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s Social Status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6초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Gender Difference)

  • 송미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43-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장애문제와 노인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 취약한 집단인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성별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 중 만65세 장애노인 386명을 추출하였다. 연구질문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은 독립표본티검정,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의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 차원 중 6가지 차원이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성 장애노인과 남성장애노인은 일상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 하층', '건강상태: 나쁜 편', '만성질병 있음', '가족과 타인의 도움필요', '장애정도: 중증'이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남녀장애노인에 대한 건강지원정책 및 프로그램을 제공,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확대, 중증장애노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및 실천적으로 지원할 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반면에 차별영향 요인은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성 장애노인은 연령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 장애 노인은 교육수준이 무학일 경우보다 중졸과 고졸이상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치과환자 및 보호자가 인지한 치과위생사 이미지 (A Study on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Patients and Caregivers)

  • 강부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7-2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396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visited 14 dental hospitals and dentists' offices in and around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The people investigated gave a mean of 4.0 to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Dental hygienists rated highest in terms of looking neat and tidy(4.33), and were given the lowest marks in arbitrary job performance(3.46). 2. There appeared four different types of dental hygienist images, which made a 59.824 prediction of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A typical image(4.11) was most dominant, followed by professional one(4.07), personal one(4.01) and social one(3.73). 3. Th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image of dental hygienists could be described as below: 1) By age, those who were in their 60s(4.12)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teenager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2) By gender, the men(4.05) looked at dental hygienists more positively than the women(3.96). The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on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gender(pE0.05). 3)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people(4.00)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e unmarried ones(3.95). 4) As for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 they had a more favorabl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ists' offices(4.13) than in dental hospitals(3.88). There was a bro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they looked at the professional and pers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pE0.001). 5) As to the impact of educational level, those who received community-college or higher education(4.01)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received middle-school or lower education(3.91) had the worst image of them. 6) By occupation, the government workers and students(4.07)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company employee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They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occupation(pE0.05). 7)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frequency of receiving dental treatment, the respondents who had received it seven times or more(4.16)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hadn't(3.79) the worst image of them. There was a wide significant gap according to that frequency. The way they looked at the typical, social and professi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was quit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at frequency as well(pE0.001). 8) As for the influence of whether they were accompanied by caregivers or not, the people who weren't accompanied by caregivers(3.99)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ose who were(3.97).

  • PDF

복지국가는 사적 공간을 어떻게 식민화하는가 : 정치의 분절화와 탈정치화 (How does Welfare State Colonize the Private Spheres : Political Fragmentation and Depoliticization)

  • 한동우;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161-181
    • /
    • 2015
  • 이 논문은 복지국가가 사적 공간을 조절하는 기제를 밝히려고 시도되었다. 복지국가에 대한 성찰은 근대성에 대한 성찰과 제도에 대한 성찰로 구분된다. 근대성에 대한 성찰을 위해서 복지국가는 근대국가의 한 유형으로 가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복지국가에 배태된 근대성 요소들이 제도들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논증하고, 이를 통해 복지국가는 스스로의 토대를 이루었던 정치적 역동을 해체하고, 개인화된 사회에서 새로운 정치적 역동과 대면하게 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제도의 총합으로서 복지국가는 제도 자체의 속성으로 인해 일종의 제도실패 상황에 놓이게 되며, 이는 개인과 가족의 제도의존과 결합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복지국가가 기초하고 있는 근대성의 핵심요소를 계산가능성과 범주화로 파악하고, 이 요소들이 복지국가의 제도화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복지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을 외부성 위기로 파악하고, 이것이 근대국가로서의 복지국가의 내적 모순과 결합하여 정합성 위기에 이른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끝으로, 복지국가는 시장과 시민사회에 대한 조절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복지국가는 정치공간을 분절화함에 따라 제도의 대상으로서 개인들은 정치공간의 외부에서 수급권을 둘러싼 지위투쟁에 골몰할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 PDF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 K 광역시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pression Factor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s : Focusing on K-Metropolitan City)

  • 이형하;박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9-3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1,920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1.1%가 우울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가구주 성별, 연령, 일인가구, 사회보장급여 수급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제곱과 경제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사회공동체 변인 중에는 이웃에 대한 생각과 이웃참여의사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건강상태 변인 중 신체적 건강 어려움과 정신적 건강 어려움이 우울에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입 체조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 program)

