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r-round cultiv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 Kang, Heonil;Lee, Donghyun;Han, Sangcheol;Choi, Insoo;Yun, Eulsoo;Lee, Jong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3-33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of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in east-southern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Cropping systems were tested in experiment using oat (cv. Highspeed and Darkhor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 corn (cv. Kwangpyeongok) and sorghum (ss-450) in summer season and rye (cv. Gogu) and triticale (cv. Joseong) in winter season. Considering the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such as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this result suggest that three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The combinations with tritical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ones. And also the combinations with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If forage crops cultivation was started in spring season, the combinations with oat (spring), oat (autumn), triticale or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appropriable. For the more suitable cropping system, we are proceeding on verification experiment of year-round forage crops.

  • PDF

Study on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by Mulching with Polyethylene Film

  • Choi, Seong-Kyu;Yun, Kyeong-Won;Chon, Sang-Uk;Seo, Young-Nam;Seo, Kyoung-sun;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6권3호
    • /
    • pp.211-214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and polyethylene(PE) tunnel.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higher in PE mulching and PE tunnel than in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temperature in PE tunnel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tunnel and root production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tunnel cultivation system.

  • PDF

Study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by Mulching materials

  • 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27-3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P.E.(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followed by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highest temperature in Tr. PE(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also root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mulching cultivation system.

  • PDF

A New Spray Chrysanthemum, "Pink Berry" with Resistance to White Rust, and Long Vase Life, Single Flower Type and Pink Petals for Cut Flower

  • Lim, Jin-Hee;Shin, Hak-Ki;Park, Sang Kun;Cho, Hae-Ryong;Rhee, Hye-Kyung;Kim, Mi-Seon;Joung, Hyang-You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1-144
    • /
    • 2009
  • A new spray chrysanthemum 'Pink Berry' was relea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in 2007. A cross was made in 2004 between 'Lineker Salmon', a spray cultivar with salmon petals, and 'Baeksokuk', a spray cultivar with white petals.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5 to 2007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e cultivation in summer and retarding cultivation in autumn.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Pink Berry'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photo-periodic control. The cultivar has single type flowers with pink petals and a green flower center. It shows long vase life of 22 days and resistance to white rust. The diameter of flower is 52.0 mm. The numbers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5.5 and 29.5,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6 in autumn seasons.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환경인자 계측(III) -영구재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III) -Based on Panel Type Structure-)

  • 서원명;윤용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92
    • /
    • 2005
  • Pleurotus eryngii(King oyster)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being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Eryngii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To safely produce high-quality Eryngii all the year round, it is requir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be carefully controlled by well designed structures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and control 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ommercial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and yield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Eryngii.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Nov. 10, 2004 to Aug. 27, 2005 in Eryngii. cultivation houses. The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for this study were inside/outsid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_2$ concentration in Pleurotus eryngii medium. In addition, the yield and quality of mushroom were made investigation. But the optimal productivity will b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ushroom production, energy requirements,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st, etc.

  • PDF

암기중단 처리시기가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break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이창우;전승호;김홍영;신성철;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6-260
    • /
    • 2007
  • 재배 바위솔은 10월경에 집중되는 자연산 바위솔의 출하시기를 피하여야 수익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바위솔의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주년재배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추대전인 6월 10일과 추대가 시작되는 8월 25일로 암기중단 처리시기를 달리한 후 동절기 $20^{\circ}C$ 이상으로 가온재배하면서 동절기 이후인 3월 9일까지 바위솔의 생장, 형태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6윌 10일 암기중단 처리하는 것보다는 추대중인 8월 25일 암기중단을 처리할 경우 길고 많거나 굵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엽과 포엽중, 소화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전체건물중도 6월 10일 암기중단 처리하는 것보다는 추대중인 8월 25일 암기중단 처리할 경우 많았다. 3. 화서에 형성되는 소화수도 6월 10일 암기중단 처리하는 것보다는 추대중인 8월 25일 암기중단 처리할 경우 많았던 반면, 소화의 개화는 8월 25일 암기중단 처리할 경우에만 3월 초순에 관찰되었다. 4. 고사와 관련된 3월 초순의 개화개체 비율은 8월 25일 암기중단 처리할 경우에만 $10{\sim}20%$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어 추대전 암기중단 처리를 가함과 동시에 동절기 $20^{\circ}C$ 이상으로 유지한다면 바위솔의 주년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드림문'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Dream Moon' with Pink Color and Single Type)

  • 정윤경;임재욱;이상덕;이영순;유예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6-610
    • /
    • 2010
  • '드림문'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계통의 국화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황색 스프레이 국화 'Patra (yellow)'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Sei-Rosa'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2계통을 예비 선발하였다. 2006-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과 품평회로 4번째 개체인 'GCS06-27-4'를 최종선발하여 '드림문(Dream Moon)'으로 명명하였다. '드림문'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으로 전형적인 추국 형태의 품종이며, 고온기인 여름철과 관수를 많을 주었을 경우 화색이 아주 연한 분홍색이 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분홍색(PG76D) 스프레이 형태로 3중의 꽃잎이 있는 홑꽃형이며 꽃잎수는 24.6매이고, 화경은 5.6 cm, 엽색은 녹색(Green Group 137B)으로 절화장은 86.6 cm로 중간종이다. 저온동계 검정에 의한 흰녹병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절화 수명은 20.7일로 양호한 편이다.

