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2K

검색결과 329,373건 처리시간 0.186초

Flux 용융법에 의한 2차원 및 3 차원 구조의 티탄산칼륨 섬유의 합성 (Flux Melting Route to 2-and 3-dimensional Fibrous Potassium Titanates, K$_2Ti_{2n}O_{4n+1}$ (n = 2 and 3))

  • 최진호;한양수;송승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65-772
    • /
    • 1993
  • Flux인 $K_2MoO_4$와 섬유원료물질인 $K_2CO_3,\;TiO_2$를 혼합하고 1150$^{\circ}C$에서 용융시킨 다음 950$^{\circ}C$까지 서냉하여(서냉속도=5$^{\circ}C$/h) 층상구조를 갖는 사티탄산칼륨($K_2Ti_4O_9$)과 육티탄산칼륨($K_2Ti_6O_{13}$) 섬유를 합성하였다. Flux(F)와 출발원료물질(R)의 혼합비에 따른 최적 섬유성장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F:R을 변화시키면서 반응시킨 결과 섬유의 결정상 및 성장속도가 F:R의 비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실험조건에서는 사티탄산칼륨과 육티탄산칼륨 모두 F:R=7:3 일 때 섬유의 성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F:R = 7:3이고, 출발조성이 $K_2O{\cdot}4TiO_2$인 경우 생성물은 $K_2Ti_4O_9$과 약간의 $K_2Ti_6O_{13}$의 혼합상이 얻어졌으며 평균 섬유 길이는 ${\thickapprox}$ 4 mm 정도의 비교적 장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K_2O{\cdot}6TiO_2$ 조성인 경우도 $K_2Ti_4O_9$의 혼합상이 형성되었고 섬유의 평균길이는 ${\thickapprox}$ 2 mm 정도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Ca^{2+}$ 이온으로 완전히 치환된 제올라이트 X, $Ca_{46}-X$$Ca^{2+}$ 이온과 $K^+$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X, $Ca_{32}K_{28}-X$를 완전히 진공 탈수한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Ca^{2+}$-Exchanged Zeolite X, $Ca_{46}-X$, and $Ca^{2+}$ and $K^+$-Exchanged Zeolite X, $Ca_{32}K_{28}-X$)

  • 장세복;송승환;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3
    • /
    • 1995
  • $Ca^{2+}$ 이온으로 완전히 치환된 제올라이트 $X(Ca_{46}Al_{92}Si_{100}O_{384})$$Ca^{2+}$ 이온과 $K^+$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X(Ca_{46}Al_{92}Si_{100}O_{384})$$360^{\circ}C에서2{\times}10^{-6}$ Torr의 진공하에서 탈수한 구조를 $21^{\circ}C에서$ 입방공간군 Fd3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해석하고 구조를 정밀화하였다. 탈수한 $Ca_{46}-X$의 구조는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3\sigma(I)인$ 166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최종오차인자를 R_1=0.096,\;R_2=0.068$까지 정밀화 계산하였고, $Ca_{32}K_{28}-X$의 구조는 130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R_1=0.078,\;R_2=0.056$까지 정밀화시켰다. 탈수된 $Ca_{46}-X$에서 $Ca^{2+}$ 이온은 점유율이 높은 서로 다른 두개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16개의 $Ca^{2+}$ 이온은 이중 6-산소고리(D6R)의 중심에 위치하였고(자리 I; $(Ca(1)-O(3)=2.51(2)\AA)$, 30개의 $Ca^{2+}$ 이온은 큰 동공쪽으로 약 0.44 $\AA$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Ca(2)-O_(2)=2.24(2) $\AA$, $O(2)-Ca(2)-O(2)=119(1)^{\circ}).$ 탈수한 $Ca_{32}K_{28}-X$의 구조에서 모든 $Ca^{2+}$ 이온과 $K^+$ 이온은 4개의 서로 다른 결정학적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 16개의 $Ca^{2+}$ 이온은 D6R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다른 16개의 $Ca^{2+}$ 이온과 16개의 $K^+$ 이온은 큰 동공에 있는 자리 II에 각각 위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Ca^{2+}$ 이온과 $K^+$ 이온은 O(2)의 평면에서 큰 동공쪽으로 약 0.56 $\AA$과 1.54 $\AA$ 들어간 자리에 각각 위치하고 있었다. $(Ca(2)-O(2)=2.29(2)\AA$, $O(2)-Ca(2)-O(2)=119(1)^{\circ}$, $K(1)-O(2)=2.59(2)\AA$, and $O(2)-K(1)-O(2)=99.2(8)^{\circ}).$ 12개의 $K^+$ 이온은 큰 동공에 있는 자리 III에 위치하고 있었다. $(K(2)-O(4)=3.11(6)\AA$ and $O(1)-K(2)-O(1)=128(2)^{\circ}).$

