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far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8초

WindPRO의 예측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n WindPRO Prediction)

  • 오현석;고경남;허종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00-305
    • /
    • 2008
  • Using WindPRO that was software for windfarm design developed by EMD from Denmark, wind resources for the western Jeju island were analyzed, and the performance of WindPRO prediction was evaluated in detail. The Hansu site and the Yongdang site that were located in coastal region were selected, and wind data for one year at the two sites were analyzed using WindPRO. As a result, the relative error of the Prediction for annual energy Production and capacity factor was about ${\pm}20%$. For evaluating wind energy more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obtain lots of wind data and real electric power production data from real windfarm.

  • PDF

신뢰도비용을 고려한 풍력발전에 연계된 배터리의 최적 용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Battery Capacity with Windfarm Considering Reliability Cost)

  • 김욱원;김성열;김규호;김진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2호
    • /
    • pp.273-278
    • /
    • 2011
  • By introducing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fo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Renewable energy has becoming widespread gradually. Due to a large number of advantages, wind power, which is one of Renewable energy, has standing in the spot-light rather than other Renewable energy. Wind power, however, is difficult to control output and because of severe output fluctuation,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t is connected with system. Using battery as a solution for these problems has been researched all over the world. In this paper, the reliability modeling of windfarm connected battery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system are executed. Also the optimum battery capacity is selected through evaluating reliability cost.

한국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58개 환경영향평가서 사례에 대한 정량적 분석 - (Analysi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n Inland Windfarms)

  • 정은해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1호
    • /
    • pp.47-62
    • /
    • 2022
  • 풍력발전은 비용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과 혁신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서 58건의 분석을 통해 1) 국내 육상풍력의 주요 특징이 어떠한가? 2)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개별 육상풍력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변수를 추출하여 이러한 환경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변수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육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는 육상풍력발전의 입지를 고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증거에 기반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8개 사업은 사업지역의 고도 및 자연성의 정도를 바탕으로 1) 산악형, 2) 목장형, 3) 해안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풍력발전사업에 대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를 성공적으로 계산하였다. 가장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큰 사업은 목장형으로 분류된 33번 사업이 1.04였고, 가장 낮은 사업은 산악형으로 분류된 55번 사업으로 -1.44였다. 둘째, 분석결과는 목장형이 환경지속가능성 지수가 평균 0.4551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가장 높고, 해안형이 평균 0.3712으로 중간이었으며, 산악형이 평균 -0.345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육상풍력발전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다 계량적으로 증명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개발과 관련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Risk Analysis on Offshore Windfarm Industry in South Korea: Based on the Jeonnam Offshore Windfarm Project

  • Kim, Tae Hyun;Kim, Yea-Sang;Chin, Sangyoon;Pallesen, Kristi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04-212
    • /
    • 2022
  •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smart city as their strategic agenda. However, to build smart cities that are greener, the authors believe it is essential to rapidly transit conventional energy sources such as fossil fuels to renewable energy. Although there is a big potential for Offshore wind in Korea, there has not been a full-scale commercial offshore wind farm until today. Since Korea is relatively a new market compared to the EU, it can be risky for developers. The authors will introduce risk management best practices in the offshore wind industry applicable to the Korean environment. This paper will mainly introduce an offshore wind project size of 99 MW. The project is expecting a Finance Close (FC) in Q3 2022, so the project team has prepared a risk register with over 150 risks and levers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Overall risks include risks with Development Expenditure (DEVEX) impact, a Capital Expenditure (CAPEX) impact, and an Operating Expenditure (OPEX) impact. Based on the identified risks, a more qualitative assessment of Cost and Schedule Impact was conducted. In conclusion, a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o propose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evaluate a benchmark contingency of the project cost.

