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farmer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요인이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rchasing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4-221
    • /
    • 2016
  • 본 연구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여성들의 구매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에 거주하는 215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구매요인(인지도, 건강관심도, 환경관심도), 소비자태도,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구매횟수에 따른 구매요인과 소비자태도, 그리고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와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구매요인은 모두 소비자태도에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비자태도 또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매횟수의 조절효과는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하게 분석되어 구매횟수에 따른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강도를 달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제시된 내용들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하여 인지하고, 건강에 관심이 있고,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며, 구매의도 또한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및 지역단체에서도 국민들에게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한다면 친환경농산물의 소비는 촉진될 것이고, 이에 따라 농민들의 소득 또한, 증가한다면 친환경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은 늘어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국민들의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연변 농촌지역의 조선족인구 감소와 지역성 변화 - 두만강변 조선족 농촌 마을을 중심으로 - (The Decrease of Korean Population and the Change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 여필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68-682
    • /
    • 2013
  • 본 연구는 경제개혁 이후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내 조선족 인구감소의 메카니즘과 그 결과가 농촌지역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의 시장경제체제의 도입, 호적제도의 약화 및 한 중 국교수립 이후 이동성향이 높아지고 통혼권과 거주지역이 확산되면서 조선족사회는 출산력수준의 급격한 저하와 젊은 층 및 여성 위주의 인구이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곧바로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화로 이어져, 농업의 쇠퇴와 농촌지역의 조선족사회집단 해체, 기능약화, 민족교육의 위축 및 지도력 약화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감소된 노동력을 보완하기 위한 농업경영상의 변화는 타지역 한족(漢族)농민들로 충당되었고 농업의 한족화 현상과 조선족에 비해 한족 농민들의 경제력 상승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작물구성의 변화는 전통적 수전농업 체계에서 한전(旱田) 단작영 농체계로 특화되어 가는 경향이고, 노동력 효율적 분배가 가능한 상업적 작물이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조선족농업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농업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존재하며 이는 결국 조선족농촌마을이 소실될 위기에 놓여 있어 파격적인 정책지원 및 농촌개발정책의 수립이 중요하다.

  • PDF

고령화 사회 농촌 노인의 노동과 여가의 시간 배분 (Allocation of Time between Work and Leisure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 이기영;김외숙;이연숙;이승미;홍두승;조흥식;김유경;김소영;정수인;조희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3호
    • /
    • pp.131-1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llocation of time between work and leisure by the rural elderly in Korea.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fm households during the peak ($17^{th}\;to\;30^{th}$ June) and off-peak ($28^{th}$ November to $10^{th}$ December) farming seasons of 2005 using time diar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120 elderly over 65 years old living in rural area in eight provinc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ime spent of farm work by rural elderly in much longer than average work hours of elderly in general regardless of farming season. The indicates that the elderly farmers are the sustaining forces of agriculture as the urban industrial sector absorbs the younger labor force rural area.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ork time(including form work, housework, and farm work plus house work) by gende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living arrangements. (3) The rural elderly spends less time in leisure compared to the elderly in general even during the off-peak season. (4) Especially during the peak season, time allocation between work and leisure by the rural elderly is heavily skewed, resulting in an inadequate amount of time for reproduction of labor. (5) There is only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e amount leisure time regardless of farming season. (6) Male elderly farmers work approximately 30 minutes to 1 hour longer on farm than the females do, but the total work time (farm work plus housework) of female elderly is longer than that of the male elderly. There i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eisure time during the peak season, whereas the men have more leisure than the women during the off-peak season. To conclude, the gender differences in time allocation among the rural elderly are minimal. However, the rural elderly of both genders suffers from excessive work hours and heavy workload compared to the urban counterpart.

  • PDF

귀농 인프라와 귀농자의 특성이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turned Farming Infrastructure and Returned Farming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after Returning Farming)

