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nju strea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원주천의 어류군집 건전화를 위한 하도의 서식구조 특성분석 (Analysis of Channel Habitat Characteristics for Soundness of Fish Community at Wonju-stream)

  • 최흥식;최준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B호
    • /
    • pp.311-317
    • /
    • 2009
  • 원주천 수환경과 어류군의 조사연구를 기초로 하여 표본 집단 사이의 유사지수를 파악하고 UPGMA 분류법을 사용한 어류군집의 cluster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주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복원을 위한 지표어종으로 독중개, 갈겨니, 피라미를 선택하였다. 서식환경 향상으로 하수관거의 재정비와 유역관리를 분석을 통한 갈수유량 증대와 그에 따른 수질향상을 분석하였다. 원주천 중류의 복원목표 어종으로 갈겨니를 선택하여 복합 서식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갈수유량의 증가는 서식적합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로의 변경에 따른 수심과 유속의 변화가 복합서식적합도의 향상을 가져오지만 지배적인 변수는 아닌 것을 확인하였다. 갈수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저수로 폭을 10%씩 줄인 결과는 초기 복합서식적합도 0.1~ 0.25에서 0.37~ 0.78로 약 3배 이상의 향상을 가져와, 이를 원주천 어류군집의 서식 적합한 하천구조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만곡하천의 자갈하상재료 분포에 따른 한계수류력 평가 (Estimating Critical Stream Power by the Distribution of Gravel-bed Materials in the Meandering River)

  • 신승숙;박상덕;이승규;지민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151-163
    • /
    • 2012
  • 산지하천의 자갈하상재료 분포는 최근 특정규모 홍수의 수류력에 의한 유사 이송 및 퇴적 과정에 의해 형성되며, 장갑화된 하천에서 한계수류력을 평가하는 것은 안정하도설계를 위해 중요하다. 자갈하상 하천 종단지점과 만곡부 일정구간의 세부지점에대한하상재료의입도분포를조사하고, 한계유속 및 한계수류력을 평가하였다. 자갈하상 재료에 대한 Yang의 한계단위수류력과 Bagnold의 한계수류력은 상류로 갈수록 급격히 증가했다. 계획홍수량에 근거한 무차원 전단응력은 Shields 도표에서대부분조사지점의자갈하상재료가소류사형태로이동하는것으로평가되었다. 만곡부에 대한 평균입경은 상류 유입수의 1차 수충지점에서 가장 컸으며, 반사흐름에 의한 2차 수충지점에서 두 번째로 큰 입경을 보였다. 수충직하류지점들에서상대적으로작은평균입경을보였다. 만곡부의 평균한계유속 범위는0.77~2.60m/s의 범위이며, 한계단위수류력은 경사가 급한 1차 수충부에서는 상당히 컸다. 한계수류력의 분포는 7~171W/m2의 범위로 하천 횡단보다는 종단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고, 만곡 외측 1차 수충지점과 반사흐름 2차 수충지점에서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주천의 어류군집 동태 (Studies on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Wonju Stream)

  • 최준길;변화근;석형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74-281
    • /
    • 2000
  •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원주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24종이었으며 이중 한국특산종이 8종으로 전체종의 33.3%를 차지하였다. 원주천 전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 중 Moroco oxycephalus(30.7%), Zacco platypus(29.6%), Carassius auratus(10%), Pseudogobio esocinus(9.4%), Rhinogobius brunneus(3.6%)가 우점하였다. Hemibarbus longirostris, Pungtungia herzi,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Zacco temmincki, 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asotus, Silurus microdorsalis 및 Micropterus salmoides 등은 상대풍부도가 0.1% 이하인 희소종 이었다.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은 M. oxycephlus (St. 1, 2, 3, 5, 6), Z. platypus(St. 4), C. auratus(St. 7)등 이었다. 군집분석 결과 St. 3이 가장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Coreoleuciscus splendidus와 Coreopera herzi는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Microphysogobio yaluensis, Liobagrus andersoni, Cottus poecilopus, R.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C. carpio, C. auratus, P. esocinus, M. oxycephalus, Z. platypus 등이다.

  • PDF

강릉 남대천에서 소상하는 연어(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분포와 행동 특성 (Distribu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Namdae Stream, Korea)

  • 김범식;정용우;김우보;홍성익;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61-868
    • /
    • 2022
  • The Namdae stream in Gangneung-si is one of the rivers where salmon stock is mainly maintained by natural spawning rather than artificial seedlings. There are structures including weir, and fish distribution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can be different by these structur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almon by sighting survey within 12 km immediately upstream of the river mouth between October 2021 and February 2022. As a result, salmon distributed within 9 km from rivermouth. There were more salmon in the lower reaches of Doosan weir than in the upper reaches of that. The main spawning ground for salmon was between 7-9 km from rivermouth and around the lower part of Doosan weir. Salmon behaved for spawning in the gravel-bed area and undercut slope of the mainstream, such as mating, digging the riverbed, and competition among males. Salmon moved more slowly in the gravel-bed area than sand-bed area. Doosan weir hinders the spawning migration of salmon by frequent flow changes and terraced fishway. This study provides primary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nges of salmon by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Namdae stream.

