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k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사상인(四象人)의 생리적 특성 연구 (Psychological, Physical and Genetic Traits of Sasang Typology)

  • 채한;홍무창;배현수;신민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4-314
    • /
    • 2005
  • The major concept of Sasang typology is that the disease susceptibility and drug response as well a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re presu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asang types. Although characterizing fundamental basis of their traits are crucial in this research field, only pathological susceptibility and physical appearances were thoroughly studied. We evaluate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y tapping psychological, physical and genetic traits of each Sasang types. After determining the Sasang type of one hundred thre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genetic traits of each type were analyzed with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genetic polymorphism test, respectively. Each of the Sasang typ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rofiles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coef=11.88, z=2.13, p=0.033), and could be distinctively classified based on their MBTI scores (discriminant analysis Wilks Lambda=0.611, df=8, chi-square=36.7, p<0.001). Subjects with the So-Eum type (Introversion and Judging) and the So-Yang type (Extroversion and Perceiving) showed contrasting psychological features, however they had similar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Subjects with the Tae-Eum type showed bigger Body Mass Index ($R^2$=0.22, df=4, 74, F=5.07, p=0.001) and body shape compared to other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rotein beta-3 subunit polymorphism,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polymorphism and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polymprhisms among groups with Sasang types, it was shown that the dopamine system could be one for genetic marker for Sasang typology. These results demonstrated distinctive and essential traits of Sasang typology using reproducible psychometric, anthropometric and genetic evalu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Sasang typology was a bio-psychological typology which could show trait-specific guideline for individualized medicine.

배뇨 소증 분석과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사상소변기능검사(SUI)의 타당화 연구 (Study on the Validation of Sasang Urination Inventory (SUI) for Analyzing Pathophysiological Symptoms and Diagnosing Sasang Types)

  • 채한;이슬;박유경;이정윤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28
    • /
    • 2021
  • Introduction The Sasang Urination Defecation Inventory was developed to analyze Sasang-type specific pathophysiological clinical symptoms, and its revised Sasang Urination Inventory (SUI) illustrated its clinical usefulness in Sasang type differenti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with established clinical measures for its concurrent validity were not provided yet. Methods Total of 48 healthy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o response Urogenital Distress Inventory-6 (UDI-6) and Overactive Bladder Symptom Score (OABSS) of Western medicine along with the SUI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UDI-6 and OABSS and SUI were acquir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rofile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 subscale profiles of each Sasang types. Results The SUI-HSS of urogenital hypersensi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OABSS (r=0.442, p<0.01), and the SUI-DIS of urinary discomfort positively with UDI-6 (r=0.289, p<0.05). Interestingly, the SUI-total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ge (r=0.326), height (r=0.318) and weight (r=0.304). The SUI-DIS for urinary discomfort of So-Yang (9.48±2.11) typ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Tae-Eum (7.2±2.90) type. And SUI subscale profiles of each Sasang type were significantly (Wilks' Lambda=0.792, F=2.723, p=0.034) distinctive to each other. Discussion The acceptable convergent validity of SUI was shown using established measures of urogenital symptoms. The SUI might be used as an objective traditional Korean clinical measure for Sasang type differentiation and urological patients.