  • 이지훈;김명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9-148
    • /
    • 2020
  • 본 연구는 귀농 준비, 귀농지 주변환경, 귀농 지원 정책, 가족 지지도, 귀농 의도가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귀농 지원정책 담당자들에게 귀농 장려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적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자들이 혼자 판단하기 보다는 충분히 가족들과 상의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고, 귀농의 준비를 다양화함으로써 귀농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지 주변에 대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마을 주민과 청년회 및 부녀회 등을 통해 농촌생활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SNS, 유튜브 등을 개설하여 귀농생활의 즐거움과 귀농성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귀농에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젊은 층이 귀농 및 귀농 정착을 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 시설 제공, 귀농자 모임 결성 등을 통해 젊은 농촌 만들기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귀농 정책 담당자는 귀농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정책(예: 1년간 귀농해보고 정착하기, 농지 무상지원, 기관에서 판로 확보 보증제, 선진국 견학, 농지 시설현대화 지원 100%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이 귀농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농사 외에 부수적인 경제 활동꺼리(거주지에 대한 숙박 제공-에어비앤비, 귀농 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직장 업무와 관련된 재능 기부, 농촌 체험 등)등을 할 수 있도록 귀농자들에게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농촌노인의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이용실태 - ‘노인생활지도마을’을 대상으로 - (The Study of Community-oriented Welfare Service for the Rural Elderly - Focused on ′Villages Supported by Special Programs for the Rural Elderly′ -)

  • 이정화;송미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9-165
    • /
    • 2004
  • In Korea,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is becoming a major concern. By the way, social welfare services is less available and accessible to the rural elderly. And we have very limited information about community -orient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lack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rural area resulted from mainly geographic isolation and economic deprivation. So,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1) to explore what the social welfare service is benefited from governmental or local assembly. 2) to explore what kind of community services is provided for the rural village and elderly. 3) to appear the political propose for the rural elderly. In South Korea,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urrently operate 'villages which is supported special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QOL of rural elderly' in 110 villages. It is a model governmental welfare service for rural area. For the purpose, the survey data is gathered from community level data per village (107 villages), individual survey data(881people) who live in the village and qualitative data. Two kinds of quantitative data is combined to form a data.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a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t was founded that the majority family type of the rural elderly is elderly-only households(75%). In case of poor elderly, they have very limited social insurance benefit and they can not get medical services with satisfaction. The result show that the welfare facilities per village an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extremely low while the needs of welfare service is greate high. A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rural villages is that they receive a lot of services from private sectors, like as Women Farmers Union, Adult Union. They operate voluntary welfare services related to food supporting, education for the elderly, free haircut services and so on. In conclusion,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rom private sector has specialty in rural area. We conclude it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rural community.

  • PDF

전라남도 농촌주민의 농기구 및 농기계 사고에 대한 실태조사 (A Study on Farming Tool-Machinery Injuries in Chonnam Province)

  • 손명호;신준호;이명학;문강;손석준;최진수;김병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8권2호
    • /
    • pp.121-129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related factors of farming tool-machinery injuries developed in the Chonnam rural area in 1992. A total of 9,068 persons (4,571men and 4,497women)were selected in a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anner, and interviewed individually to complete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vering farmer characteristics, duration of farm working, annual income, kind of farming tools and machinery, type of injuries and medical c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rate of farming tool-machinery injuries was 63 per 1,000 persons over all, 73 in males and 54 in females. The age standardized incidence rate was 69 per 1,000 persons over all, 83 in males and 65 in females. 2. The associated factors with farming tool-machinery injuries in univariate analysis were sex, age, duration of farming and monthly income. The occurrence of injuries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an, and the higher in high-income group than in the low-income group. 3. More men than woman were involved in trunk injuries and treated at the large scale medical care units such as hospitals, and they paid much higher medical fees. 4. The complaint rates for each item of farmers' syndrome in the injure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 injured group in 'shoulder stiffness', 'sleeplessness', 'dizziness', and 'gastric fullness'. 5. Wh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farming tool-machinery injurie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farmer's syndrome, age, and duration of farming in both males and females.

  • PDF

장류가공사업 농가의 운영과 판매 실태 (Business Management and Marketing for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he Level of Farmhouses)

  • 김은미;김화님;이승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9-109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marketing and management data from businesses run by farmers producing traditional Kanjang and Doen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ermentation processing sites at farmhouse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soybean fermentation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30 small size farmhouse Kanjang and Doenjang processing sites nationwide. The frequency, percentage, t-value, chi-square, and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armhouse business surveyed were generally operated by rural women for non-farming business income. The percentage of co-worked sites was 71.2 while the percentage of sites operating with permits was 39.2. Generally, the the facilities, size, number of working people, and output were very small. The areas in which the products were sold, site-located regions and region metropolises, were equally weighted. Sales volumes in region metropolises for sites with permits were a little higher than sites without permits. Without regard to operation type, the percentage of sales was highest in cases of direct sale by customer order. Co-worked sites have been found to have more experience in publicity than individually operated sites. As for methods of publicity, co-worked sites use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dividually operated sites usually use social organizations and acquaintanc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ales of each site totaled 25 million Won. The average income of each site was 12 million Won, and average income per participant was 3 million Won. Total sales income for sites with permi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ites without permits. But personal income was much higher at individually operated sites without regard to whether the site had a permit or not. This kind of business was found to contribute to an individual's time management skills as well as instill a sense of pride.

