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W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3초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OD78 Is Mediated through Cell Cycle Progression by Upregulation p27kip1 in Rat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 Tudev, Munkhtsetseg;Lim, Yong;Park, Eun-Seok;Kim, Won-Sik;Lim, Il-Ho;Kwak, Jae-Hwan;Jung, Jae-Kyung;Hong, Jin-Tae;Yoo, Hwan-Soo;Lee, Mi-Yea;Pyo, Myoung-Yun;Yun, Yeo-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2호
    • /
    • pp.187-194
    • /
    • 2011
  • Atherosclerosis and post-angiography restenosis are associated with intimal thickening and concomitant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on. Obovatol, a major biphenolic component isolated from the Magnolia obovata leaf,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nhance the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to improve its potential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in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B-induced proliferation of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RASMCs) was examin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wly synthesized obovatol derivative, OD78. The observed anti-proliferative effect of OD78 was further investigated by cell counting and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s. Treatment with 1-4 ${\mu}M$ OD78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of 25 ng/ml PDGF-BB-stimulated RASMCs. Accordingly, OD78 blocked PDGF-BB-induced progression from the $G_0/G_1$ to S phase of the cell cycle in synchronized cells. OD78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CDK4, cyclin E, and cyclin D1 proteins, as well as the phosphorylation of retinoblastoma protein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however, it did not change the CDK2 expression level. In addition, OD78 inhibited downregulation of th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CKI) $p27^{kip1}$. However, OD78 did not affect the CKI $p21^{cip1}$ or phosphorylation of early PDGF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D78 may inhibit PDGF-BB-induced RASMC proliferation by perturbing cell cycle progression, potentially through $p27^{kip1}$ pathway activation. Consequently, OD78 may be developed as a potential anti-prolifera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and angioplasty restenosis.

고준위폐기물 지하처분연구시설(KURT)에서 관찰되는 방해석의 광물학적 특징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Calcite observed in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 이승엽;백민훈;조원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9-246
    • /
    • 2006
  • 대전광역시 유성구 덕진동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위치한 지하처분연구시설은 2003년 부지조사를 시작으로 최근에 완공하였다. 이 곳의 지질은 약한 변성작용을 받은 지역으로 소규모 단열이 잘 발달되어 있는 곳이다. 단열을 따라서 많은 종류의 이차충전광물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지하 핵종 이동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방해석의 광물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지하처분연구시설 암석 단열에 분포하는 방해석은 다른 이차광물들과 유사하게 단열대를 따라 분포하며, 부분적으로 두꺼운 층을 형성하기도 한다. 방해석으로 충전되어 있는 대부분의 단열대에는 석영, 철 산화물 및 돌로마이트 등이 소량 부성분 광물로 존재하고 있다. 방해석 결정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피복 물질로 산화철 광물인 침철석이 방해석 표면으로부터 성장하는데, 주로 방해석 결정의 가장자리 부근과 상부 표면의 용식된 부분에서 과밀하게 성장하고 있다. 터널 벽체의 숏크리트에서 녹아 나온 성분들이 침전되어 새로운 방해석 결정들이 형성되었는데, 지하수의 성분 및 흐름에 의해 형태 변화가 있었다. 단열충전광물 중 방해석은 지하수 화학특성을 변화시키고 핵종의 흡착 거동에 큰 영향을 끼치는 광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방해석의 결정학적 구조 및 표면 특성은 추후 핵종 이동 실험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Effects of Diglyceride-Conjugated Linoleic Acid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 Jeong, Jae-Hwang;Lee, Sang-Hwa;Hue, Jin-Joo;Lee, Yea-Eun;Lee, Young-Ho;Hong, Soon-Ki;Jeong, Seong-Woon;Nam, Sang-Yoon;Yun, Young-Won;Lee, Beom-J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23-229
    • /
    • 2007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has been recently report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in animals and huma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diglyceride (DG)-CLA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using WST-8 analysis and cell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Lipid accumulation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There were four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vehicle control (DMSO), CLA, triglyceride (TG)-CLA, and DG-CLA. Treatments of CLA, TG-CLA, and DG-CLA at the concentrations of $10{\sim}1000{\mu}g/ml$ reduced proliferation of preconfluent 3T3-L1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mong them CLA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proliferation inhibition of preconfluent 3T3-L1 cell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Treatments of CLA and DG-CLA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differentiation of postconfluent 3T3-L1 cells as measured by GPOH activity (p<0.05). In addition, treatments of CLA, TG-CLA, and DG-CLA effective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 1 cells. OG-CLA ha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s including CLA have a respectable anti-obesity effect and that consumption of DG-CLA as a dietary oil may give a benefit for controlling overweight in humans.