뇌졸중 환자 평가를 위한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의 측정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of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for Patients With Stroke)

  • 윤성준;원종혁;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8-58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translated in Korean. This was a new clinical measurement tool for evaluating the recovery of voluntary movement and basic mobility following stroke. A direct-observation reliability study was conducted on 20 patients who had strokes and were in a rehabilitation setting. Subjects were assessed by two physical therapists. The reliability of the STREAM scores was demonstrated by weighted kappa statistics for inter-rater agreement on scores for individual items ranged from .83 to 1.0,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otal score was .99, and for subscale scores was ranged from .96 to .99.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TREAM scores was demonstrated by Cronbach alphas of greater than .99 on the subscales and overall. These high levels of reliability support the use of the STREAM translated in Kore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motor recovery following stroke.

강릉 남대천 부유입자유기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 비와 C/N 비의 시·공간 변동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δ13C and C/N in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Gangneung Namdae Stream, Korea)

  • 곽정현;박현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1-539
    • /
    • 2020
  •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quantity, and quality of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SPOM) in the Gangneung Namdae Stream, Korea, we examine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lly a (Chl a),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nitrogen (PON), and carbon stable isotope (δ13C) of SPOM at six stations in June (pre-monsoon), July (monsoon), and September (post-monsoon) 2017. With increasing precipitation, the average POC and C/N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July than in June. In September, the values decreased with decreasing precipitation. The δ13C values showed irregular spatiotemporal fluctuations among the stations and periods, thereby suggesting a greater contribution of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to the pool of SPOM than that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derived from upstream. In addition, the large and irregular changes in POC, C/N ratio, C:Chl a, and δ13C compared to that of PON were observed for all periods among the stations, indicating a serial discontinuity of the stream.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angneung Namdae Stream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freshwater discharge caused by heavy rainfalls during the summer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s.

연곡천 하류에서 소상하는 연어(Chum salmon, Oncorhynchus keta)의 이동특성 (Behavior Patterns during Upstream Migration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the Lower Reaches of Yeon-gok Stream in Eastern Korea)

  • 김범식;정용우;정해근;박주면;이철호;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885-905
    • /
    • 2020
  • This stud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stream migration of salmo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along Yeon-gok Stream in the ea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from October 24 to November 9, 2018 using radio tag and data storage tag loggers for the detection of the locations of tagged salmon and measurement of water temperatur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case 1 to case 4) depending on the release time and the number of salmon tracked. Experiments from case 1 to case 3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salmon tracked into cases in which a single tagged salmon was tracked (case 1), a pair of tagged salmon was tracked (case 2), and salmon were tracked by different sex ratios (case 3). Experiments from cases 1 to 3 were conducted between 10 AM and 1 PM, and case 4 was conducted after 3:30 PM. Salmon moved and spawned in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Yeon-gok, where water temperature is higher than in other rivers and salmon return in Canada, Russia, Japan, and the U.S.A. Most of the radio-tagged salmon swam in deep and shaded areas during the day but actively moved upstream close to sunset, regardless of the release time. Females showed relatively more active movements than males during upstream migration.

원주천 수서곤충의 섭식기능군을 이용한 군집분석 (Community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in Wonju Stream)

  • 신현선;박승철;김재구;김숙정;박정호;최재석;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9-266
    • /
    • 2006
  • 2004년 5월 29일부터 2004년 11월 6일까지 4회에 걸쳐 원주천의 섭식기능군을 이용해 군집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8목 37과 62속 92종이었으며, 원주천의 현존량과 동태는 지점 7, 9를 제외하고 양호하였다. 원주천의 섭식기능군(FFG)을 알아본 결과 본류는지점 1에서 9로 갈수록 써는무리(shredders)와 긁어먹는무리(scrapers)가 점차적으로 점유율이 낮아지고 주워먹는무리(collectors-gathering)와 걸러먹는무리(collectors-flitering)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점 2는 다른 지류지점에 비해 긁어먹는무리와 써는무리가 다소 높은 비율을 나타내어 산간계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원주천의 각 지점별 유사도분석(UPGMA)을 한 결과 최상류수역을 보이는 지점 1, 2와 중류역의 특성을 보이는 지점 3, 4, 5, 6, 7, 8 그리고 최하류역으로 보이는 지점 9 등,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하천 내 횡단구조물에 대한 수생태 연속성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f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Connectivity of Cross Sectional Structures in the Flowing Stream)

  • 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4호
    • /
    • pp.320-326
    • /
    • 2020
  • 본 연구는 횡단구조물에서의 어류의 이동 특성에 따른 종적 연결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구간은 원주천이며, 대상 어종은 피라미와 잡고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흐름 분석은 HEC-RAS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적 연결성 분석은 ICE 방법을 적용하였다. 종적 연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분석 결과물 중 횡단구조물 상·하류 수위차, 유속, 하류단 웅덩이 깊이에 따른 대상 어종의 유영 속도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피라미의 경우 종적 연결성이 약 76점, 잡고기의 경우 종적 연결성이 약 23점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하천복원 기술을 통한 원주천의 어류 서식처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sh Habitat through Various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in the Wonju-cheon Stream, Korea)

  • 김종주;최종근;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3호
    • /
    • pp.145-153
    • /
    • 2019
  • 본 연구는 저수로 변화를 통한 하천 복원이 수생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어종은 원주천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피라미를 대상으로 하였다. 흐름 분석은 2차원 모형인 River2D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서식처 분석은 서식처 적합도 곡선을 이용하여 서식처의 양과 질을 산정하는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먼저 저수로 복원을 위하여 자연 하도에 가까운 형태로 복원을 하고 저수로 폭을 확대 및 축소하여 설계하였다. 그 결과 저수로 폭의 변화를 확대하였을 때 대상 어종의 가중가용면적은 각각 약 72% 향상되었으며, 저수로 폭을 축소하였을 때는 서식처가 약 25%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