  • PDF

Angelica속 식물 7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Seven Angelica Species)

  • 최혜운;구달회;이우규;김수영;성정숙;성낙술;서영배;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8-121
    • /
    • 2005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당귀속 (Angelica) 식물 7종을 대상으로 핵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귀속 식물들의 기본염색체 수는 x=11로, 체세포 염색체 수는 모든 종에서 2n = 2x = 22로 관찰되었다. 참당귀의 핵형은 K(2n) = 2x = 20m + 2sm, 일당귀의 핵형은 K(2n) = 2x = 12m + 10sm, 당당귀의 핵형은 K(2n) = 2x =16m + 6sm, 고본의 핵형은 K(2n) = 2x = 22m, 바디나물은 K(2n) = 2x = 18m + 4sm, 구릿대는 K(2n)= 2x = 10m + 10sm 2st, 왜친궁은 K(2n)= 2x = 22t로 각각 구분되었다. 염색체 크기는 $3.56\;{\mu}M-8.91\;{\mu}M$ 사이였다. 고본의 체세포 염색체는 모두 중부 염색체로, 왜천궁은 모두 차단부 염색체로만 관찰되어 다른 종들과 이질적인 핵형을 보였다. 한국에 본포하고 있는 당귀속 식물의 핵형과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핵형과 비교에서는 일부 다형현상이 관찰되었다.

융제법에 의한 육티탄산칼륨 Whisker의 합성 (The Synthesis of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by the Flux Process)

  • 이철태;김성원;이진식;김영명;권긍택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78-500
    • /
    • 1994
  • 융제법을 이용하여 육티탄산칼륨 wisker를 합성하였다. 바람직한 융제를 설정하기 위해 $V_2O_5$, $Bi_2O_3$, $B_2O_3$, $Pb_3O_4$, KCl, $K_4P_2O_7$, $K_2WO_4$ 그리고 $K_2MoO_4$의 8가지 형태의 융제가 조사되었으며 반응온도와 반응시간, $K_2CO_3$에 대한 $TiO_2$의 몰비, $K_2CO_3$$TiO_2$의 혼합물에 대한 flux의 몰비, 티탄산칼륨 섬유의 합성을 위한 서냉효과 등의 변수들이 결정화에 미치는 바를 조사하였다. 적절한 융제는 $K_2MoO_4$$K_2WO_4$였으며 이 두 flux를 사용한 적절한 섬유상 결정화 조건은 반응온도 $1000{\sim}1100^{\circ}C$, 반응시간 5hr, 시료 $K_2CO_3$에 대한 $TiO_2$의 혼합물에 대한 융제의 몰비는 4.0 그리고 $K_2CO_3$에 대한 $TiO_2$의 몰비는 6.0이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아울러 서냉조작은 장섬유의 성장에 효과적이었다.

  • PDF

SELF-RECIPROCAL POLYNOMIALS WITH RELATED MAXIMAL ZEROS

  • Bae, Jaegug;Kim, Seon-H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3호
    • /
    • pp.983-991
    • /
    • 2013
  • For each real number $n$ > 6, we prove that there is a sequence $\{pk(n,z)\}^{\infty}_{k=1}$ of fourth degree self-reciprocal polynomials such that the zeros of $p_k(n,z)$ are all simple and real, and every $p_{k+1}(n,z)$ has the largest (in modulus) zero ${\alpha}{\beta}$ where ${\alpha}$ and ${\beta}$ are the first and the second largest (in modulus) zeros of $p_k(n,z)$, respectively. One such sequence is given by $p_k(n,z)$ so that $$p_k(n,z)=z^4-q_{k-1}(n)z^3+(q_k(n)+2)z^2-q_{k-1}(n)z+1$$, where $q_0(n)=1$ and other $q_k(n)^{\prime}s$ are polynomials in n defined by the severely nonlinear recurrence $$4q_{2m-1}(n)=q^2_{2m-2}(n)-(4n+1)\prod_{j=0}^{m-2}\;q^2_{2j}(n),\\4q_{2m}(n)=q^2_{2m-1}(n)-(n-2)(n-6)\prod_{j=0}^{m-2}\;q^2_{2j+1}(n)$$ for $m{\geq}1$, with the usual empty product conventions, i.e., ${\prod}_{j=0}^{-1}\;b_j=1$.

