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apped Steel Pip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09초

수도용 강관의 도복장 재료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Wrapping Material of Steel Pipe for Water Supply)

  • 이현동;이지은;곽필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1-3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생산되는 강관의 도복장 재료 및 방법별로 관체 시편을 이용하여 도복장강관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도복장강관의 원관의 물성 및 화학조성의 분석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강관의 도복장 재료의 물성시험 결과, 블론아스팔트와 콜타르에나멜은 비용이 저렴하고 기계적 성질은 매우 우수하나, 유기용매에 녹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도복장강관이 도복장재료로서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껍게 도복할 경우, 강관 자체의 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당김강도 시험과 음극박리 시험결과, PE-3층 도복장방식이 우수하였으며, PE의 도복장방법에 따라서는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이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PE Fluidized)보다 당김강도가 강하며 음극박리 면적도 작았다.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은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모두 우수하였고, 내화학성도 뛰어났다. 액상에폭시는 수지 선정과 경화 조건에 따라서 도장재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폴리우레탄은 강관과의 접착력도 에폭시에 비하여 낮았으며, 수분 흡수율은 에폭시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을 도복장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레탄의 기본물성과 최적의 도장조건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시편 중에서는 현재 압출식으로 제조한 PE-3층 도복장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앞으로 기타 다른 도복장재료와의 추가 검증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도강관 용접접합의 방법별 비교분석 (The Comparison Analysis of Welding Techniques in Water Distribution Steel Pipes)

  • 김응석;정원식;김성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859-28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관의 도 송수관등 대형관(700mm 이상)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도복장강관의 품질 및 시공, 유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용접접합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용접접합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강관의 사용현황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용접접합별 특성, 그리고 수동 및 자동 용접접합을 비교 분석하여 기술적,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 분석한 용접접합별 특성 검토 결과, 상수도 관로의 관경 700mm - 3,000mm의 현장 시공시 자동용접공법이 수동용접공법에 비해 순공사비 대비 평균 9% 절감되며, 용접공정만 비교시에는 평균 13.5% 이상 절감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KS상 강관 진원도에 대한 허용치가 크며 대부분 겹치기 이음으로 되어있는 국내 현실에서 작업환경이 열악한 경우 진원확보를 위한 시간이 무한정 소요될 수 있어 실제적인 절감액은 더욱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역난방열배관 특성 평가 및 강화이형관의 제안 (Design Validation and Improvement of District Heating Pipe Using FE Simulation)

  • 김주용;김호범;고현일;안영모;조종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4호
    • /
    • pp.337-345
    • /
    • 2009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iability of district heating pipes at thermo-elastic fatigue loading. District heating pipes, subjected to $120^{\circ}C$ and $16kg_f/cm^2$ due to water distributing service through inside the pipes, should endure long term cyclic thermal-mechanical loadings. The heating pipes are the co-centric tubes of steel pipe, poly urethane(PUR) insulator, and high density poly ethylene(HDPE) case. On installation, foam pad is externally wrapped for accommodating stress reduction near the bend sections of pipes. However, there have been frequent reports on the failures of bend sections in the middle of long term service. This study scrutinizes the observed failures near the bend sections through applying the finite element methods. Specially in this study, heating pipes are studied on the influence of foam padding on failures and proposed new designs for reinforced bend without foam pad.

성능검증을 위한 마이크로파일 현장 시험시공 및 재하시험 (Verification Studies for Field Peformance of Micropiling)

  • 구정민;이기환;조영준;최창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368-375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field installation and load test results performed for three types of micropil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new micropiling method. Field tests were performed for two conventional types(i.e., micropile reinforced with steel bar and gravity grouting, micropile reinforced with steel bar and steel casing and gravity grouting) and a proposed type(i.e., micropile reinforced with hollow steel pipe wrapped with geotextile-pack and pressurized grouting). The load test results subjected to axial compression and tension and lateral loading condition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micropiles were exposed in the air in order to verify the installation quality and curing condition of grouting material via ground excavation. Axial compression and tension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 micropile type provide at least 40% higher bearing capacity than that of conventional typ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xposed piles, it is induced that the proposed method, packed micropile, provides better interlocking between grouts and surrounding soils and increases higher frictional resistance comparing to conventional types.

  • PDF

마이크로파일의 하중전이특성 및 지지성능 분석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bearing capacity of micropiles)

  • 구정민;최창호;조삼덕;이기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899-90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 of load-transfer mechanism and pile mov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frictional resistance to understand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micropile behavior. An field load tests were performed for two different types of micropiles and they are (i) thread bar reinforcement with D=50mm and (ii) hollow steel pipe reinforcement with $D_{out}$=82.5mm and $D_{in}$=60.5mm and wrapped with woven geotextile for post-grouting. The loa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micropiling with pressured grouting provided better load-transfer characteristics than micropiling with gravity grouting under both compressive and tensile loading conditions in that unit skin frictional resistance is well distributed along installation depth. The unit weigh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ured grout were obtained for each piling method. The strength and unit weight of micropile with pressured grouting was higher than those with gravity grouting. The fact that load bearing quality with pressured grouting is better than that of gravity grouting could be attributed to the dense mutual adhesion between surrounding ground and pile due to pressurized grouting method and better grout quality.

  • PDF

상수도 시설물의 지진 취약도 (Study on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Water Supply Facilities)

  • Lee, Changsoo;Shin, Deasub;Lee, Hodam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5-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시설물에 대해 손상단계를 기능수행과 붕괴방지로 나누고, 해외실측지진과 한반도형 인공지진에 대해 각각의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른 취약도 함수를 도출하였다. 손상단계 및 지반가속도를 이용하여 상수도시설물의 지진파에 따른 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도복장강관과 덕타일 주철관에 한반도형인공지진을 재하하는 경우, 해외실측지진을 재하하는 경우에 비하여 중앙값이 최소 0.1에서 최대 0.4까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반도형 인공지진을 이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은 국내실정에 맞는 합리적인 내진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