Impact of Coping and Communication Skills Program on Physicia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 Penberthy, Jennifer K.;Chhabra, Dinesh;Ducar, Dallas M.;Avitabile, Nina;Lynch, Morgan;Khanna, Surbhi;Xu, Yiqin;Ait-Daoud, Nassima;Schorling, Joh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381-387
    • /
    • 2018
  • Background: Physician behaviors that undermine a culture of safety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s health-care organizations strive to create a culture of safety and reduce medical errors. We developed, implemented, and assessed a course to teach physicians skills regarding effective cop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 our results regarding outcomes. Methods: We examin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unprofessional or distressed behaviors of physicians, and we evaluated the impact o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scores of the physicians. Assessments of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were assessed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ver time in physicians' emotional flooding and emotional exhaustion (EE). Specifically,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revealed that flooding scores at follow-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at baseline, V = 590, p < 0.05, and EE and personal accomplishment distribution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deviate from normal as indicated by Shapiroe-Wilks tests (p < 0.05). A Wilcoxon signed-rank test indicated that E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baseline compared to follow-up 1, V = 285, p < 0.05.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physician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educational skills training program improved scores on emotional flooding and EE and that this may be indicative of improved skill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learning in the program. These improved skills in physician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culture of safety in the health system setting.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 개발 (Deelopment of a Multisite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 소병진;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83-83
    • /
    • 2017
  • 수자원공학에서 일강수량 모의기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및 신뢰성 평가 및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 자료생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역 단위의 분석시 단일 지점에 대한 강수 모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의 시계열 및 통계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지만 공간적으로 발생하는 즉, 지점 간의 종속관계를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적인 전이 특성이 있는 가뭄 분석 및 유역내 유출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에 단일지점별 모의 결과를 이용할 경우 관측 자료와 상반된 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하여 잘못된 가뭄 및 유출 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강수 특성을 반영한 유역 단위의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문 분석을 위해서는 지점간의 종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다지점 강수 모의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점 모의에 있어서, Wilks 모형의 지점별 시변동 특성과 공간상관성 재현 능력, HMM 모형이 갖는 강수 사상별로 분포된 양적 분포 패턴 재현 능력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인 기계학습 기반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ML-MRS)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점별 강수량에 적용되는 확률분포모형은 Gamma 분포로 구성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단일 확률 분포 모형의 자료 적합 문제를 개선하였다. 모의를 통한 일강수량 시계열 자료는 일 강수자료의 통계량을 효과적으로 모의하였으며, 다지점 모형의 모의 결과를 적용한 가뭄 모의 결과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패턴이 재현되었다. 본 모형은 시 공간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지역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가뭄, 홍수, 기상 현상 분석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교육전담간호사 운영 효과 (Effect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 조옥연;이선희;이한주;한미예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2호
    • /
    • pp.130-13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preceptor nurs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by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71 general nurses and 71 preceptor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of G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and occupational stress of preceptor nurs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ere verified by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WIN 27.0 statistical program.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fter Sapiro-Wilks normality test, and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cheffétest. Results: It was infer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9.32, p<.001) i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with an average of 3.72±0.77 before the education and 4.47±0.60 after the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al stress in the preceptor nurses. Conclu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troduction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This result will serve as basic data to implement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for general nurses in all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한국과 영국 사이의 국립공원 자연 경관 특색의 판별 분석 - 내용기반 영상검색의 저단계 기능 측면에서 - (Discriminant Analysis of Natural Landscape Features in National Parks between Korea and Scotland - Using Low-Level Functions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

  • 이덕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9-300
    • /
    • 2008
  • 질감, 모양, 색채 등 내용기반 영상검색(CBIR)의 기능을 이용하여 한국의 지리산 국립공원과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의 자연 경관에 있어서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각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을 디지털 사진영상으로 촬영한 후, 전형적인 경관사진을 선별하였다. 사진영상의 저단계 기능(Low-level function)이 계량화되어 수직적으로 회전된 다섯 개의 요인으로 축약되었다. 이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물 관련 요인이 제외된 나머지 네 개의 요인에 근거한 판별선이 케이른고럼스 경관과 지리산 경관 사이에서 도출되어, 판별함수가 두 그룹을 유의하게 분할하였다($x^2(4)$=61.433; p<0.001). 고유치 2.417과 월크스 람다 0.293에 의하여 전체 변이가 두 그룹의 판별함수 평균의 차이에서 대부분 산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네 개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전체 분산의 70.7%를 설명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관에 대하여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변수는 원거리관련 변수(r=1.073)이며, 다음으로 근거리관련 변수(r=0.896)였으며, 전체적으로 90.7%가 타당하게 분류되었다. 이는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 자연경관 사이에서 사진영상의 근거리 요인뿐만 아니라, 원거리 요인이 보다 경관 차이에 유의한 판별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국립공원의 경관정체성과 관련한 원거리 스카이라인의 시각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신체증상장애와 관련된 분노정서특질과 아동기 역경 경험 (Ang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Childhood Adversity in Somatic Symptom Disorder)

