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s right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돌봄노동의 사회화 유형과 여성노동권 (Socialization of Care Work and Women's Rights for Paid Work)

  • 장지연
    • 페미니즘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7
    • /
    • 2011
  • 돌봄노동의 사회화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떤 방식의 사회화는 돌봄서비스의 생산을 주로 민간시장에 의존하게 만듦으로서, 돌봄노동의 상품화(또는 시장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다른 특정한 방식의 사회화는 돌봄의 역할을 결국 다시 가족, 그 중에서도 여성에게 부여하여 돌봄노동의 재가족화를 낳는다.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돌봄노동의 성격은 여성의 임금노동 접근권과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돌봄노동의 재가족화는 돌봄에 대한 국가개입이 주로 현금지급 중심으로 이루어지는지, 현물급여(서비스)의 제공에 초점이 두어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돌봄 관련 수당제도는 여성의 노동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나 이러한 영향은 소득계층별로 달리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즉, 돌봄 관련 수당제도는 저소득층 여성의 노동공급을 줄일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돌봄노동의 상품화는 돌봄서비스 일자리의 질을 악화시킨다.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전달체계의 기본적인 틀이 공공화 되어 있는 국가들은 시장화되어 있는 국가들에 비하여 돌봄서비스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반적인 여성노동자의 근로조건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 (Improvement of Capability to the Self-Determination of Disabled Women in Abortion)

  • 김문정;심지원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1-315
    • /
    • 2018
  • 여성은 신체적 특징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부과된 '모성'에 의해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의 과정에서 책임자로 위임되어 왔다. 특히 임신, 출산과 더불어 낙태 또한 자신의 몸에서 직접 체험하며, 그것으로 인해 삶에 가장 영향을 받는 대상도 여성이다. 그러나 정작 여성은 자신의 몸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있다. 이른바 '생명옹호론 대 선택옹호론(pro-life vs. pro-choice)'의 낙태담론 구도 속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이란 애초에 '생명존중'에 비해 하위의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 더욱이 최근 우리사회에서 저출산 위기론이 대두되면서 낙태 처벌이 강화되고 여성의 자율적 결정이나 권리 행사는 더욱 억압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그런데 일련의 이러한 과정에서 비장애여성과 장애여성 사이에 이중 잣대의 부당함마저 존재한다. 즉 여성들 사이에서 몸의 차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태에서 여성, 특히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 문제를 센의 역량 접근 관점에서 고찰한다. 낙태는 개인적이면서도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로서 단순히 낙태 허용 여부만이 아니라 임신과 출산, 양육 등과 함께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접근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 함의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장애여성이 처한 다양한 상황적 변수들을 자기결정권 개념 안에 함께 구성하도록 요청한다. 둘째, 장애여성의 실질적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위해 개인과 공동체의 연대적 관계를 지향한다. 셋째, 포괄적인 장애여성의 권리로서 '재생산 권리'의 담론으로 확장시킨다.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광주시여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on environmental problems -A survey of college Women Students in Kwangyu-)

  • 노채영;신효식;조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2호
    • /
    • pp.49-6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overall level of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environmental problems of college women students and to analyze influencial factors. Five hundred and sixteen college women students were selected randomly, in Kwangju area. The methods of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Distribution, Mean , Percentile, one-Way ANOVA , Scheffe-test .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1) The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an environmental problems of college women stud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 age, major, socio-economic status,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environmental problems, and frequencies of contacting mass media. 2) The consumer behavior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college women stud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 consciousness on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he consumer education as a formal program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college women student. Second. The content of the consumer education must emphasize more clearly the consumer rights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environmental problems. Third. mass media of TV, radio, newspaper, magazine must be more active publicity and instruction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on environmental problems.

