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ophyl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I. 계란내용물의 질, 콜레스테롤 함량, 난황색, 난중조절, 유기란 (A Strategy for Quality Poultry Egg Production II. Egg Interior Quality; Cholesterol Content, Egg Yolk Pigmentation, Controlling Egg weight and Organic Eggs)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3-153
    • /
    • 2000
  • The egg's interior qu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commercial producers and consumers. Internal quality is complex, including aesthetic factors such as taste, freshness, nutritional and processing values, and the genetic influences upon these upon these factors ranges from none to considerable. The rate of cholesterol synthesis in the hen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animals and humans. Genetic selection, diet drugs and other chemicals can alter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plasma of laying hen, but attempts to manipulate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are generally unsuccessful since the cholesterol can only be changed to a small extent.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the yolk include the type of xanthophyll and its concentration in the feed, the feed composition, and the health of the hen. Several feed ingredients interact with carotenoid pigment to improve or reduce their deposition rates in yolks. Egg weight is determined by genetics, body size prior to first egg housing density, environmental temperature, lighting program, total feed consumption, calcium, phosphorus, niacin, water, methionine, total sulfur amino acids, energy, linoleic acid, fat and protein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d a versatile commodity and new processed egg items need to be developed. Organic eggs are laid by hens which were raised in chemical and drug frdd environments.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producing these eggs due to the availability of organic poultry feeds and cost of organic grains.

  • PDF

Developmental Changes i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 Etiolated Rice Seedlings During Greening

  • Chun, Hyun-Sik;Moon, Byoung-Yong;Suh, Kye-Hong;Lee, Chin-Bum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4호
    • /
    • pp.309-314
    • /
    • 1996
  • Developmental of photosynthetic pigments and changes in chlorophyll fluorescence of dark-grown rice seedlings were studied during greening. Light-illumination stimulated accumulations of total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leaves of etiolated seedling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ratio of chlorophyll a to chlorophyll b. When the composition of carotenoids was analyzed, violaxanthin level was shown to increase up to 24 h after the beginning of light illumination, followed by a subsequent decline. In contrast to this, zeaxanthin level increased consistently with progress of deetiolatin. The role of zeaxanthin is discussed in relation to chlorophyll fluorescence quenching. A study on chlorophyll fluorescence kinetics of the rice seedlings being deetiolated showed a time-dependent increase in Fv/Fm (yield of variable fluorescence/maximum yield of fluoresecnece) ratios, indicating that greening is responsible for the activation of photochemical reaction centers of the photosystem. When chlorophyll fluorescence quenching was examined, qNP (nonphotochemical quenching) and qE (energy-dependent quenching) exhibited a time-dependent decline with progress of greening. The presented results indicate that greening-induced development of the photosynthetic machinery is associated the conversion of the carotenoid violaxanthin to zeaxanthin, suggesting that zeaxanthin synthesized in the illuminated leaves may provide the protection from the damage when etiolated plants are exposed to light.

  • PDF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staxanthin on Histamine Induced Lesions in the Gizzard and Proventriculus of Broiler Chicks

  • Ohh, Mi-hyang;Kim, Seongjin;Pak, Sok Cheon;Chee, Kew-mah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72-878
    • /
    • 2016
  • Astaxanthin (ASX) is a xanthophyll pigment isolated from crustaceans and salmonids. Owing to its powerful antioxidant activity, ASX has been reported to have the potential to protect against gastric ulcers and a variety of other illnesses. Histamine (His) is a dietary factor that causes gastric erosion and ulceration in young chick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ASX had protective effects on dietary histamine-induced lesions in the gizzard and proventriculus of broiler chickens. Four experimental treatment groups were planned: basal diet (BD), BD+His, BD+ASX, and BD+ASX+His, with four chicks (5 days old) in each group and three replications (i.e., a total of 12 chicks per group). The BD was supplemented with either 0.4% His or 100 ppm ASX. The birds were fed ad libitum for 3 weeks, and diets contained no antimicrobial compounds. Supplementing the diet with Hi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 but increased the weights of the gizzard and proventriculus of the chicks as compared with those of chicks in the BD group (p<0.05). ASX did not affect His-dependent changes in chick body weight or weights of the gizzard and proventriculus. The loss of gastric glands in the proventriculus, which was observed in His-treated chicks, was not prevented by ASX administration. The frequency of proventricular ulceration, however, was lowered by treatment with ASX,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pplementation levels. In conclusion, our data showed that ASX might be helpful for alleviating structural damage to the digestive system in poultry under certain stressful conditions.

