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rain Size Analysis of Bottom Sediments of Yeongil Bay, Korea

한국 영일만 해저퇴적물의 입도분포

  • Published : 1972.12.01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s of Yeongil Bay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ixty four samples collected with snapper and dredger are analyzed by roe Tap Sieve Shaker and Pipette Method. The moment parameters are calculated with the method of Friedman(1961). Most samples are composed of sand size sediments and a few samples are composed of silt and clay. The Yeongil Bay can be divided into gravel-granule zone, sand zone, and silt-clay zone. The sediments near Yeonam- Dong and Hyongsan river are moderately sorted and others are very poorly sorted according to scheme of Friedman91962). In general, sorting values are ranged from 1.0 to 3.5. The samples near Janggigap and Masin-Dong show negative and others show positive skewness values. Skewness values are ranged from -1 to 2. All samples show the leptokurtic distribution except for the samples near Masin- dong and at the deepest place near Janggigap. Kurtosis values are ranged from -1.5 to 21.9. The samples of gravel-granule zone contain more than 50% and those of silt-clay zone contain less than 50% of CaCO$\_$3/. Four different colors, black, yellow, brown and gray, are shown in the sediments of Yeongil Bay.

본 연구 지역인 영일만은 한반도 남동부 즉 북위 36$^{\circ}$에서 36$^{\circ}$10'까지, 그리고 동경 129$^{\circ}$20'에서 129$^{\circ}$35'에 위치하고 있다. 영일만은 경상북도 포항에 접하여 있으며 평균수심 약 25m이며 면적은 약 200$\textrm{km}^2$에 달한다. 동측에는 해안선이 단조롭고 좁은 대상의 대륙붕이 발달한 동해와 접하고 있으며 서측에는 경상계와 제3계 지층을 횡단하여 흐르는 형산강이 유입하고 있다. 만 주변에는 장산갑이 돌출하여 동해로 부터의 강한 해일을 막아주어 항구로서의 자연조건이 유리하다. 영일만 지역의 해저 퇴적물에 관해 발표된 논문은 양경린(1969)의 영일만에서의 표사이동에 관한 연구가 있을 뿐이다. 그 주변 및 동해의 해저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동해 전역에 걸친 해저퇴적물의 연구 (Niinoet ao., 1969), 동해안 동남부 지역의 유공충에 관한 연구 (Kim and Han, 1971), 남해 및 남부, 해협의 퇴적물에 관한 연구 (Park and Song 1971) 등이다. 본 연구는 영일만내의 해저퇴적물의 분포상태, 입도분석 및 광물 성분들을 기재하고, 퇴적물의 광물성질과 입도를 좌우하는 제반요소를 검토하여 만퇴적환경에서의 퇴적작용에 미치는 제반요소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현생 퇴적환경을 연구하므로써 고기 퇴적물의 퇴적환경 복원에 기여하고저 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