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ing memory load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연 표본 대응 과제에서 나타나는 젊은 남성 강박장애 환자의 작업기억 결손 (Working Memory Impairment in a Delayed Matching-to-Sample Task Among Young Male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부영준;박진영;김찬형;김세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7
    • /
    • 2022
  • Objective : Impaired working memory has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with growing evidence. Delayed matching-to-sample task (DMST) is a working memory task which have an advantage in analyzing several different working memory processes in one task.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failed to reveal the working memory impairment with the DM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working memory deficit in OCD can be evaluated with the DMST. Methods :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OCD patients and 20 healthy volunteers. Working memory was evaluated with the DMST with two different working memory loads. Accuracy of response and mean response time were measured. Results : OCD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nger reaction time and lower accuracy in DMST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in the task with high working memory loads. Moreover, the difference in accuracy showed interaction with the working memory load.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working memory deficit in patients with OCD can be evaluated with the DMST.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revious negative behavioral results using the DMST were from low working memory load of the task.

작업기억 부하가 단어빈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Word Frequency)

  • 이창환;오지향;편성범;임희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67-571
    • /
    • 2009
  • 본 연구는 단어 재인에서 작업 기억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단어 재인에서의 작업 기억 역할 규명을 위하여 단어 빈도와 직업 기억 부담을 조절한 명명 과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단어 빈도는 작업 기억 부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 기억의 부담은 고빈도 단어 재인에서보다 저빈도 단어 재인에서 더 높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 기억이 저빈도 단어 재인에서 더 많은 영향을 갖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ssessment of long-term working memory by a delayed nonmatch-to-place task using a T-maze

  • Kim, Jung-Eun;Choi, Jun-Hyeok;Kaang, Bong-Ki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11-15
    • /
    • 2010
  • Long-term working memory (LTWM) is a subdivision concept of working memory and indicates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in a working memory task. LTWM has been shown in humans who have been engaged in a specific task requiring working memory over a long time.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understanding of the exact mechanism of LTWM because of limitations of experimental methods in human studies. We have modified the standard T-maze task, which is used to test working memory in mice, to demonstrate LTWM in an animal model. We observed an enhancement of performance by repeated experience with the same working memory load in mice, which can be regarded as an LTWM. This effect seems to depend on the condition wherein a delay was given. This task may be a good experimental protocol to assess LTWM in animal studies.

조현병 및 정신증 고위험군에서의 작업기억 손상 (Working Memory Deficits in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and Schizophrenia)

  • 전임홍;박종석;박진영;조혜현;구세준;이은;안석균;유선국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6-72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verb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functions were impaired not onl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ut also in people at ultra-high risk for first-episode psychosis.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M 13, F 12) with schizophrenia (SPR), 21 people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UHR)(M 10, F 11) and 19 normal controls (NC)(M 10, F 9) were recruited. The working memory was assessed by using the verbal and spatial n-back test. The working memory load increased incrementally from the 0-back to the 3-back condition. Results : SPR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NC and UHR in terms of hit rates of verbal and spatial n-back test. UHR subjects conducted significantly lower than NC and higher in trend-level than SPR in terms of hit rates of verbal and spatial n-back test. These differences were derived from the high working memory load (2-back and 3-back), not from the low working memory load (0-back and 1-bac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erbal and spatial n-back test across the three group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erb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dysfunction may be general rather than differential in terms of stimuli modality, and this working memory deficit may be an important trait factor in schizophrenia.

기억부하가 얼굴과 공간 작업기억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사건유관 fMRI 연구 (The Effect of Memory Load on Maintenance in Face and Spatial Working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 김정희;정광우;강형근;이무석;박태진
    • 인지과학
    • /
    • 제21권2호
    • /
    • pp.359-386
    • /
    • 2010
  • 본 연구는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처리에 대한 영역특수모형과 처리특수모형을 검증하고자 수행한 사건유관 fMRI 연구이다. 지연반응과제에서 얼굴자극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하고 표적자극의 수를 달리하여 기억부하를 조작하였으며 일정한 지연기간 후 위치 및 얼굴 재인판단을 요구하였는데, 지연 동안 정보유형(위치와 얼굴)이 기억부하효과의 신경상관물에 미치는 영향을 뇌영상 처리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은 정보유형(자극영역)과 기억부하(표적자극의 수)로서, 정보유형변인은 얼굴작업기억(비공간작업기억) 및 공간작업기억의 두 수준, 기억부하변인은 표적자극이 1개인 조건(저부하)과 3개인 조건(고부하)이었다. 행동수행 분석 결과, 재인정확도에 있어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작업기억 모두에서 동등한 정도의 기억부하효과가 확인되었다. 뇌 영상분석 결과, 유지단계에서 전전두피질의 하측 및 중/상측영역이 모두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양자와 관련되고 특히 VLPFC가 두 작업기억에 공통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처리성분에 따른 전전두피질의 기능적 전문화를 주장하는 처리특수모형에 더 잘 부합된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Advance Organizers on Mental Model Construction and Cognitive Load Decrease

  • OH, Sun-A;KIM, Yeun-Soon;JUNG, Eun-Kyung;KIM, Hoi-S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2호
    • /
    • pp.145-16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y advance organizers (AO) are effective in promoting comprehension and mental model formation in terms of cognitive load. Two experimental groups: a concept-map AO group and a key-word AO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ere used. This study considered cognitive load in view of Baddeley's working memory model: central executive (CE), phonological loop (PL), and visuo-spatial sketch pad (VSSP). The present experiment directly examined cognitive load using dual task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entral executive (CE) suppression task achievement for the concept map AO group was higher than the key word AO group and control group. Comprehension and mental model construction for the concept map AO group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eriority of concept map AO owing to CE load decrement occurred with comprehension and mental model construction in learning. Thus, the available resources produced by CE load reduction may have been invested for comprehension and mental model co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인지 부하가 분업에 미치는 영향: 작업기억과 결합 사이먼 효과 (Effects of Cognitive Load on the Division of Labor: Working Memory and the Joint Simon Effect)

