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men & Work

검색결과 1,956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적기업은 괜찮은 여성일자리인가? (Does Social Enterprise Provide a Decent Work to Women?)

  • 곽선화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4호
    • /
    • pp.53-79
    • /
    • 2013
  • 사회서비스는 서구 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높은 실업과 복지에 대한 국가지출 축소 등의 문제에 대응하고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구조를 이룩하기 위해 일자리창출정책과 연계되어 논의가 시작되었다. 특히 사회서비스는 여성노동력이 비교우위를 기대할 수 있는 분야이고 비교적 괜찮은 일자리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과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기업은 여성친화성이 높아 여성일자리의 새로운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실제 여성에게 괜찮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기업 491개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조직수준 분석에서는 종단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에서의 여성 참여율, 조직내 지위와 안정성, 임금수준 등에 대해 성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사회적기업 종사자 830명을 대상으로 한 개인수준 분석에서는 횡단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 진입이전 상태를 비롯하여 일자리 만족도와 일자리 지속희망도에 대해 성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에서 여성의 비중은 70% 수준이며 특히 40대 이상 중장년층과 취약계층 여성의 참여가 높은 편이었다. 여성의 임금수준은 남성의 85~95% 수준으로 일반기업체와 비교할 때 임금격차가 거의 없는 일자리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에서 여성 일자리는 업종을 불문하고 비정규직과 비관리직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여성의 경력단절과 직업경험 부족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기업 여성근로자, 특히 취약계층 여성일수록 현재의 일자리를 지속하고자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수준 및 개인수준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기업은 괜찮은 여성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사회적기업 여성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높여 여성의 경력이 유지 개발될 수 있도록 하고 여성 개인의 역량 향상이 사회적기업 경쟁력으로 연계되도록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근로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Working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in Economic Activ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박순정;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3-176
    • /
    • 2021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현재 50% 수준에 불과하여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 등과 같은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각종 요인들과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에 관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근로여성을 대상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근로여성 40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동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및 자아실현 동기 등 경제활동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일 인식이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지지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Family Balance Based on the Family Friendly Policy)

  • 정영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5호
    • /
    • pp.91-100
    • /
    • 2004
  • Working men and women experience the overload of labor and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orking women and working couples. Work-family conflict can have adverse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employees' work lives. And severe conflicts can interfere with employees' concentration on their jobs and increase absenteeism. So, employers are helping to keep employees the balance of work-family by supporting them through family friendly polic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work-family balance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and importance on the family. And the related studies and efforts of outstanding companies in USA and Korea are provided. Based on this study, programs on work-family balance must be developed and attentions of working families, employers, communities are needed.

한국 여성근로자의 직업관련 건강상태와 영향요인 (Health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among Korean Women Employees)

  • 홍은영;김상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107-411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여성근로자의 직업관련 건강상태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 연구자료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취업자 근로환경 전국표본조사를 위해 2006년도 시행한 근로환경조사를 바탕으로 20-64세 여성근로자들로부터 얻었다. 한국 여성근로자의 직업관련 신체적 건강상태는 교육수준, 가정내 주수입원 종류, 회사규모, 고용형태, 주당 근로시간, 교대근무여부, 직무요구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리적 건강상태는 교육수준, 월 평균소득, 가정내 주수입원 종류, 주당 근로시간, 교대근무 여부, 감정노동여부,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물리적 위험, 화학적 위험, 근골격계 위험부담요인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업관련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근골격계 부담 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6.12%, 2.97% 이었다. 그러므로 근골격계 부담요인 감소를 위한 작업장 환경조성과 체계적인 건강관리 및 보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기업 근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Social Enterprises Work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25-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결혼이주여성의 근무경험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10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심층면담하고,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113개의 개념,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중심현상은 '존재의 부활'이었고, 핵심 범주는 '사회적기업이라는 제도적 기회와의 조우를 통해 존재의 부활을 경험하고 한국인으로서 자기의 존재를 확장시키기'이었다. 또한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결혼이주여성의 근무경험은 편승형, 자기확장형, 동반성장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상황모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기업 취업과 관련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 장재윤;김혜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1호
    • /
    • pp.23-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5급 이상의 남녀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간 갈등(WFC)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성 역할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변인의 효과를 제거한 후 직장-가정 갈등(WIF) 및 가정-직장 갈등(FIW)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직무 만족 및 직무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남녀 집단 모두 WIF가 FIW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고, 여성 집단은 남성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FIW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WFC(WIF 및 FIW) 수준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성차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집단에서는 WFC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 및 직무 관여 수준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성집단에서 WFC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 및 직무 관여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 직장 여성들의 직장-가정간 균형을 위한 방안들에 논의하였고,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Breaking the Culture-specific Silence of Women Glass Bead Makers in Ghana: Towards Empowerment

