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ed Theory Study on the Social Enterprises Work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기업 근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Received : 2016.06.22
  • Accepted : 2016.08.1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enterprises work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depth interviews with 10marriage immigrant women who were work at social enterprises in 'C' city were performed and analyzed by grounded theory method to configured 113 concepts and classified into 28 sub-categories 13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resurgence of existence'and the Core category was 'Through the encounters of the institutional opportunities of social enterprise, experiencing a resurgence of existence and extending their presence as a Korean'. Also, Work experience of immigrant women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has been classified as a piggyback type, self-expandable type, co-prosperity type and situational model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 for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enterprise employment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결혼이주여성의 근무경험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10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심층면담하고,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113개의 개념,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중심현상은 '존재의 부활'이었고, 핵심 범주는 '사회적기업이라는 제도적 기회와의 조우를 통해 존재의 부활을 경험하고 한국인으로서 자기의 존재를 확장시키기'이었다. 또한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는 결혼이주여성의 근무경험은 편승형, 자기확장형, 동반성장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상황모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기업 취업과 관련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정․이규용,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9(2): 49-73.
  2. 공수연․양성은, 2014, "중국국적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과정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33-15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3
  3. 김경아, 2012, "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의지 결정요인분석: 이주여성의 정책인지수준과 지역사회다문화태도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81-409.
  4. 김미화․이용재, 2015,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3: 173-196.
  5. 김복태․이승현, 2015, 결혼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김안나․최승아, 2013, "결혼이주여성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9(2): 189-229.
  7. 김이선․이아름,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수준 진전과 정책적 수요 - 사회참여 및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젠더리뷰, 34: 26-32.
  8. 김학실, 2015, "돌봄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0(1): 157-186.
  9. 김현숙, 2015, "결혼이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 요인과 민족적 차이", 한국사회정책, 22(2): 163-193.
  10. 김효순, 2016,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기업에서의 노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1: 41-77.
  11. 박능후․선남이, 2010,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20(2): 120-144.
  12. 박미숙․김영순․홍유나, 2014,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4(2): 269-302.
  13. 박미은․신희정․이미림, 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14. 박신영, 2014, "여성결혼이민자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연구: 근거이론 접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배경희․서연숙,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한국사회복지학, 63(4): 183-202.
  16. 설동훈․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사회보장연구, 24(2): 109-133.
  17. 양인숙․민무숙․김선혜,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8. 여성가족부, 2016,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http://www.mogef.go.kr.
  19. 유기웅․정종원․김영석․김한별, 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 이경은․장덕희․김도희, 2010, "결혼이민여성의 직업활동과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27(2): 113-153.
  21. 이동성․김영천, 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0(2): 1-26.
  22. 이은희․이은미, 2012,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66-7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66
  23. 이재원․홍찬숙 역, 2012, 장거리사랑, Beck, U. and Beck-Gernsheim, E. 2011, Fernliebe: Lebensformen im globalen Zeitalter, 서울: 새물결.
  24. 이태정․이용수․신현구․김영수, 2013,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상태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인구학, 36(3): 21-44.
  25. 이현주, 2015, "노인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7): 197-224.
  26. 이현주, 2016, "자활기업에서 성장한 사회적기업의 기업운영 경험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1): 169-194.
  27. 이해응, 2014, "결혼이주여성의 본국/한국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젠더법학, 6(2): 1-24.
  28. 장서영․김이선․이로미․장인자․유지영, 2009,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9. 조상미․이재희․간기현․송재영, 2013, "사회적 기업 연구, 어디까지 왔는가? : 경향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05-138.
  30. 조성호․변수정,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함수 추정", 노동경제논집, 38(2): 59-87.
  31. 최영출, 2013,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 연구: FSQCA(퍼지집합 질적비교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17(1): 43-60.
  32. 최인이, 2016,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통한 정체성형성-대전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직업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담론201, 19(1): 5-43.
  33. 통계청, 2015, "2014년 혼인․이혼 통계", http://www.kosis.kr.
  34.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a, "2014 사회적기업 성과분석(기초분석)", http://www.socialenterprise.or.kr.
  35.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b, "2014 사회적기업 가이드북", http://www.socialenterprise.or.kr.
  36. 황정미․문경희․양혜우․정승희, 2009,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37. Gilbertson, G. A., 1995, "Women's labor and enclave employment: The case of Dominican and Colombian women in New York Cit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9(3): 657-670. https://doi.org/10.1177/019791839502900302
  38. Jones, S., 2012, "Working with immigrant clients: Perils and possibilities for social workers", Families in Societies, 93(1): 47-53. https://doi.org/10.1606/1044-3894.4183
  39. Piper, N., 2003, "Wife of Worker? Worker or Wife? Marriage and Cross-Border Migration in Contemporary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9, 457-469. https://doi.org/10.1002/ijpg.309
  40. Strauss, A., and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