는 해안선이 단조롭고 좁은 대상의 대륙붕이 발달한 동해와 접하고 있으며 서측에는 경상계와 제3계 지층을 횡단하여 흐르는 형산강이 유입하고 있다. 만 주변에는 장산갑이 돌출하여 동해로 부터의 강한 해일을 막아주어 항구로서의 자연조건이 유리하다. 영일만 지역의 해저 퇴적물에 관해 발표된 논문은 양경린(1969)의 영일만에서의 표사이동에 관한 연구가 있을 뿐이다. 그 주변 및 동해의 해저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동해 전역에 걸친 해저퇴적물의 연구 (Niinoet ao., 1969), 동해안 동남부 지역의 유공충에 관한 연구 (Kim and Han, 1971), 남해 및 남부, 해협의 퇴적물에 관한 연구 (Park and Song 1971) 등이다. 본 연구는 영일만내의 해저퇴적물의 분포상태, 입도분석 및 광물 성분들을 기재하고, 퇴적물의 광물성질과 입도를 좌우하는 제반요소를 검토하여 만퇴적환경에서의 퇴적작용에 미치는 제반요소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현생 퇴적환경을 연구하므로써 고기 퇴적물의 퇴적환경 복원에 기여하고저 하는 바이다.

  • PDF

조선 후기의 산수(山水) 와유(臥遊)와 경산(京山) 이한진(李漢鎭)의 <속어부사(續漁父詞)> (Wayu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and Gyeongsan Lee Han Jin's )

  • 조은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185-210
    • /
    • 2018
  • 본고는 이한진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편찬자인 경산(京山) 이한진(李漢鎭)(1732~1815)의 <속어부사(續漁父詞)>가 이한진의 문예 활동과 풍류적 지향, 그리고 조선 후기 사족들의 산수(山水) 와유(臥遊) 취미를 배경으로 창작되었으리라 보고 <속어부사>를 살폈다. 이한진은 외가인 안동(安東) 김문(金門)의 혈연을 바탕으로 연암 일파와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풍류 현장에 대한 기록에서 이한진의 음악적 기질과 풍류적 지향을 알 수 있었다. 이한진은 노년에 경기도 영평에 은거하였는데, 이때 편찬한 가집인 이한진 편 "청구영언"에 수록된 작품들의 주제적 지향과 이한진이 창작한 시조 작품들에서도 역시 이한진의 풍류적 모습이 확인 되었다. 한편 조선 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들은 번화한 도시 공간을 떠나 자연 속에 머물 수 없는 자신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산수 자연을 추체험함으로써 극복하고자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와유(臥遊)였다. 이들에게 산수 유람의 실제 경험 유무는 그리 긴치 않은 문제였으며, 이들은 효과적인 와유를 위해 제 문예 장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한진과 그 주변 인물들의 문예 활동은 이 같은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한진이 경기도 영평에서의 산거(山居)에도 불구하고 <속어부사>를 창작한 것 역시 현재 자신이 경험할 수 없는 하나의 자연 형상을 좀 더 효과적으로 추체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이한진의 <속어부사>는 어부 형상을 소재로 한 여타의 국문시가에 비해 좀 더 초속적인 자연 형상이 그려졌다. 실재의 자연 형상을 볼 수 없다는 현실적 정황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핍진하게 묘사하여 효과적인 와유를 가능케 하고자 했던 욕망 사이의 긴장은 집구시의 성격을 강하게 띤 <어부사>라는 형식 안에서만 해결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