씨마 대량생산을 위한 수경재배시스템 연구 (Development of Hydroponic Culture Systems for Seed Tuber Production of Yam(Dioscorea opposita))

  • 장광진;이희선;김현준;박병재;박철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47-54
    • /
    • 2005
  • 1. 일장과 온도의 영향은 자연일장에서 괴경이 600mg, 9시간 단일에서 640m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처리구, 15시간처리구에서는 490, 500mg으로 일장이 영향을 미쳤다. 2. 배양액의 농도가 마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양액은 50% 용액에서 420mg으로 다른 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호르몬농도는 NAAl00ppm에서 560mg으로 무처리 및 다른 농도구에 비하여 가장 좋았다.

Effect of the root-zone temperature grown in the greenhouse on the growth of chives

  • Jung, Kwan-hui;Han, Sangj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2-22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 optimal temperature of root zone for the chive cultivation in a greenhouse during the winter season that may raise the possibility of chive (Allium schoenoprasum L.) harvest any time year-round 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of root zone were 26.8 and $19.8^{\circ}C$ for the R-Z20, 28.3 and $23.6^{\circ}C$ for the R-Z25 and 22.4 and $14.3^{\circ}C$ for the control. The highest fresh weights of shoot and root,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observed in the R-Z20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between the R-Z25 and control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al temperature of root zone is $20^{\circ}C$ for the chive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during winter season.

  • PDF

중부지역 논 재배 사료용 밀의 품종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Biomass and Feed Value of Forage Wheat in Central Region at the Paddy by Cultivars)

  • 조현민;신명나;심강보;한아름;전원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79-88
    • /
    • 2022
  • 중부지역에서 사료용 밀의 건물 생산 특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 시험 포장에서 최근 육성·등록된 '청우'와 '태우' 품종을 이용하여 2년간 수행하였다. 사료용 밀 품종 조숙형 '청우'와 만숙형 '태우'의 숙기에 따른 출수기는 11-13일 정도 차이를 보였다. 동일 품종 내 연차 간 출수기는 1년차에 비해 2년차 재배에서 '청우'가 3일, '태우'가 1일 지연되었다. 초장은 약 4-12%, 수장은 85-95% 정도 '태우'가 길었고(p<0.001), 경수는 '청우'에서 약 94-104% 정도 많았다(p<0.001). 생체수량은 1년차 재배 시 '태우'가, 2년차 재배 시 '청우'가 많은 것으로 연차 간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수량은 연차에 관계없이 '청우'에서 많았고, 특히 2년차 재배에서 헥타르 당 3톤 가량 많은 15.3 t/ha로 '태우' 12.6 t/ha 보다 '청우'에서 약 21%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러한 건물수량 양상은 '청우'가 '태우'에 비해 건물비율(p<0.05)이 높으며, 조숙형 품종으로써 상대적으로 긴 등숙기간으로 인해 적정 이삭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함량 분석 시, 1년차 재배의 줄기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잎, 이삭 및 2년차 재배의 모든 부위에서 가소화양분총량(TDN)과 상대적사료가치(RFV)가 '청우'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총체의 사료가치 분석 결과에서 1년차 재배 시 '태우'보다 '청우'에서 높았던(p<0.01) 값이 2년차에는 품종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생육 특성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 함량 등 조사를 수행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연차 간 성적의 변동성을 보였는데, 이는 사료용 밀의 생육재생기에서 수확기까지의 기간 동안 큰 차이를 보였던 연차 간 환경적 요인 즉, 1년차에 비해 2년차에서 더 높았던 평균기온과 2배 가량 많았던 강우량 등의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연차 간 성적이 환경적 영향에 의해 변동성을 보이더라도, 조사료로써 이용하기 위해 중요한 항목인 건물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면서 연차 간 수량의 변동성이 적었던 '청우'가 조사료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부지역의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10월 하순 동계 사료용 밀 파종 후 이듬해 5월 하순까지 재배할 시 조숙형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안정적인 건물수량 확보에 유리하며, 이삭으로의 저장 양분의 전류가 많아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후작으로 사료 벼를 이모작으로 재배 시 조생종인 '청우' 품종이 중부지역에서 사료용 밀-사료용 벼 이모작 재배 시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