  • 김효정;이재윤;이도준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11-22
    • /
    • 2022
  • 사회적인 존재로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위를 빠르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행위 이해는 여러 수준에서 일어난다. 무심코 타인의 의도를 알아챌 때가 있는가 하면, 그들의 목적을 추론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결합 사이먼 효과는 과제를 분업하는 한 쌍의 참가자가 의도치 않게 동료의 행위를 표상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이 효과는 거의 자동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인지부하의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자동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참가자에게 작업기억 부하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결합 사이먼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중과제 구획에서 저부하 집단의 참가자들은 한 개의 숫자를 작업기억에 유지한 채로 사이먼 과제를 분업하였고, 고부하 집단의 참가자들은 다섯 개의 숫자를 유지한 채로 사이먼 과제를 분업하였다. 작업기억 부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중과제 구획과 단일과제 구획의 집단별 사이먼 효과를 비교하였다.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저부하 집단은 이중과제와 단일과제 구획에서 모두 사이먼 효과를 보였지만, 고부하 집단은 어느 과제 구획에서도 사이먼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결합 사이먼 효과가 인지 자원에 의존한다는 면에서 자동적인 현상을 아님을 의미한다. 즉, 분업 참여자는 인지적 자원이 가용한 경우에만 동료의 행위를 과제 표상에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공간 작업기억 용량과 그림 자료의 유형과 내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Type and Contents of Graphic Annotation on Multimedia English Learning)

  • 도경수;차유영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369-396
    • /
    • 2008
  •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시공간 작업기억의 용량에 따라 그림 유형과 그림 내용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두 개의 실험에서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영어단어 설명을 단어로만 주는 조건, 동영상과 같이 주는 조건, 그림과 같이 주는 조건을 비교하였다. 단어검사에서 동영상은 시공간 작업기억 용량이 큰 집단에서만 효과가 있었고, 이해검사에서는 단어설명만 주어진 조건에서 가장 수행이 좋았다. 실험 2에서는 동영상의 내용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단어검사에서는 전형적인 내용을 담은 동영상이 효과가 있었으나, 이해검사에서는 맥락에 적합한 내용의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이해 점수가 높았고, 이 경향은 시공간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집단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 실험의 결과는 멀티미디어 학습의 효과는 인지부하의 정도에 달려 있다는 인지부하이론과 멀티미디어 학습을 여러 수준의 활동의 결과로 설명한 생성이론의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작업기억 부담이 부적 얼굴정서 처리에 미치는 영향: ERP 연구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Negative Facial Emotion Processing: an ERP study)

  • 박태진;김정희
    • 인지과학
    • /
    • 제29권1호
    • /
    • pp.39-59
    • /
    • 2018
  • 작업기억 부담이 부적 얼굴정서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N-back 과제 수행 도중 제시된 부적 얼굴표정에 의해 유발된 ERP성분들을 조사하였다. 한 개씩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시각적 사물그림들에 대한 기억을 유지하고 갱신하도록 요구하면서(N-back 과제) 이 사물그림들이 제시되는 사이에 공포표정 또는 중립표정의 얼굴자극을 하나씩 제시하였는데, 작업기억 부담을 0-back 조건(저부담)과 2-back 조건(고부담)으로 조작하였다. N-back과제 수행반응을 분석한 결과, 고부담조건에 비해 저부담조건에서 더 빠르고 정확한 반응이 관찰되었다. 얼굴자극에 의해 유발된 ERP 평균진폭을 분석한 결과, 후두영역에서 측정한 P1 진폭에서는 정서가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작업기억 부담효과만 유의미하였다(고부담 > 저부담). 후측 후두-측두 영역에서 측정한 N170 진폭에서 얼굴 정서가효과는 전반적으로는 유의미하였지만(부정 > 중립) 세부적으로는 작업기억부담과 반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서가효과가 좌반구에서는 저부담조건의 경우에만, 우반구에서는 두 부담조건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결국, 얼굴표정의 부적 정서가가 N170에 미치는 영향이 좌반구에서는 작업기억 부담에 의해 조절되었지만 우반구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 얼굴 표정의 초기 정서처리가 작업기억의 유지 및 조작 부담이 큰 경우 좌반구에서는 약화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우반구에서는 작업기억 부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어남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부적 얼굴정서 처리의 우반구 편재를 시사한다.

인지부하를 고려한 의학교육 교수-학습 설계 (Cognitive Load and Instructional Design in Medical Education)

  • 오선아;김연순;정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12권2호
    • /
    • pp.27-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finition of cognitive load (CL), the relationship between CL and instructional design, and to provide a viewpoint of CL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in medical education. Cognitive load theory (CLT) makes use of three hypotheses about the structure of human memory: working memory (WM) is limited in terms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it can hold, in contrast with WM, long term memory is assumed to have no limits and organizes information as schemata. CL indicates the mental load on the limitation of WM. CLT has been used to design instructional interventions that help to ease the learning process. Extraneous CL is related to irrelevant instructional interventions, while intrinsic CL is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itself. Germane CL is the cognitive process for acquiring schema formation. It is a necessary CL to achieve deeper comprehension and solve problems. The range of medical education includes complex, multifaceted and knowledge-rich domains with clinical skills and attitudes. Therefore, CLT may be used to guide instructional design in medical education in terms of decreasing extraneous CL, adjusting intrinsic CL and enhancing the germane 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