천연 및 합성 착색제의 첨가가 브로일러의 육성성적, 착색도 및 육색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atural and Synthetic figments on Growth Performances, Skin Pigmentation and Color Difference in Broiler Chicks)

  • 김창혁;김혜정;함영훈;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0
    • /
    • 2003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 착색제의 첨가가 브로일러의 사양성적, 착색도 및 기계적인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중 이용된 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한 수준으로 배합하였으며,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약 8.54g/ton이었다. 본 시험에 이용한 브로일러는 총 450수로 10처리, 처리당 15수씩 3반복하였으며, 총 6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천연 및 합성 착색제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착색제 첨가에 따른 폐사율은 착색제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낮았으며, 합성착색제보다 천연착색제가 우수하였다. 착색도 첨가에 따른 도체율, 복강지방 및 근위무게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정강이 피부의 착색도는 착색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P<0.05), 합성착색제가 천연착색제보다 착색효율이 우수하였다. 정강이육과 피부에 있어서 기계적 색도는 착색도와 일정한 연관성이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만으로 미루어 착색제 첨가는 육색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감안한다면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Ovalbumin으로 유도한 천식 생쥐모델에서 lutein의 Th2 면역반응 연구 (Lutein Modulates Th2 Immune Response in Ovalbumin-Induced Airway Inflammation)

  • 송준영;이창민;이민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8-305
    • /
    • 2012
  • Lutein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carotenoid 계열에 속하는 물질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호흡기 질환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lutein의 효능과 작용 기작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asthma) 생쥐모델에서 lutein은 기도 과민성을 억제하였고,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OVA의 감작에 의하여 증가한 각종 염증성 지표들을 감소시켰다. 또한, OVA의 감작에 의하여 증가한 제2형 협조 T 세포(Th2 cell)의 증가된 반응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lutein이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 생쥐 모델에서 제 2형 협조 T세포의 싸이토카인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약리학적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색종 잎담배의 발효숙성 촉진에 관한 종합적 연구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Forced Aging of Flue-cured Tobacco-Leaves)

  • 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1-27
    • /
    • 1970
  • 황색종 잎담배의 인공발효숙성은 효모처리에 의한 인공발효, 단순한 인공숙성, 2년 저장숙성 및 미처리구로 나누어 미생물학, 물리학, 화학, 생화학적으로 그 변화과정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산 잎담배 Y.S.A의 발호숙성을 촉진시키는 최적 조건으로서는 및 담배를 온도 $40^{\circ}C$평형함수율 18%, 관계습도 74%에 놓아두는 것이 잎담배의 모든 품질적 특성에 가장 양호한 결과를 주는 것임을 알게되었다. 2. 잎담배를 $40^{\circ}C$의 숙성온도 및 74%의 상대습도에서 효모를 첨가하여 약 20일 내외에서 숙성을 촉진시켜 숙성시키면 잎담배의 여러가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1년 및 2년 저장숙성시킨 것과 비슷하게 됨을 알게 되었음으로 그 실용적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3. 온도 $40^{\circ}C$와 평형함수율 18%의 숙성조건하에서 잎담배에 효모를 첨가하여 또는 단순히 조기숙성시켰을 때 잎담배는 그 숙성에 필요한 물리화학적 특성은 약 20일만에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4, 본 실험에서 잎담배의 발효숙성기간중 미생물의 동태는 효모와 세균은 15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고 곰팡이류는 끝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5, 효모구 및 속성구 잎담배의 이화학성은 발효숙성이 $15{\sim}20$일 진행함에 따라 pH는 저하하였고 팽승성과 연소성이 양호하여 졌고 자극순도, 명도주재파장등 색택에 관련되는 물리성이 2년저장 잎담배와 비등하여졌다. 또 총환원성물질, 전당, 전환원당, 알카로이드량은 감소하였고 유기산, ether 추출물은 증가, 전질소 및 단백질량, 조섬유, 회분등은 별 변화가 없었다. 6. 효모 및 속성구의 잎담배는 발효숙성이 15-30일 진행되는 동안 그 개개의 화학성분이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 즉,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당 류-sucrose, rhamnose, glucose 색소류-chlorophyll, carotenes, xanthophyll, violaxanthine polyphenols-rutin, chlorogenic 및 caffeic acid 유기산-iso?tutylic, crotonic, capronic, galacturonic,tartaric, succinic, citric acid 알카로이드-nicotine,nornicotine등 화합물은 감소하였다. 한편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당 류-fructose, maltose, raffnose 아미노산-proline, cystine, 유 기 산-formic, acetic, propionic, malic, oxalic,malonic, α-ketoglutaric, fumaric, glutaric acid 등 화합물은 증가하였다. 7. 잎담배 발효숙성중 생화학적 특성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즉, 30일간의 발효숙성기간중 산소흡수량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alpha}-amylase$ ${\beta}-amylase$}활성도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

  • PDF

HPLC를 이용한 근소만 조간대 퇴적물내의 저서미세조류 현존량, 군집 및 광생리의 월 변화 분석 (Monthly HPLC Measurements of Pigments from an Intertidal Sediment of Geunso Bay Highlighting Variations of Biomass, Community Composition and Photo-physiology of Microphytobenthos)