Antibacterial activity of sodium phytate, sodium pyrophosphate, and sodium tripolyphosphat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in meats

  • Hue, Jin-Joo;Baek, Dong-Jin;Lee, Yea Eun;Lee, Ki Nam;Nam, Sang Yoon;Yun, Young Won;Jeong, Jae-Hwang;Lee, Sang-Hwa;Yoo, Han Sang;Lee, Beom J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9-456
    • /
    • 2007
  • The approval of use of certain food-grade phosphates as food additives in a wide variety of meat products greatly stimulated research on the applications of phosphates in foods. Although phosphates have never been classified as antimicrobial agents, a number of investigators have reported that phosphates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Phytic acid is a natural plant inositol hexaphosphate constituting 1-5% of most cereals, nuts, legumes, oil seeds, pollen, and spor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odium phytate (SPT), sodium pyrophosphate (SPP),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on Salmonella typhimurium in tryptic soy broth and in row meat media including chicken, pork and beef. SPY, SPP and STPP at the concentrations of 0.5 and 1%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growth of S. typhimurium in tryptic soy broth at various pH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PT and STPP were the stronger than that of SPP. In chicken, pork, and beef, SPT, SPP and STPP at the concentrations of 0.1, 0.5 and 1.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bacterial growth in a dose-dependant manner (p < 0.05).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PT, SPP, and STPP were more effective in chicken than beef. SPT and STPP at the concentration of 1% reduced the bacterial count by about 2 log units. The addition of SPT, SPP and STPP at the concentration of 0.5% in meats increased the meat pHs by 0.28-0.48 units in chicken, pork, and beef.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T and STPP were equally effective for the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both in TSB and meat media and that SPT can be used as an animal food additive for increasing shelf-life and functions of meats.

연약지반 성토의 안정평가 방법 (The Stability Evaluation Methods of Embankment on Soft Clay)

  • 강예묵;이달원;김지훈;김태우;임성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60-270
    • /
    • 1998
  • 본 연구는 합리적인 침하계측관리의 수립을 위하여 현재 시공중인 사업부지를 선정하여 연약지반에 성토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계측결과를 기초로 기존의 안정평가 방법등과 비교분석하여 성토에 따른 지반의 복합적인 거동을 구명하고 연약지반의 안정평가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성질이 심도별로 최대치를 나타내며 변곡점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수평변위가 급증하여 위험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정관리분석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고, 수평변위량의 차가 가장 큰 부분에서 전단변형이 발생되었다. 2. 단계성토에 따른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성토체의 안정성을 비교분석 한 결과, 파괴기준선을 초과하여 위험치에 접근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성토체는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어 안정관리상 파괴기준선으로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보다는 곡선의 기울기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3. 처리지반에서의 수평변위와 상대침하량은 거의 같은 비율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며, 무처리 지반에서 Terzaghi 수정지지력을 사용할 경우의 전단변형은 성토하중과 비배수 전단강도와의 관계를 고려하고 안전율은 1.2보다 큰 값을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과잉간극수압은 성토시공높이에 따라 상승되고 방치기간에 따라서 감소되며, 성토높이가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면 과잉간극수압은 급격하게 증가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과잉간극수압과 수평변위량의 움직임은 거의 일치하고 있으므로 성토의 시공속도를 조절하는데 판단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수치해석에 의한 연약지반의 압밀거동 (The Consolidation Behavior on Soft Clay by Numerical Analysis)

  • 강예묵;이달원;임성훈;윤제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35-246
    • /
    • 1998
  • 지반의 압밀에 따른 변형 거동을 분석하고 입력정수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쌍곡선 모델과 수정 Cam-Clay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하고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압밀계수 산정밥법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한 결과, 정규압밀영역에서는 모두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나, 과압밀영역에서는 변화 폭이 커서 적합한 압밀계수를 산정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치해석에 의하여 전반적인 수평변위의 거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장 실측치를 기초로 성토하중에 의한 연약지반의 단기적인 안정성을 파악하는데는 쌍곡선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3. 수평변위의 영향범위(L)는 성토체의 선단으로부터 전체연약층(H)의 L=(0.7~1.4)H 범위까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수평변위는 성토체의 선단하부 G.L.-10m지점으로 전체 연약층 깊이의 1/3지점에서 발생하였다. 4. 쌍곡선 모델과 수정 Cam-Clay 모델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침하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침하량의 크기는 Curve fitting 방법, 수정 Cam-Clay 모델, 쌍곡선모델 순으로 나타났다. 5. 쌍곡선 모델과 수정 Cam-Clay 모델에서 입력변수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의 입력변수들을 변화시켜 침하량과 수평변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쌍곡선모델에서는 K값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수정 Cam-Clay 모델에서는 침하량은 ${\Gamma}$값의 영향이 가장 크고, 측방변위는 M값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교란효과와 배수저항을 고려한 연직 배수재의 압밀 거동 (Consolidation Behavior of Vertical Drain in consideration of Smear Effect and Well Resistance)

