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Literature

검색결과 1,210건 처리시간 0.03초

Factors Affecting Quality Management Failure in Construction Projects

  • Lee, Seulki;Yu, Joungho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6-81
    • /
    • 2024
  • Identifying the root causes of substandard construction projects is crucial considering the social and economic issues structural failures can cause. To date, the focus has predominantly been on identifying and penalizing the culprits rather than uncovering the fundamental reas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contribute to failures in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aspects of substandard construction projects,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substandard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61 influential factors were identified. A survey targeting participants including structural designers, architectural designers, construction companies, CM, and researchers was conducted to gauge the consensus on these fact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data from 724 survey respondents. Ultimately, based on the 17 key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9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ubstandard construction projects were propo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lucidates the reasons behind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management failures that lead to substandard construction projects and establishes a framework for developing practical solutions to real-world problems rather than theoretical or abstract ones.

고문헌을 통해 본 영릉(英陵)의 원형공간과 시공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Yeongneung's Original Layout and Co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Works of Ancient Literature)

  • 이창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69
    • /
    • 2012
  • 본 논문은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40기의 조선왕릉 중 우리 민족이 가장 존경하는 세종대왕의 영릉에 대하여 고문헌을 통하여 원형공간과 복원, 시공방법 등을 고찰해 본 문헌적 연구이다. 영릉(英陵)은 세종대왕과 그의 비 소헌왕후 심 씨의 능으로 조선의 42기 왕릉 중 그 조영 방법이 독특하며, 천장의 역사를 갖고 있어 인물사 못지않게 중요한 공간이다. 영릉의 고문헌은 정조(1786)때 작성된 (영릉보토소등록(英陵補土所謄錄))과 (춘관통고(春官通考)) 그리고 고종때 작성된 (영릉영릉보토소등록(英陵寧陵補土所謄錄), 1900년)과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능역조영의 용어정의, 2) 능원의 공간구성, 3) 능역시설물의 특성, 4) 공사규모 및 내역, 5) 능원의 식생 등의 내용을 검토할 수 있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된 문화시설은 그 원형을 잘 보존해야 하며 보존관리도 원래의 공법을 활용하는 등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형 고증적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상기의 내용에서 세종과 소헌왕후의 영릉에 대하여 조영적 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릉의 원형공간 이해와 향후 복원 등의 제안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석(多夕) 류영모(柳永模) 시조(時調)의 특질(特質) (The Features of Daseuk Ryu, Yeungmo's Sijo)

  • 박규홍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4집
    • /
    • pp.199-221
    • /
    • 2006
  • 국문학사상 최다의 시조를 지은 다석 유영모와 그의 시조를 처음으로 국문학계에 소개한 필자는 이 후속 연구를 통해 그의 시조가 지니는 국문학사적 의의와 특질을 좀 더 세밀하게 밝히고자 했다. 독자적인 신관(神觀)을 수립한 종교사상가 다석은 자신의 사상을 2,200여 수의 시조로 읊었다. 국문학사상 종교를 수용한 시가문학은 적지 알았지만 다석의 시조가 갖는 의미는 특별하다. 조선조의 불교가사는 향가 이후 가장 대중화된 종교적인 시문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석은 가사를 발표한 적도 있지만, 그가 20년간이나 꾸준히 그의 사상을 담아낸 문학양식은 시조였다. 시조에 종교사상을 이처럼 담아낸 것은 전례 없는 일이다. 다석은 종교계뿐만 아니라 국문학계에도 분명한 족적을 남겼다. 다석 사상의 정수가 담겨 있는 시조의 시어에 내포된 의미뿐 아니라 그 시어의 표면적 의미까지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의 시조 시어 하나하나에는 고농도의 종교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또 극도로 절제된 시적 표현은 매우 특이한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다석은 한글을 자신의 사상을 온전히 표기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도구로 여겼고, 시조는 그것을 담을 가장 적당한 문학양식으로 보았다. 난해한 그의 시조는 누구에게 보이느냐는 것보다 진리의 말씀을 얼마나 충실히 담아내느냐는 것에 관심을 가진 결과로 판단된다. 시어 하나하나의 해득이 어렵다고 하여 그의 시조를 더 이상 방기할 수는 없다. 계속 후속 작업이 이어져 국문학사상 최다일 뿐 아니라 가장 독특한 그의 시조문학을 국문학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 PDF

