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혜정․이규용,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9(2): 49-73.
- 공수연․양성은, 2014, "중국국적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과정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33-15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3
- 김경아, 2012, "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의지 결정요인분석: 이주여성의 정책인지수준과 지역사회다문화태도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81-409.
- 김미화․이용재, 2015,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3: 173-196.
- 김복태․이승현, 2015, 결혼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안나․최승아, 2013, "결혼이주여성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9(2): 189-229.
- 김이선․이아름,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수준 진전과 정책적 수요 - 사회참여 및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젠더리뷰, 34: 26-32.
- 김학실, 2015, "돌봄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0(1): 157-186.
- 김현숙, 2015, "결혼이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 요인과 민족적 차이", 한국사회정책, 22(2): 163-193.
- 김효순, 2016,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기업에서의 노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1: 41-77.
- 박능후․선남이, 2010,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20(2): 120-144.
- 박미숙․김영순․홍유나, 2014,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4(2): 269-302.
- 박미은․신희정․이미림, 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 박신영, 2014, "여성결혼이민자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연구: 근거이론 접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배경희․서연숙,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한국사회복지학, 63(4): 183-202.
- 설동훈․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사회보장연구, 24(2): 109-133.
- 양인숙․민무숙․김선혜,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여성가족부, 2016,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http://www.mogef.go.kr.
- 유기웅․정종원․김영석․김한별, 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 이경은․장덕희․김도희, 2010, "결혼이민여성의 직업활동과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27(2): 113-153.
- 이동성․김영천, 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0(2): 1-26.
- 이은희․이은미, 2012,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66-7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66
- 이재원․홍찬숙 역, 2012, 장거리사랑, Beck, U. and Beck-Gernsheim, E. 2011, Fernliebe: Lebensformen im globalen Zeitalter, 서울: 새물결.
- 이태정․이용수․신현구․김영수, 2013,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상태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인구학, 36(3): 21-44.
- 이현주, 2015, "노인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7): 197-224.
- 이현주, 2016, "자활기업에서 성장한 사회적기업의 기업운영 경험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1): 169-194.
- 이해응, 2014, "결혼이주여성의 본국/한국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젠더법학, 6(2): 1-24.
- 장서영․김이선․이로미․장인자․유지영, 2009,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 조상미․이재희․간기현․송재영, 2013, "사회적 기업 연구, 어디까지 왔는가? : 경향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05-138.
- 조성호․변수정,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함수 추정", 노동경제논집, 38(2): 59-87.
- 최영출, 2013,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 연구: FSQCA(퍼지집합 질적비교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17(1): 43-60.
- 최인이, 2016,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통한 정체성형성-대전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직업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담론201, 19(1): 5-43.
- 통계청, 2015, "2014년 혼인․이혼 통계", http://www.kosis.kr.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a, "2014 사회적기업 성과분석(기초분석)", http://www.socialenterprise.or.kr.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b, "2014 사회적기업 가이드북", http://www.socialenterprise.or.kr.
- 황정미․문경희․양혜우․정승희, 2009,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 Gilbertson, G. A., 1995, "Women's labor and enclave employment: The case of Dominican and Colombian women in New York Cit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9(3): 657-670. https://doi.org/10.1177/019791839502900302
- Jones, S., 2012, "Working with immigrant clients: Perils and possibilities for social workers", Families in Societies, 93(1): 47-53. https://doi.org/10.1606/1044-3894.4183
- Piper, N., 2003, "Wife of Worker? Worker or Wife? Marriage and Cross-Border Migration in Contemporary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9, 457-469. https://doi.org/10.1002/ijpg.309
- Strauss, A., and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