  • 황윤숙;조은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95-807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a oral exercise program geared toward the improvement of oral function, their reuse intention of the program and their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in an effort to facilitate the advancement of the program.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5 senior citizens who used senior welfare centers and nursing homes in Seoul. A oral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24 times from April to June 2009, twice a week, and the selected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20 times or more.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by two trained dental hygienis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 1. As for satisfaction level with each part of the program, the elderly people investigated expressed the best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supplier(a mean of 3.81), followed by the usefulness of the procedure of the program(3.77) and oral exercise(3.64). 2. The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reuse intention and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and the entir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was correlated to reuse intention and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p<0.001). 3. Ou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and whether to live with their families or no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p<0.05). Conclusions : It took 20 minutes to get oral exercise, which consisted of warming-up, exercise for each part of oral and cooking-down, and they found it appropriate to spend that time and had no difficulties in repeating after the instructor.

  • PDF

일개 도농복합시 유자녀 모성의 추가출산 의지 관련요인 (The Related Factors of Willingness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of Mother with Children in an Urban-Rural Area)

  • 이무식;나백주;김건엽;홍지영;김철웅;김은영;김대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2권3호
    • /
    • pp.117-124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willingness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was related to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reasons for avoiding an additional childbirth. Methods: By using organized questionnaire, we had face-to-face interviews with 722 mothers who had 12 to 36 months child in a urban-rural area of Chungcheongnam-do from 14 February to 19 February in 2005. Questionnair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omposed of age, monthly income, number of children, major carers and mother's job status, and 6 reasons for avoiding an additional childbirth. We performed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722 mothers, 66.5% had no willingness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ld age of mother(95% CI of OR: 1.084-1.190), two or more children(95% CI of OR: 6.97-15.602) and weak norm about need for a child(95% CI of OR: 1.633-29.352) were independent related factors with willingness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Conclusions: In our study, 2/3 women who already had children were appeared to have no willingness to have additional childbirth. Policies about family planning and controlling birth rate should be focused on eliminating barrier to additional childbirths.

농식품 무역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한국의 위상 (Global Trade Networks of Agro-Food and the Status and Prospects in Korea)

  • 현기순;이준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6
    • /
    • 2017
  • 본고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47개국 57개 농식품 수출입 자료를 이용하여 글로벌 교역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한국 농식품의 교역 구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별로 네트워크 구조의 차별성이 나타난다. 즉, 채소, 과실, 가공식품의 순으로 컴포넌트 수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품에 따라 커뮤니티 구조가 동태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차별적이다. 교역 네트워크 내에서 일부 상품의 커뮤니티 구조가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개방의 확대 추세에도 불구하고 구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상품군이 상존한다. 셋째는 우리 농식품의 국제 경쟁력 강화 추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57개 분석 대상 농식품의 상위 네트워크에서 한국의 외향 연결도수가 드러나는 상품은 총 26개 품목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채소류와 가공식품 등에서 국제경쟁력의 확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韓國) 패션저널리즘의 현황(現況) 연구(硏究)(1) - 5개 종합일간지(綜合日刊紙) 기사(記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Daily Newspaper)

  • 이성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4호
    • /
    • pp.45-5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esent situation of fashion journalism, which is a collaborator and watchdog of the fast-growing fashion business industry, then to proffer fundamental data for the setting of desirabl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newspaper. Unlike magazine and internet news service which are focused on a specific group, daily newspaper has a far-reaching influence without regarding the age, gender and social status of the readers. Therefore, how newspaper deals with fashion and fashion phenomena has immense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common people on fashion. Defining fashion journalism is an activity of gathering and mediating of various ideas and opinions on fashion, the beginning of fashion journalism of newspaper traces back to the late of 19th century. From then to the period of Japan's occupancy by force, newspaper used fashion articles to lead enlightenment of lifestyle. After Korean War, newspaper was one of the main path of in-flowing western culture and fashion trend till 1970s. During $1980s{\sim}1990s$, fashion articles in newspaper were separated from woman and family section and fashion journalism made their own way to a specialized field. In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newspaper is armed with more various and profound contents then ever, but it is also true fashion journalism is not free from accusation of commercialization and agitation of preference on imported luxury goods. Today fashion articles of daily newspapers are not subordinated to the common idea, 'fashion is only for women'. Fashion articles deals with men as well as women. Information on new products is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fashion trend. Articles are not restricted in the fashion section. It means fashion journalism is expanding its territory to business section, opinion section and so on. However, fashion news dealing with aged people or young children are very rare. It suggests target readers of fashion news are concentrated on the people who have a considerable buying power. An main article usually has more than 3 photos. That means not only photos in fashion news are established as essential visual information today but also commercialization of fashion news makes rapid progress in this field. Also the considerable dependancy on the information sources from manufacturing side can be a problem of sustaining accuracy and impartiality of news.

