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fire Sprea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Simulation and Analysis of Wildfire for Disaster Planning and Management

  • Yang, Fan;Zhang, Jianso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43-449
    • /
    • 2022
  • With climate change and the global population growth, the frequency and scope of wildfires are constantly increasing, which threatened people's lives and property. For example, according to California Department of Forestry and Fire Protection, in 2020, a total of 9,917 incidents related to wildfires were reported in California, with an estimated burned area of 4,257,863 acres, resulting in 33 fatalities and 10,488 structures damaged or destroyed. At the same time, the ongoing development of technology provides new tools to simulate and analyze the spread of wildfires. How to use new technology to reduce the losses caused by wildfire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 potentially feasible strategy is to simulate and analyze the spread of wildfires through computing technology to explore the impact of different factors (such as weather, terrain, etc.) on the spread of wildfires, figure out how to take preemptive/responsive measures to minimize potential losses caused by wildfires, and as a result achieve better management support of wildfires. In preparation for pursuing these goals, the authors used a powerful computing framework, Spark, developed by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CSIRO),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weather factors (wind speed, wind direction,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the spread of wildfire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wind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spread of wildfires. A stable weather condition (stable wind and air conditions) is beneficial to limit the spread of wildfires. Joint consideration of weather factors and environmental obstacles can help limit the threat of wildfires.

  • PDF

고성산불지역에서의 화재조사와 주요수목의 열량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investigation & calorie analysis of main trees in Go-sung wildfire land)

  • 김동현;고재선;최세환;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36
    • /
    • 1999
  • 1996년 4월 23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에 대한 현장조사와 주요수목인 굴참나무와 소나무에 대한 열량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산불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크게 기상, 연료, 지형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데 기상 조건에서는 산불위험경보 수준이었고, 연료 조건에서는 높은 열량값을 가지고 이쓴 소나무 순림이 전체 산림의 63%를 차지하고 있었다. 산림의 지형에서는 지형의 변화와 기복이 크며 단순상향사면형의 지형이 어우러진 골짜기 형태로 급경사지가 대부분이었다. 주요 수목인 소나무와 굴참나무의 열량 실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나무의 경우 부위별 전체 열량값이 13.43kcal/g, 굴참나무는 9.46kcal/g로 나타났다. 열분해에 의한 질량손실의 경우 소나무가 굴참나무보다 약 35.71~10.05% 더 높은 질량 손실률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나무가 굴참나무보다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 PDF

재난 재해 지역의 산불 확산경로와 이동속도 예측 알고리즘 (Prediction of Wildfire Spread and Propagation Algorithm for Disaster Area)

  • 구남경;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81-158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산불 발생 시 화재의 확산경로와 속도 예측이 가능한 관제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다. 특히 관제 기능에서는 안전 구역 확보를 통해 화재진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인명, 산림재산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산불 확산 경로 예측 방법에서는 지형, 기상, 연료인자, 영상정보 등을 통해 산불 확산 모델 및 속도를 예측한다. 하지만 이 경우 범위가 넓은 산을 관제하기엔 비용도 많이 소요가 되고, 확산 모델 예측 및 경로 파악에만 집중하여 안전 구역 확보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불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예측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온도 변화량 및 연기와 풍향 등의 산불 재난에 따른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산불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기법이다. 개발된 훈련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어진 모의실험 환경에서 산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분석이 가능하고 산불에 대한 확산 예측과 진화 및 진압 훈련이 가능한 중앙관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산불 발화에 따른 하층 대기 순환장 변화에 관한 수치 실험 (Numerical Experiment on the Variation of Atmospheric Circulation due to Wild Fire)

  • 이화운;탁성훈;이순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3-185
    • /
    • 2013
  •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wildfire and its thermal forcing on atmospheric wind and temperature patterns,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ree dimensional atmospheric dynamic model WRF with wildfire parametrization module SFIRE. Since wind can accelerate fire spread speed, the moving speed of fireline is faster than its initial values, and the fireline tends to move the northeast, because of the wind direction and absolute vorticity conservation law associated with driving force induced by terrain. In comparison with non-fire case, the hydraulic jump that often occurs over downwind side of mountain became weak due to huge heat flux originated by surface wildfire and wind pattern over downwind side of mountain tends to vary asymmetrically with time passing. Therefore temporal variation of wind pattern should be catched to prevent the risk of widfire.

FIRMS API를 이용한 GIS기반 산불 확산정보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wildfire based on FIRMS API)

  • 이병현;손민우;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4-454
    • /
    • 2022
  • 산불 현장 인근 주민들은 산불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 부족으로 언론정보와 국가의 대피명령에만 의존하게 되어 불안감이 높아진다. 따라서 산불 발생 시 화재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없었던 불편함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는 열적외선 위성영상자료(NASA FIRMS, Fire Information for Resource Management System)의 시스템 인터페이스(API)와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산불의 진행상황과 비산물의 확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은 GIS기반 시각화를 포함하는 Web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주민 입장의 산불상황시 대피를 위한 의사결정 참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산불 발생지역에서의 산불 이동속도 예측 및 안전구역 확보에 관한 연구 (Efficient Multicasting Mechanis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 우병훈;구남경;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산불 발생 시 화재의 확산경로와 속도 예측에 따른 안전 구역 확보를 통해 화재진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인명, 산림재산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산불 확산경로 예측 방법에서는 지형, 기상, 연료인자, 영상정보 등을 통해 산불 확산 모델 및 속도를 예측한다. 하지만 이 경우 범위가 넓은 산을 관제하기엔 비용도 많이 소요가 되고, 확산 모델 예측 및 경로 파악에만 집중하여 안전 구역 확보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산불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예측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간에 따른 정보로 온도 변화량 및 연기와 풍향 등의 산불 재난에 따른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산불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기법이다. 주어진 모의실험 환경에서 산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산불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빠르게 진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산불피해 현장답사를 통한 연소면적 산출 연구 - 임실, 경주 산불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Burned-Area Analysis Method for Forest-fire Damaged Area - Investigation for ImSil County, GyeongJu City -)

  • 강서영;이정윤;김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6-181
    • /
    • 2012
  • In this research the 2009 spring occurred during forest fire ImSil and research destination GyeongJu has been selected.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target time exploratory Boundary Data through after air photos, satellite photos and topographic map by using the combustion area was calculated. 2009 March 1-forest fire occurs on the day of the weather information and weather changes wildfire in the check in any affected. Study research destination of combustion is ImSil 161 ha, GyeongJu 270.93 ha. The impact of the weather-temperature dry weather forest fires this favorable situation to occur and the wind directions and the spread of the mountain wind speed was less impact has no arg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