  • PDF

여성에 대한 폭력관련 상담소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A Study on the Situation of and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Linkage of Services in the Counseling Centers for the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 박영란;황정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42-75
    • /
    • 2000
  • Violence against women includes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trafficking, etc.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violates women's rights and basic freedom. In Korea, with the enactment of the laws on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in the 1990s, counseling centers and protective facilities for the victims began to be established and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number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nseling services with a focus on their linkage function. 78 out of 109 counselors working in the counseling centers for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throughout Korea responded to a mail survey. The questions includ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the counselor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process dimensions of linkage function, an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spects of the degree of linkag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highlight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counseling centers played limited role in serving the victims of violence due to lack of resources in the service network. Second, the linkage of services existed on a relatively small scale which was mostly based upon informal and unstructured relationship. Third,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existence of potential partner agencies, the effort of the line staff to initiate the linkage relationship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determined the degree of linkage among services.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system to protect the victims of violence.

  • PDF

여대생의 성역할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f Subjectivity in the Perception Gender Roles of Women)

  • 권혜진;정연강;김경희;최미혜;염순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0-91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tructural patterns of gender roles of women as perceived by co-eds. Method : Q-methodology was used on 174 statement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women aged between 20 an d 50. 38 Q-samples were selected from 330 Q-population. The Q-samples were administered to 29 co-eds. Result : Analysis of Q-type obtained by QUANAL program revealed three types of subjectivity in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s. Type 1, role is characterized by the tendency to play down the female gender role and think that women's body is an essential factor in forming the female gender role. Type 2, rejects motherhood image obedience and chastity dictated by male chauvinism. Type 3, shows a tendency to believeth at female gender cannot be separated from maternity and that women's basic role is housekeeping. The three types were common in believing in self-development and equal rights through economical in dependence.

  • PDF

Kazakhstan's Gender Policy: Problems and Prospects

  • Potluri, Rajasekhara Mouly;Abikayeva, Marina Dauletovna;Yanovskaya, Ol'ga;Potluri, Lohith Sekhar
    • 산경연구논집
    • /
    • 제7권2호
    • /
    • pp.21-24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alyze and identify the suitability of Kazakh gender policy for the changes taken place in the society with suggesting necessary chang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fter meticulous reviews of germane literature, the researchers applied an analytical approach which focuses on analyzing the Kazakh's gender policy and its issuance guidelines based on the present requirement in the society. Even though the policy has introduced with astonishing prudence, present-day living trends in society require imperatively some notable modifications which protect the rights of women and minority sections of the society. Results - Through this gender policy, government has proffered required legal, financial and preferential support country's women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and legislation of the country. Kazakh gender policy requires upgradations which flawlessly support women in the lifestyles of the feminine community. Conclusions - In achieving gender equality in the economy as a priority area, Kazakh government monitoring persistently and closely the changing trends of women and their requirements which introduce necessary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gender policy of the country with the cooper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테레사의 초상>에 투영된 쿠바 여성의 사회문화적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images of the cuban female reflected in the film Retrato de Teresa)

  • 박종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101-126
    • /
    • 2011
  •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ritique how precisely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film Retrato de Teresa reconstructs the socio-cultural image of the female in the late seventies of Cuban society. The film of Pastor Vega is obviously an outstanding challenge on the new subject of 'women's liberation' against machismo in the context of the Cuban society. Teresa, the female character, as a socio-cultural image of the Cuban society don't focuses on the declarative and iconic images of the women's role as a revolutionary heroin that had appeared frequently in the films of the sixties, but she struggles for getting more realistic and pragmatic values such as women's emancipation to take rights in daily life. Therefore, the declaration of the emancipation of Teresa against machismo of her husband $Ram{\acute{o}}n$ has the special and symbolic meanings of social role and function of the film in the process of Cuban cultural revolution. The film concentrates on inducing the audience to make new perspectives such as women and gender issues in the daily experience of Cuban society where the machista ideologies and practices characteristic of a patriarchal society. Conclusively the female image of this film does not represent a national heroin, but reflects the women's desire, hope, and dreams in the society. Teresa makes the audience think of representations of the true meanings of the revolution in daily life, the machista ideologi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the women's role and fuction in the Cuban society.