도농복합지역 기혼여성들의 출산과 성 선호에 대한 인식 및 관련요인 (Perceptions of Married Women on Childbirth and Sex Preference and Related Factors in Gyeongju, Korea)

  • 염석헌;강복수;김창윤;이경수;황태윤;황인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3호
    • /
    • pp.260-273
    • /
    • 2010
  • 이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지역의 20세 이상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결혼관, 자녀 출산 관, 저 출산에 대한 인식과 성선호도 및 성비 불균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고, 성선별 강요 경험률과 남아 출산에 대한 강요와 인위적 성선별 출산 의도와의 관련성 및 저 출산과 성 선호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경주시의 25개 읍 면 동 중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각각 4개 동과 5개 읍.면지역을 임의로 추출한 453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392명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이 중 불완전한 설문조사를 제외한 34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혼에 대한 인식의 경우 연령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는데(p<0.01),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졌다. 자녀 출산에 관한 인식은 연령(p<0.01), 거주 지역(p<0.01), 그리고 교육수준(p<0.05)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자녀의 수의 제한 없다는 가정 하에 아들 또는 딸에 대한 성 선호에 대한 응답은 연령(p<0.05) 및 직업 유무(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적인 자녀의 수로는 49세 이하는 '2명'이 34.8%로 가장 많았고, 50-69세 군과 70세 이상군에서는 '4명'이 각각 35.4%, 33.7%였다. 출생성비 불균형에 대한 인식은 경제상태(p<0.01) 및 직업 유무(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저 출산 원인의 경우 모든 연령군에서 '경제적 부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자녀가 한명일 경우의 남아 선호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49세 이하의 군과 50-69세, 70세 이상의 군으로 구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49세 이하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p<0.01)와 거주 지역(p<0.05)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50-69세에서는 교육수준(p<0.05), 거주 지역(p<0.0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나, 7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었다. 출산순위가 낮은 출생아의 성선별에 대한 홍보와 더불어 소 자녀관을 개선시키는 것을 국가 정책과 홍보의 우선과제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직장생활과 결혼, 출산 등을 연계하여 인식하고 있고, 사회활동을 통한 개인의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가속화 될 것이 때문에 결혼과 자녀의 출산 등이 직장생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과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것이다.

전문가잇솔질에 의한 치주상태 변화와 환자만족도 (Change in Periodontal Status by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Patients' Satisfaction)

  • 김창희;김진;김창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1-266
    • /
    • 2008
  • 본 연구는 잇솔질 방법 중에 하나인 전문가 잇솔질법(Toothpick Method)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의 예방효과 및 환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1월 9일부터 2월 28일까지 치주질환으로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잇솔질법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세균막지수와 탐침시 출혈을 비교한 결과 치면 세균막지수에서는 최종검사를 시행한 후 초기치료직후와 비교한 결과 초기정밀검진 시 보다 0.1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탐침 시 출혈은 2.96점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2.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 항목에서 4.6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치석제거와 비교 시 만족정도에서는 3.97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3. 전문가 잇솔질 적용 후 성별에 따른 구강 내 자각인 지도를 살펴본 결과 '잇몸이 좋아졌다'가 남성의 경우 16.4%, 여성은 25.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출혈감소'는 남성은 14.5%, 여성은 10.9%로 나타났고, '입냄새 감소'는 남성이 10.9%, 여성이 7.3%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 잇솔질을 이용해 환자구강건강관리를 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와 출혈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치과진료실 내에 환자의 치주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 인력의 요구와 교육이 필요하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