T. S. Eliot의 "The Waste Land"에 나타난 주제와 형식 (Theme and Form in T. S. Elopt's "The Waste Land")

  • 양현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4호
    • /
    • pp.249-267
    • /
    • 1998
  • "The Waste Land" is Eliot's best known poem. It was first published in 1922 and became a famous poem in modem poetry by the 1940's. The poem is a statement of his personal experience with spiritual crisis, this simple outline is complicated and universalized by being se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isher King legend'. The fisher King legend was studied by Miss Weston in From Ritual to Romance and Sir James Frazer in The Goldon Bough which traced the vegetation myths. It explained the cycle of the seasons in relation to the death and rebirth of a god. The god died in the winter with the death of the vegetation and was reborn in the spring with the rebirth of the vegetation. Sir James Frazer reaced these ancient rituals within the Christian world. He indicated that the death and rebirth of Christ falls within the pattern of this ancient ritual. Also Miss Weston transformed that ancient ritual into Christian terms, and connected it with the Quest for the Holy Grail. Eliot used not only the title, but the plan and a good of the important symbolism of the poem from these two books. "The Waste Land" is a difficult one because of the numerous interruptions in the narrative. On the superficial level, the story covers a 12-hour period in a day. It is also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t might be called the internal monologue; that is, "the free association of ideas in the mind of the narrator," Eliot experiments with both the idea of time and with the stream of consciousness, He employs a number of quotations and allus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So, his technique in "The Waste Land" consists of the juxtaposition of the present with mythcism and religious symbolism derived from the past.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built out of the contrasts in time. The poem illustrates his conception of the past as an active part of the present. "The Waste Land" has "a symphonic structure" composed of five parts, which are linked by the repeated themes. The theme is the death and salvation of the Waste Land. It is drawn from the Fisher King myths. Moreover, he has absorbed into the structure of this poem the language, phrases, and associations of other writers. It gave the poem the universality both of theme and of pattern. Also, his intricate and fine techniques added the universality to the poet's personal material. At last, the verse pattern of the poem follow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thematic patterns. Again in symphonic style, the vers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The interruption of real time is associated with the flow of consciousness. Though the poem is a complex structure, there are the interweavings of a great deal of ideas into a simple, brief statement. By these poetic techniques the poem manages to have good harmony and unity between the thematic pattern and narrative structure. "The Waste Land" therefore, became the greatest poem in the 20th century modern world.

  • PDF

<하생기우전>의 서사구조와 작가적 의미 -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Writer's Intent in the Hasaenggiwoojun(何生奇遇傳))

