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잇솔질에 의한 치주상태 변화와 환자만족도

Change in Periodontal Status by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Patients' Satisfaction

  • 김창희 (충청대학 치위생과) ;
  • 김진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 김창욱 (가브리엘 치과의원)
  • 투고 : 2008.09.20
  • 심사 : 2008.12.10
  • 발행 : 2008.12.24

초록

본 연구는 잇솔질 방법 중에 하나인 전문가 잇솔질법(Toothpick Method)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의 예방효과 및 환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1월 9일부터 2월 28일까지 치주질환으로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잇솔질법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세균막지수와 탐침시 출혈을 비교한 결과 치면 세균막지수에서는 최종검사를 시행한 후 초기치료직후와 비교한 결과 초기정밀검진 시 보다 0.1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탐침 시 출혈은 2.96점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2.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 항목에서 4.6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치석제거와 비교 시 만족정도에서는 3.97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3. 전문가 잇솔질 적용 후 성별에 따른 구강 내 자각인 지도를 살펴본 결과 '잇몸이 좋아졌다'가 남성의 경우 16.4%, 여성은 25.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출혈감소'는 남성은 14.5%, 여성은 10.9%로 나타났고, '입냄새 감소'는 남성이 10.9%, 여성이 7.3%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 잇솔질을 이용해 환자구강건강관리를 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와 출혈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치과진료실 내에 환자의 치주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 인력의 요구와 교육이 필요하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oothpick method, one of professional toothbrushing methods,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atients with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 patients who included 16 men and 17 women. After the toothpick method was applied to the selected patients from January 9 to February 28,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ients investigated showed a 0.71 reduction in PI than in the past. The index of bleeding upon probing stood at 5.12, which dropped from 8.09 in the beginning. Second, the patients gave a mean of 4.20 to the professional toothbrushing out of possible five points, which showed that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at.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the wom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at ($4.25{\pm}0.33$). By age group, those who were in their 60s and up found that more satisfactory ($4.31{\pm}0.30$). Fourth, as to changes in oral symptoms by gender, the largest number of the men and women considered their gums to become healthier after the professional toothbrushing was applie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dental institutions should be equipped with well-educated or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periodontal health of patients, and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s urgently required as wel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