  • PDF

풍력자원 정밀조사 및 풍력단지 개발 기술 증진연구 (Precise Investigation on Domestic Wind Resources and Research on the Enhancement for the Windfarm Development Technology in KOREA)

  • 김건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505-518
    • /
    • 2005
  • 풍력발전기술은 전적으로 바람의 세기에 의존하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바람의 강도가 발전전력의 양과 풍력시스템의 효용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사업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풍력자원의 조사는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최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본 연구사업의 중요성이라 할 수 있다. 풍력자원에 대한 실측자료로서 풍력자원 특성의 분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용량 및 수량과 적용방안 및 최종적으로 정량적인 의미에서의 경제성 분석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의 본격적인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기존 기상청의 풍력자료와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선정된 후보지점을 중심으로 도상검토 및 실사를 통해 1차년도에 9군데, 2차년도에 6군데 총 15개 지점에 대한 실측지점을 선정하여 실측기기의 설치와 풍력자료의 분석으로서 정밀한 풍력자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본격적인 풍력발전 단지 건설 사업추진에 대비하고자 수행된 연구사업이며, 아울러 개괄적인 국내 풍력자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광역 풍력자원 분포도를 개발하였다.

  • PDF

BTB STATCOM을 이용한 풍력발전의 계통 연계 (Grid Connection of Windfarm by BTB STATCOM)

  • 여상민;최종윤;김준성;서인영;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447-448
    • /
    • 2011
  • 일반적으로 BTB STATCOM은 계통 분리 운전이나 이종계통의 연계 등의 목적으로 이용한다. 기본 구성으로는 두 대의 STATCOM을 직렬로 연결하여 계통에 삽입되며, 구조 및 개념상 HVDC와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독자 개발에 성공한 STATCOM의 기술을 바탕으로 BTB STATCOM을 개발하고, PSCAD/EMTDC를 이용하여 BTB STATCOM의 모델링 및 계통 연계 모의를 수행하였다. 풍력발전의 발전량이 변하더라도 BTB STATCOM이 응동하여 실제 발전량을 정상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MMC VSC 기반 Point-to-Point HVDC Grid에서의 DC 고장 분석 (DC Fault Study in Point-to-Point HVDC Grid based on MMC VSC)

  • 이동수;김기석;장길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1-162
    • /
    • 2015
  • 최근 세계적으로 전력계통의 대륙 간 연계나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의 계통 연계를 위해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용량, 장거리 송전이 필요한 경우 HVAC에서의 전력손실과 송전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HVDC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LCC(Line commutated Converter)와 VSC(Voltage Source Converter)의 기술발전이 비약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DC Grid화를 위해서 유럽에서는 해상풍력을 연계한 Windfarm을 DC Grid화 하는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의 계통 연계를 위해서 DC Grid가 본격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고 관련분야에서는 기술개발을 앞다퉈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DC Grid 구현을 위해 VSC HVDC가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VSC로 연계된 DC Grid의 AC 계통과의 연계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DC 차단기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DC Grid의 고장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VSC를 기반으로 한 Point-to-Point HVDC Grid에서의 DC 고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 PDF

IEC 기준에 따른 풍력터빈 전기품질 측정절차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ing power quality measurement procedures of wind turbines according to IEC standard)

  • 서정출;윤기갑;정원욱;채우규;김상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97-1198
    • /
    • 2006
  • The wind turbine system, one of the distributed resource, has a large effect on the distribution system. because windfarm is located in the end part of the distribution system, the hilly section and the shore, which is easy to obtain the wind energy,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voltage and the power quality.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power quality characteristic of wind turbines with IEC 61400-21.

  • PDF

다공 원반 CFD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후류 해석 연구 (Wind Turbine Wake Model by Porous Disk CFD Model)

  • 신형기;장문석;방형준;김수현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4권1호
    • /
    • pp.68-74
    • /
    • 2013
  • Offshore wind farm is being increased since there are much trouble to develop onshore wind farm. But in the offshore, wind turbine wake does not dissipate less than onshore wind turbine because of low turbulence level. Thus this remained wake interacted to other wind turbine. This interaction reduces energy production in wind farm and have a bad influence on fatigue load of wind turbine. In this research, CFD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ze wake effect in offshore wind farm. A method that wind turbine rotor region was modelled in porous media was devised to reduce computation load and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Horns Rev measurement. Then wake interaction between two wind turbine was analyzed by devised porou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