  • 문범두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7호
    • /
    • pp.111-149
    • /
    • 2018
  • 이 연구는 <하생기우전>의 서사구조를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이를 작가의 삶이나 사유방식과 대응시켜 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구성의 앞부분 갈등 양상은 기존 견해와 다른 방향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입신공명과 애정추구라는 두 가지 다른 지향의 이면에는 주인공의 자기실현 방식이 일관된 문제의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사회 문제로 부터 남녀애정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자아의 내면적 지향이 갈등의 동기가 되고, 동시에 그것이 갈등을 극복하는 요인이 되는 방식으로 의미구조가 설정되어 있다. 혼인 허용 여부를 둘러싼 갈등의 이면에는 부모가 누린 삶의 방식에 대한 여인의 저항과 반대가 그 중심을 이룬다. 의미를 확장하면 부모의 개심(改心)은 곧 왜곡되고 편향된 사회의 변화를 상정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그 사회의 변화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차원에서 개인의 실천 행위를 통해 구현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완결된 삶'을 보여주기 위한 과정이 전체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표면적으로 여인과의 혼인을 통하여 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사대부 지식인의 삶의 방식과 사회 환경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의미구조의 핵심에 두고 있다. 자아와 세계의 갈등이 내면의 성찰, 도덕적 실천 윤리로 귀결되는 지점에서 해소되는 구조가 이를 반영한다. 의미구조가 이처럼 중의적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은 이 작품의 뚜렷한 특징이다. 사회 변화로 읽힐 수 있는 여인 부모의 도덕적 윤리적 반성은 결국 훈구세력에 의해 왜곡된 사회 현실이 사림의 이념으로 개선되어 간다는 뜻을 지닌다. 하생과 여인의 혼인, 그 후의 성취로 표현되는 상황은 결국 사림의 실천적 윤리의식이 개인으로부터 사회로 확산해 감으로써 사림 주도의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재의 의지가 낭만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고우영의 만화 <놀부뎐>의 서사 변용 양상과 흥부전의 수용문화 (Adaptation of Ko woo-young's Nolbudyeon and Receptio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 황혜진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3호
    • /
    • pp.5-4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만화가 고우영(1939-2005)을 고전에 대환 자신의 이해와 해석을 동시대인들에게 확산시킨 창조적 수용자라고 보고, 일련의 고전소설을 개작한 그의 작업 중 흥부전의 개작인 <놀부뎐>(1988)을 대상으로 서사변용 양상을 살피고 이를 가능하게 한 흥부전의 수용문화를 고찰하였다. 특히 고우영의 작품은 '어떻게 하면 과거의 문학을 현재의 고전으로서 살아있게 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좋은 참조가 된다. 기존의 흥부전과 다른 특징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어 사건 구성과 인물형상화, 시공간적 배경에서 작품의 서사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이 작품은 흥부와 놀부가 태어나게 된 사연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족 관계 속에서 둘의 성격 형성 과정을 서사화하는 '앞이야기 이어붙이기'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이 작품이 성격과 성향이 다른 형제 간의 갈등을 서사의 중심 문제로 취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한편, 결말 처리에 있어서는 모호성과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권선징악의 주제를 구현하던 흥부전에 대한 대화적 답변이라 할 수 있다. 인물형상화 면에서는 새로운 인물의 삽입과 기존 인물에 대한 재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하였다. 새로운 인물인 놀순이와 연생원은 각기 자기 사연과 개성을 가진 인물로 등장하여 놀부와 흥부의 성격 형성과 인생행로에 영향을 미치면서, 형제의 서로 다른 성격을 매개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를 함께 갖춘 흥부와 놀부의 성격형상화를 통해 <놀부뎐>은 기존의 흥부전이 보여주는 선악관, 인간관에 대해 의문을 드러내며 겉모습으로 사람의 선악을 쉽게 판단하는 세태를 비판할 수 있었다. <놀부뎐>의 시공간을 이해할 때, 작품의 시공간적 배경은 흥부와 놀부가 살고 있는 서사세계와 작자와 독자가 살고 있는 당대가 혼융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흥부, 놀부의 외면은 전승되는 서사세계에서 가져왔으되, 그들이 사유 방식과 감성 구조는 현대적인 것이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이질적인 시공간에 속한 사물과 이와 연관된 사건들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런 시공간의 혼융은 흥부전이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동시대에 진행되는 현재의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하면서 <놀부뎐>이 현재의 삶을 빗댄 이야기임을 재확인하게 한다.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Explication and Rational Conceptualization of Metaverse)

  • 송원철;정동훈
    • 정보화정책
    • /
    • 제28권3호
    • /
    • pp.3-22
    • /
    • 2021
  • 개념 정리도 되지 않은 채, 언론과 업계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Snow Crash, 1992)'에서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래로, 미국의 미래가속화연구재단(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ASF)이 2007년 메타버스 개념을 처음 정리했지만 이후 메타버스는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20년 가을 엔비디아(NVIDIA)가 실시간 3D 시각화 협업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소개하며 제2의 인터넷으로 메타버스를 설명하고, 로블록스(Roblox)가 기업공개(IPO)를 하며 자사의 서비스를 메타버스로 설명하면서,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세상으로 인식하게 됐다. 이 연구는 어느새 미디어와 콘텐츠를 넘어 새로운 삶의 공간으로 그려지는 메타버스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정리하고, 메타버스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메타버스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서 ASF가 제안한 두 개의 축과 네 개의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가상세계, 거울세계, 증강현실, 라이프로깅의 의미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연구를 통해 정리한 후에, 메타버스 설명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인간 중심, 사용자 중심의 메타버스 정의로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실, 비현실 경험, 그리고 확장현실을 제안하며, 메타버스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했다.