  • 강성혁;박천일;김혜원;김세주;강지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9-56
    • /
    • 2020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anger-related features in patients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SSD)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and to examine whether anger trait and anger regulation strategy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S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dversity and SSD. Methods : 26 patients with SSD and 28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Anger-related features were assessed with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Clinical somatic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somatization subscale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th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Childhood adversity was assessed by the Childhood Traumatic Events Scale.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Results : Disease status of SSD had a significant overall effect on anger-related features (Wilks λ=0.725, F(5, 44)=3.332, p=0.012). Patients with SSD showed a significantly high Trait-Anger (p=0.017) and they had a high score in both Anger-Out (p=0.013) and Anger-In (p=0.001) of anger expression styles. In particular, a directed inward style of ange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symptom severity (p=0.003). Regarding childhood adversity, more childhood extreme illness was experienced by the SS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12). Within the SSD group, childhood extreme illne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Trait-Anger (p=0.027) and Anger-Out (p=0.001). Conclusion :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styles, and childhood adversity of extreme illness may be involved in SS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role of anger-related features and its relationship with childhood adversity in the pathophysiology of SSD.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Creativity)

  • 황경양;김회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6-78
    • /
    • 2019
  • 본 연구는 67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키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집단에 따른 사전-사후 창의성의 효과에서는 유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실험집단 1이 사전-사후 향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2는 독창성이 타집단에 비하여 사전-사후 향상도가 높았으며, 비교집단은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사전보다 사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 스캐폴딩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험집단 1이 독창성에서 향상도가 낮은 결과는 학습자들이 교사 스캐폴딩에는 익숙하나, 메타인지적 자기 질문 스크립트를 통한 독창성 향상에 잘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 스캐폴딩 뿐만 아니라 자기 스캐폴딩도 필요하며, 학습자 개인에 따른 차별화된 자기 스캐폴딩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성적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 (Associ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Grade Point Average Score in Dental Hygiene Students)

  • 황혜림;김응권;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3
    • /
    • 2012
  • 비판적 사고는 치위생 교육과 실무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 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이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기 위해 2개교의 치위생(학)과 재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업성적을 조사하여 다변량 공분산분석에 의해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 평균은 3.46이었으며, 학업성적 상위권 집단의 비판적 사고 성향 전체 평균은 3.63로서 중위권(3.46), 하위권(3.41)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9). Scheffe 방법에 의한 사후검정 결과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9). 2.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요인인 지적열정/호기심, 자신감, 객관성, 건전회의성, 지적공정성, 신중성 등 6개 요인을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연령을 공변량으로 입력한 다변량 공분산 분석 결과 다변량 검정 결과 학업성적 집단에 따라 다변량 통계량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지적열정/호기심에서 학업성적 상,중,하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36). 3. 학업성적 집단 사이의 지적 열정/호기심에 대한 차이를 Scheffe의 방법에 의해 사후검정한 결과 상위권집단과 중위권 집단 사이(p=0.027)와 상위권 집단과 하위권 집단 사이(p=0.002)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위권 집단과 하위권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을 분석한 결과, 성적에 따라 비판적 사고능력에는 지적 열정/ 호기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Wilks의 람다=0.914, F(6, 24)=1.869, p=0.001, 부분 에타제곱=0.044).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업무범위 안에서 해결해야 하는 대상자의 '문제'와 '원인'의 관계를 진술하는 '치위생진단문'과 치과위생사가 제공해야할 예방, 치료, 교육에 관한 '중재 계획'으로 비판적 사고 과정의 결과이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증진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