  • PDF

잠비아 소규모 여성농업인의 농업투입요소에 대한 보조금 접근도의 성차별 평가 (Evaluating Gender Differences in Accessing Subsidies of Agricultural Inputs by Small Scale Women Farmers in Zambia)

  • 프리셔스 마쿤카;황한철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249-259
    • /
    • 2013
  • 잠비아의 농업지원프로그램에서 여성농가의 경우 남성농가에 비해 각종 혜택에서 소외받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본 연구는 소규모 여성농업인이 옥수수 씨앗이나 비료 등의 농업투입요소에 대한 보조금의 혜택에서 어느 정도 차별을 받고 있는 지를 잠비아의 농업투입지원프로그램을 사례로 검증하고자 한다. 즉 농업투입요소 보조금에 대한 성차별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가 선행되었고, 잠비아 마자부카지역의 소농가 1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농경지의 소유 유무나 규모가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남성농가의 경우 여성농가에 비하여 자가농이 많았으며 농지 소유 규모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남성농가: 평균 2.03ha, 생산량 4.43Mt, 여성농가: 평균 1.63ha, 생산량 3.15Mt). 기아의 경험 정도는 여성농가에 비해 비교적 남성농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옥수수 생산에 있어 같은 양의 투입요소라고 하더라도 여성농가가 남성농가에 비해 식량 안보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남성농가에 비해 여성농가의 낮은 수입이 결국 농업투입요소의 접근에 장애가 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남성농가와 여성농가의 농업투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불공평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가들의 인식의 변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여성농가를 위한 농업정보나 농작물 재배지식 등의 전달 및 훈련 등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이며 계획적인 접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들의 신체활동 장애와 우울감 사이 의존성의 매개효과 (Physical disability, perceived dependence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osteoarthritis)

  • 박기수;양현수;김보경;전혜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4호
    • /
    • pp.221-227
    • /
    • 2015
  • 본 연구는 관절염 환자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제한, 이러한 활동에 대한 상대적 의존성 그리고 우울감 사이의 관련성을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농업인 중 관절염을 앓고 있다고 응답한 자 중 209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절염으로 인한 세 개의 활동영역(개인의 신변활동, 집안일, 거주지에서의 이동성 등)은 활동제한이 우울감에 직접 관련이 있다기 보다는 활동제한으로 인해 의존성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우울감이 발생되는 경로를 보여 의존성을 개선하였을 경우 우울감이 줄어들거나 극복될 수 있으며, 여가생활에 대한 활동제한은 우울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어 관절염환자들의 활동제한 중에서 무엇보다도 여가생활의 제한은 우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환자들에게서 여가생활을 적극 장려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관절염환자들의 자기관리능력 함양, 보조 기구 지급을 통한 의존성의 개선은 이들 환자들의 우울감 개선이 될 것이다.

농촌 지역주민들의 건강 형태에 관한 조사연구 (The health behaviors of the residents in a rural area)

  • 조병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2호
    • /
    • pp.183-193
    • /
    • 1997
  • 농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은 목적으로 경상남도 울주군내에 거주하는 농민으로서 연령이 40세 이상인 사람들 824명(남성 318명, 여성 506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양식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시간이 하루 7-8시간이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4.4%, 여성에서 45.0%였고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92.7%, 여성에서 89.9%였으며 간식을 거의 하지 않거나 가끔씩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82.7%, 여성에 83.8%였다. 음주를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0.6%, 여성에서 88.1%였고 흡연을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37.4%, 여성에서 86.6%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7%, 여성에서 5.6%였으며 체중이 정상인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89.0%, 여성에서 80.0%였다. 이상과 같은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3.9%, 여성에서 23.2%였다. 도시 주민들과 비교하여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더 낮았으며 또한 자신의 건강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더 낮았다. 그러므로 농촌 주민들에 있어서 바람직한 건강 행위의 실천을 통한 건강 수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