남해안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 및 보존 방안 (A Scheme for listing on FAO GIAHS and Preservation of Juk-Bang-Ryeum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25-336
    • /
    • 2019
  • 사천과 남해섬을 잇는 한려해상국립공원지역에는 우리나라에서 농어업유산으로 가장 보존가치가 높은 죽방렴이 있다. 남해안의 죽방렴은 국가 문화재 명승 제71호로 지정되었으며, 또한 국가중요 어업유산 제3호로 등재된 우리의 중요한 어업자산이다. 죽방렴은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적 자산으로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면서 환경을 보호하는 독특한 전통적 어로방식을 가진 어업형태로서, 바다에 아름답게 펼쳐진 경관은 미래에도 전해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유산인 것이다. 본 연구는 남해안 죽방렴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이를 전통, 계승, 발전하고자 국제연합(UN)의 전문기구인 국제 연합의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인증하는 세계중요농어업유산(GIAHS)의 등재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을 통하여 신청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FAO의 GIAHS 등재를 위한 주요 특성과 요건들을 하나씩 검토하고, 죽방렴이 이러한 특징들을 갖추었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죽방렴의 역사성과 현재 상태를 살펴보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방안들 제시한다.

5-11세 소아에서 코로나19 백신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icacy and Safety of COVID-19 Vaccines in Children Aged 5 to 11 Years: A Systematic Review)

  • 최미영;유수연;정채림;최영준;최수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28-36
    • /
    • 2022
  • 목적: 5-11세 소아에서 코로나19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방법: 2022년 1월 4일까지 Ovid-MEDLINE 및 medRxiv를 검색하여 문헌을 선정하고 자료를 추출하였다. 근거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GRADE 도구를 사용하였다. 결과: 총 1,675 건의 연구가 일차적으로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5편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서로 다른 4개의 코로나19 백신(BNT162b2, mRNA-1273, CoronaVac, BBIBP-CorV)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결과들은 5-11세 연령에서 각 백신의 양호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미국에서 5-11세 소아 연령에서 BNT162b2 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모니터링 연구에서는 승인 전 임상시험을 통해 예상되었던 국소반응 및 전신반응이 보고되었으나 중대한 이상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5-11세 연령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이 연령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학과 환상통 - 이응준의 『약혼』을 중심으로 (Modern Medicine and Phantom Pain)

  • 반재유
    • 의학교육논단
    • /
    • 제13권1호
    • /
    • pp.25-34
    • /
    • 2011
  • Modern medicine has early experienced the absence of mimesis and has been trying to replace the absence with objective grounds and experimental data. However, as medicine became science, the crisis of medicine spread more widely. Microscopic powers and violences are invisible, but individuals are powerless and vainly unable to resist. The anguish or introspection about the situation is sometimes described in stories such as An Engagement by Lee Eung Jun. An Engagement is mentioned in this article due to the writer's attitude, which shows his introspection and desire for harmony through the wounds of each trivial character. The writer is unceasingly talking about suffering people in his story and his seriousness enables readers to find his stronger sympathy over life and death than in any other medical stories. In fact, it is impossible for readers to comprehend the confusing propositions which the writer pours out, and even uncomfortable to read the story. Nevertheless, the propositions are always in contact with reality. Perhaps it is not the writer's confusing propositions that make us uncomfortable. It might be ourselves who are always alienated and starved. We can say that the characters' pains and wounds are phantom pains caused by the absence of mimesis. Since there is no affected area, their pains cannot be measured by only scientific medicine. However, the current medical profession regards objective research evidences as absolute truth and allows them to be the sole criterion. Although scientific skills such as DNA analysis and MRI scan can be the substitutes for doctors' judgment, so much of medicine is st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 Engagement. As a person promises to marry another, as all beings together in the world promise to subordinate to one another, every subject is consistently a valuable part of each other for the writer's eyes. He is aware that it is originally impossible to get engaged to the world, but he does not give up the possibility of genuine communication. In today's post-modernism society, where a large number of pathological views define the members and the world itself, endless questioning of existence and digging into pathology will be the only way to reduce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world. This article does not say that a literary work will lead the change of medical paradigm. It sprang from a desire for medical humanities to gain more interest of the medical field, where the encounter between literature and medicine is still unfamiliar, and to make medical educatio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Starting with this work, I believe that the humanities will help us to find the solution to the age of absence of mimesis and to the crisis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