  • 김태우;강예묵;이달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25-234
    • /
    • 1998
  • 연직 드레인의 이론식에서 교란효과와 배수저항에 관련된 변수들을 변화시켜 구한 이론곡선과 현장의 실측자료를 쌍곡선, Curve Fitting, Asaoka, Monden방법에 의한 압밀도곡선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쌍곡선방법에 의한 압밀도곡선은 Curve Fitting, Asaoka, Monden방법에 의한 압밀도곡선과 비교할 때 압밀도가 과소하게 나타났다. 2. 현장 실측자료로부터 역산한 수평방향 압밀계수($C_h$)와 실내 시험에서 구한 수직 방향 압밀계수($C_v$)의 전체적인 범위는 교란효과와 배수저항을 무시하는 이상적인 경우에서는 $C_h=(0.5{\sim}2.5)C_v$, 교란효과와 배수저항을 고려한 경우에는 $C_h=(2{\sim}3)C_v$의 범위로 나타났다. 3. 역해석에 의한 교란된 지역의 투수계수란된 지역의 투수계수($K_s$)는 비교란지역의 수직투수계수($K_v$)의 1/2로, 교란지역의 직경($d_s$)은 Mendrel직경($d_m$)의 2배일 때 실측침하량에 의한 압밀도 곡선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4. 연직배수재 설계에 따른 배수저항의 영향은 직경감소가 커질수록 압밀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고, 드레인의 투수계수가 작은 경우가 큰 경우 보다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소 직경을 사용하는 설계법은 교란효과와 배수저항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PDF

지능형 건설물류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SOA 적용 모델 개발 (A SOA-based Application Model for Building Intelligent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Framework)

  • 신태홍;진상윤;윤수원;권순욱;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33-737
    • /
    • 2008
  • 초대형 고층 빌딩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건설물류관리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위해서는 공사 참여 주체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계획된 공사 일정에 따라 공장에서 생산된 자재를 현장의 유동적인 요인에 맞추어 적시 적소에 공급하기 위한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이러한 건설물류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연구로 RFID, USN과 같은 유비쿼터스 기술적용 및 물류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능형 장비 개발과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지능형 장비간 통신에 의한 물류정보관리, 기 구축된 레거시 시스템의 연동관리, 프로젝트 참여주체자들의 정보확인 및 전송도구인 다양한 장치에 요구되는 정보관리 등 지능형 건설물류관리 환경이 기존과는 다른 복잡한 분산환경으로 구성되도록 시도됨으로써 이러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건설물류관리 정보관리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능화된 건설현장의 건설물류관리 효율화를 위한 지능형 건설물류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복잡한 분산환경하에서 효과적인 정보통합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SOA 적용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침하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Large Drilled Shafts Embedded in Bed Rocks)

  • 홍원표;여규권;남정만;이재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11-122
    • /
    • 2005
  •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하중-침하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5개소에서 실시된 말뚝재하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단단한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침하량은 대단히 미소하여 말뚝의 설계 시방서상에 제시된 말뚝의 전체침하량이나 잔류침하량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여 극한하중을 결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항복하중을 결정하기 위하여 항타말뚝을 대상으로 이전에 제시된 P-logS분석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적용결과, 이 방법은 기존의 다른 분석법인 P-S, logP-logS, S-logt 및 P-S분석법에 비하여 항복하중결정이 비교적 간편하고 정확하였다. 그리고 암반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하중이 항복하중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말뚝의 하중-침하량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회귀분석식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지층의 종류와 암반 근입심도에 따른 말뚝의 침하거동특성도 조사하였다. 끝으로 현장말뚝재하시험결과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항복하중을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침하량 기준값이 제시되었다.

GAT1과 ubiquitin-specific protease Usp14의 결합 (Interaction of GAT1 with Ubiquitin-Specific Protease Usp14 in Synaptic Terminal)

  • 석대현;김상진;정영주;예성수;박영홍;김무성;문일수;장원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05-1011
    • /
    • 2010
  •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으로 작용하는 주요한 신경전달물질이다. GABA 수송체(GAT)는 연접간격에 존재하는 GABA를 세포 내로 재 흡수하여 GABA의 농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GABA 수송체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효모 two-hybrid system을 사용하여 뇌의 주요 GABA 수송체인 GAT1의 C-말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biquitin-specific protease 14 (Usp14)를 분리하였다. Usp14는 GABA 수송체 GAT1및 GAT2와는 결합하지만, 다른 GAT isoform과는 결합하지 않았다. GAT1과의 결합에는 Usp14의 C-말단부위가 필수적으로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단백질간의 결합을 GST pull-down assay로 확인하였으며, 생쥐 뇌 균질액의 co-immunoprecipitation을 통하여 in vivo에서도 GAT1과 Usp14가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Usp14가 GAT1과 결합하여 세포막에 존재하는 GAT1의 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