인삼근부(人蔘根腐) 병원균(病原菌), Fusarium solani 및 Cylindrocarpon destructans에 길항적(拮抗的)인 Streptomyces species의 분류동정(分類同定)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species antagonistic to Fusarium solani or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ginseng root rot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3
    • /
    • 1991
  • 인삼병원균(人蔘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으로부터 110종(種)의 방선균(放線菌)을 분리(分離)하여 인삼근부(人蔘根腐) 병원균(病原菌)인 Fusarium solani와 Cylindrocapon destructans에 길항효과(拮抗?果)를 나타내는 3종(種)의 방선균(放線菌)이 형태적 배양적 생리적인 특정에 의거하여 각각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포자사슬의 모양은 강화 6-2(K 6-2) 가 감긴형태 (Spira)였고, 서울 2-1(S 2-1)은 고리형태(Retinaculum-apertum)였으며, 양주 2-2(Y 2-2)는 꾸불꾸불한 형태(Rectus-flexibi-lis)였다. 포자벽 표면의 모양은 강화 6-2(K 6-2)에 서는 바늘모양의 형태(Spiny)인 반면, 서울 2-lCS 2- 1)과 양주 2-2(Y 2-2)에서는 모두 매끄러운 형태(Smooth)였으며, 기생균사체의 색깔은 모두 회색(灰色)계통이었다. 따라서, 강화 6-2(K 6-2), 서울2-lCS 2- 1), 양주 2-2(Y 2-2)는 Streptomyces variabilis, Stre-ptomyces virginiae, Streptomyces griseolus로 각각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

  • PDF

2$^{2n-k}$$\times$2$^{k}$ 토러스의 HCN(n,n)에 대한 임베딩 알고리즘 (Embedding Algorithm of 2$^{2n-k}$$\times$2$^{k}$ Torus on HCN(n,n))

  • 강민식;김종석;이형옥;허영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697-699
    • /
    • 2002
  • 임베딩은 어떤 연결망이 다른 연결망 구조에 포함 흑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떤 특정한 연결망을 다른 연결망에 사상하는 것으로, 특정한 연결망에서 사용하던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다른 연결망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2$^{2n-k}$ $\times$2$^{k}$ 토러스를 HCN(n,n)에 연장율 3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VARIOUS CONTINUITIES OF A MAP f ; (X, k, TnX) → (Y, 2, TY) IN COMPUTER TOPOLOGY

  • HAN, SANG-EO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8권4호
    • /
    • pp.591-603
    • /
    • 2006
  • For a set $X{\subset}{\mathbb{Z}}^n$ let $(X,\;T^n_X)$ be the subspace of the Khalimsky n-dimensional space $({\mathbb{Z}}^n,\;T^n)$, $n{\in}N$. Considering a k-adjacency of $(X,\;T^n_X)$, we use the notation $(X,\;k,\;T^n_X)$. In this paper for a map $$f:(X,\;k,\;T^n_X){\rightarrow}(Y,\;2\;T_Y)$$, we find the condition that weak (k, 2)-continuity of the map f implies strong (k, 2)-continuity of f.

  • PDF

PRECISE RATES IN THE LAW OF THE LOGARITHM FOR THE MOMENT CONVERGENCE OF I.I.D. RANDOM VARIABLES

  • Pang, Tian-Xiao;Lin, Zheng-Yan;Jiang, Ye;Hwang, Kyo-Shin
    • 대한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93-1005
    • /
    • 2008
  • Let {$X,\;X_n;n{\geq}1$} be a sequence of i.i.d. random variables. Set $S_n=X_1+X_2+{\cdots}+X_n,\;M_n=\max_{k{\leq}n}|S_k|,\;n{\geq}1$. Then we obtain that for any -1$\lim\limits_{{\varepsilon}{\searrow}0}\;{\varepsilon}^{2b+2}\sum\limits_{n=1}^\infty\;{\frac {(log\;n)^b}{n^{3/2}}\;E\{M_n-{\varepsilon}{\sigma}\sqrt{n\;log\;n\}+=\frac{2\sigma}{(b+1)(2b+3)}\;E|N|^{2b+3}\sum\limits_{k=0}^\infty\;{\frac{(-1)^k}{(2k+1)^{2b+3}$ if and only if EX=0 and $EX^2={\sigma}^2<{\infty}$.

LOCALLY CONFORMAL KÄHLER MANIFOLDS AND CONFORMAL SCALAR CURVATURE

  • Kim, Jae-Man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245-249
    • /
    • 2010
  • We show that on a compact locally conformal K$\ddot{a}$hler manifold $M^{2n}$ (dim $M^{2n}\;=\;2n\;{\geq}\;4$), $M^{2n}$ is K$\ddot{a}$hler if and only if its conformal scalar curvature k is not smaller than the scalar curvature s of $M^{2n}$ everywhere. As a consequence, if a compact locally conformal K$\ddot{a}$hler manifold $M^{2n}$ is both conformally flat and scalar flat, then $M^{2n}$ is K$\ddot{a}$hler. In contrast with the compact case, we show that there exists a locally conformal K$\ddot{a}$hler manifold with k equal to s, which is not K$\ddot{a}$h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