  • Adom, Dickson;Daitey, Samuel T.;Yarney, Lily;Fening, Peggy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50-457
    • /
    • 2020
  • Background: The production of glass beads in Ghana is greatly impacted by the ingenuity of Ghanaian women. Preliminary investigations revealed the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women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culture-specific silence.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faced by these industrious women with the ultimate goal of suggesting ways they can be empowered. Methods: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in two indigenous glass bead communities in Ghana. Data were solicited via direct observations, person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wenty-six purposively sampled respon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ata from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elderly women glass bead makers are much influenced by the Ghanaian culture of silence. This prevents the women from speaking about the challenges they are facing in their work. Also, the women are silenced because of the fear of losing their jobs as well as the reluctance of their male managers to remedy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 in the course of work. This has resulted in poor remuneration, lack of insurance packages for workers, certification, and absence of personal protective tools for the women. Conclusion: The study tasks the government of Ghana, the Legal Advocacy for Women in Africa (LAWA), the Fair Wages and Salaries Commission in Ghana, the Ghana Trade Union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Workers' Union to empower the women to sustain the glass bead industry in Ghana.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에 관한 일 고찰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Women)

  • 이기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1호
    • /
    • pp.163-176
    • /
    • 1996
  •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ll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women.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of this study are the 40-59 years old and having youngest child above 10 years. Their social activities are categorized into work activities leisure avtivities social network with kin friends and neighbors and religious activi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ork activities of he middle-aged married women are characterized by stable employment preparation of reentry to the job worries of unemployment and preparation of retirement(2)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are devided into two styles; family oriented activities and self developing activities. (3) In social networks especially the social relation with neighbor are increased and the relation with kinship tends to be bilineages. (4) Their religious activities are more supported by families than other activities. From 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 (1) The middle-aged m rried women might accept their midlife as a developmental stage. (2) The volunteer activities might be extended throughout the social activities (3) New social education programs for helping women's growth might be developed.

  • PDF

The Influence of Women Dental Hygienists' Work - Family Balance on Happiness Level in Dental Clinics

  • Im, Ae-Jung;Kim, Yun-woo;Kim, Su-jung;Kim, Seung-yeon;Kim, Eo-jin;Moon, So-dam;Shin, Su-min;Jeong, Hae-in;Jeong, Hee-Ae;Lim, Hee-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8-167
    • /
    • 2021
  • Background: To identify work-family balance and level of happiness among married women dental hygienis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se the outcome as basic data to determine the compatibility of dental hygienists with work and family, systems, and improvement of happiness levels. Methods: From July 3 to August 10, 2020, 250 dental hygienis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targeted. The questionnaire comprised 65 question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system, job satisfaction, parenting type, happiness level) whether or not they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self-control questionnaire. Results: The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rank and average income, while that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place type, total work experience, current job work experience, childcare system status, and parental leave period. Happiness level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rank, average income, and childcare system status. Additionally, the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and that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Finally, the perception of married women dental hygienists toward work-family compatibility was determined, wher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Conclusion: To improve the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their levels of happiness,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proper staffing, flexible work systems, and incentive systems should be considered.

A Study on the Work-Family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 in the Digital Age : Focusing on the avoidance of childbirth

  • Kweon, Seong-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3-41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 family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 in the digital age centered on avoidance of childbirth. Married women 's age, education level,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work - family affects the avoidance of childbirth. Also, it is analyzed that similar childbirth avoidance phenomenon occurs in the result of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the family living together, the stabl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and the family-friendly incentive syste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