임신 중 흡연에 의한 태아학대: 태아생존권 옹호를 위한 접근 (Critical Discussion on Smoking During Pregnancy as a Form of Fetal Abuse: An Approach to Advocate for Fetal Right to Life)

  • 김영미;조갑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17-325
    • /
    • 2016
  • Purpose: Smoking during pregnancy contributes to the risk of negative health outcomes in mothers and bab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harmful effects of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on fetal and child development, to discuss if maternal smoking should be criminalized as a form of child abuse, and to explore advocating for fetal rights. Methods: A variety of published literature and legal documents including the Korean constitution, criminal laws, and children's welfare laws were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Results: Women who smoke during pregnanc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bortion related to placental dysfunction. Their unborn risk premature birth, fetal growth restriction, low birth weight, neurobehavioral disturbances, and/or other complications and newborn babies are also at risk for complications. The advocates for fetal rights can assert that maternal smoking should be regarded as a crime.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is a major risk factor for many adverse pregnancy outcomes. Effective strategies and health policies for smoking cessation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to protect pregnant women and their babies.

아프리카의 신부대(bride wealth) 관습: 변화와 재구성의 맥락 (The Custom of Bride Wealth in Africa: The Context of Change and Reconstruction)

  • 설병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50권
    • /
    • pp.131-172
    • /
    • 2018
  • 오늘날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신부대 관습이 지극히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남성 지배적인 문화, 서구 종교 및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부정적으로 결합한 결과다. 이것은 신부대가 '전통'과 '근대성'의 충돌과 갈등 속에서 끊임없이 재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신부대 관행이 생계 방식, 조혼, 일부다처제, 친족(가족) 구조, 빈곤, 이주 노동 등과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자본주의 경제 체제하에서 신부대는 점점 상업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부대의 전통적 상징성은 약화하고 있는 반면, 여성이 물화되는 경향은 강해지고 있다. 신부대의 상업화는 여성 인권 침해, 양성 불평등, 가정 폭력 등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행위 주체들은 성별, 세대, 계층, 종족 등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신부대를 다르게 인식한다.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신부대가 상업화될수록, 이 제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도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신부대라는 관습의 빛깔은 이것을 실천하는 주체들이 사회경제적 변화에 어떤 식으로 반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들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신부대를 끊임없이 재해석하고 재구성할 것이다.

클라우디아 요사의 <슬픈 모유>에서 나타나는 라틴아메리카 원주민 페미니즘 연구 (Latin American Native Indian's Feminism in Claudia Llosa's The Milk of Sorrow (La teta asustada))

  • 최은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115-138
    • /
    • 2016
  • <슬픈 모유>(La teta asustada, The Milk of Sorrow, 2009)는 페루의 젊은 여성 감독인 클라우디아 요사(Claudia Llosa, 1976~)가 2009년에 제작한 페루와 스페인의 합작영화이다. 요사감독은 영화에서 백인 크리올 여성이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인디오) 여성을 착취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원주민 여성에게는 백인 크리올 여성은 같은 여성이지만 연대의 대상이 아닌 대항하여 싸워야 하는 적임을 명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탈식민주의자이며 페미니스트인 가야트리 차크라보티 스피박(Gayatri Chakravorty Spivak)이 "페미니즘과 비평이론"(Feminism and Literary Criticism)에서 주장한 바를 <슬픈 모유>에 적용하여, 이 영화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동일한 국가 내에서도 다양한 페미니즘이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한다. 라틴아메리카라는 제3세계에서의 페미니즘은 한마디로 정의 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백인 크리올 여성이 대항하여 싸워야 할 적은 원주민 여성이 싸워야 하는 적과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제3세계의 페미니즘은 더욱 더 여성 개개인이 처한 인종 및 사회적 입장에 따라 자신의 텍스트를 읽어내는 해체론적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본 논문은 입증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착취가 영화 밖에서도 일어남을 지적하면서, 백인 크리올 여성인 요사감독이 포스트모던 시대에 가장 뜨거운 주제인 소수자들의 인권 특히, 원주민 여성 인권 문제라는 주제를 다룸으로써 성공한 것이라는 점도 비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