  • 김은영;안성민;최동한;이호원;노재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태안반도 근소만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MPB)의 현존량, 군집조성 및 광생리의 월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월 1~2회씩 총 16회에 걸쳐 갯벌 표층에 분포하는 저서미세조류 색소를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 분석하였다. 갯벌 표층 1 cm 깊이에 분포하는 저서미세조류의 광합성 색소 중 현존량의 지표로 사용되는 총 chlorophyll a (TChl a) 농도는 연중 40.4~218.9 mg m-2의 범위를 보였다. 2월 24일에 최대값이 나타났고 3월에도 높은 값을 보인 뒤 이후 감소하였다. 저서미세조류의 현존량은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은 값을 나타냈다. Phaeophorbide a 농도의 월별 변동을 통해 동계에 상위 포식자의 낮은 포식압이 저서미세조류 동계번성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주요지시색소를 이용한 저서미세조류 군집조성의 분석결과 저서규조류의 지시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가 연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Chlorophyll b(녹조류), peridinin(와편모조류)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시색소의 농도는 동계에 증가하였으나, fucoxanthin의 농도 증가율이 가장 높아 fucoxanthin을 제외한 TChl a에 대한 주요지시색소의 상대비는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형광광도계와 산소미세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한 퇴적물 내 Chl a와 산소 농도의 연직분포 특성은 퇴적층 표면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Chl a 값과 산소 농도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계로 갈수록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5~7월의 Chl a 농도는 다른 기간에 비해 12 mm까지 연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5월의 산소 농도 분포는 1 mm 이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같은 시기에 phaeophorbide a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저서동물의 포식활동에 의한 산소 소비량이 증가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저서동물의 생물교란에 의해 저서미세조류의 세포가 아래로 옮겨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저서미세조류의 광적응의 지표로 사용되는 diadinoxanthin (DD)과 diatoxanthin (DT)로 얻은 상대적인 비(DT/(DD+DT))는 10월에서 3월로 갈수록 감소하며, 5월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월별로 Xanthophyll cycle의 활성 정도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β-Carotene Hydroxylase 관련 Chyb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Arabidopsis에서 Astaxanthin의 생합성 (Astaxanthin Biosynthesis in Transgenic Arabidopsis by Using Chyb Gene Encoding β-Carotene Hydroxylase)

  • 이호재;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31-237
    • /
    • 2004
  • Oxycarotenoids는 녹색식물, 곰팡이, 효모, 버섯 및 세균 등이 만들어 내는 황색, 적색 또는 자색의 polyene계 색소로 분자내에 산소를 함유하며 생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Oxycarotenoids의 생합성 경로상에 존재하는 $\beta$-carotene hydroxylase 유전자 (Chyb)가 재조합된 Ti-plasmid (pGCHYB)를 A. tumerfacience GV3101에 의해 Arabidopsis thaliana (cv. Columbia)에 형질전환하였다. 50 mg/L hygromycin 함유한 MS 배지에서 선발된 개체를 이용하여 Chyb 유전자의 도입여부를 PCR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Chyb 유전자의 증폭 되지 않았으나 형질전환체에서는 증폭 산물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형질전환체의 발현여부를 RT-PCR분석한 결과 도입된 Chyb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되었다. 형질전환체의 carotenoids를 HPLC 분석한 결과 xanthophyll cycle carotenoids (violaxanthin과 zeaxanthin)의 함량 및 $\beta$-carotene 함량은 감소되었으며, 대조구 Arabidopsis에는 생합성되지 않는 astaxanthin이 생합성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육성된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oxycarotenoids 생합성 과정상의 중간대사물질의 표지, 관여된 transcript 및 metabolite 분석 등을 통해 carotenoids 대사계의 연구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Xanthophylls과 해조 부산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사양성적, 육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anthophylls and See Weed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Col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Broiler Chicks)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착색제와 해조부산물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착색도, 항산화도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 수준으로 배합하였고,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총 30 ppm이 되도록 하였다. 시험처리구로는 대조구(무첨가구, T1), Oro Glo 첨가구(천연황색소, T2), Kem Glo 첨가구 (천연적색소, T3), canthaxanthin 첨가구(합성적색소, T4), asthaxanthine 첨가구(천연적색소, T5)와 해조부산물 첨가구(T6)로 나누어 5주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T6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T2, T3 및 T4에서 낮았고, T5 및 T6구에서는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율과 복강내지방은 처리구간 착색제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근위무게는 T6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리 착색도는 대조구와 T6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착색효과에 있어서는 황색 착색제보다 적색 착색제에서, 그리고 합성착색제보다는 천연착색제에 의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닭고기의 POV, TBARS 및 pH는 저장 12일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처리 간 차이는 대조구보다 착색제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서 CIE L$^{*}$ (명도)값과 b$^{*}$ (황색도)값은 저장기간 및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a$^{*}$ (적색도)값은 저장 12일 후 모든 처리구가 감소(p<0.05)하였으나. T4와 T5구의 a$^{*}$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xanthophylls 종류에 따라 육색에 영향을 미치고, 저장 중 지방산화가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