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birds Habita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남산도시자연공원내 생물서식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reating a Biotope in Namsan Urban Natural Park)

  • 강현경;이수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58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the plan of creating a biotope reflecting an ecological education as well as its function as the habitats of amphibian in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There were Cheonil mineral spring area which was located on the southern side of Namsan, wetlands which was already created on the east valley(800$m^2$) and a buffer area of the circumference(1,100$m^2$) as the biotope sites. Major fields of this study include a survey of the staus, a basic plan, a master plan; a survey of this site was focused on topography, water system, existing vegetation, wildbird, amphibian, trail; a detailed plan was focused on flow plan, planting plan, facility plan.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8 types; Pinus densiflora forest, Pinus densiflora planted area, Prunus sargentii-Quercus spp. forest, Pinus rigida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artificial green space, wetlands, south beltway. There were Pinus densiflora planted area and Prunus sargentii-Quercus spp. forest as major vegetations of this site. 14 species and 33 individuals of wildbirds appeared, Rana temporaria ornativentris and Hynobius leechi were investigated in the wetlands.In particular, habitats of amphibian were divided eco-zone, buffer-zone and restore-zone, and habitats and facilities which would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were planned. As a result, environment elements of good habitats including spawn wetlands of amphibian, harbor of amphibian, water plant of wetland, wild shrubs forest, ecological landscape forest, wetland observation trail, fence of wetland protection and ramp by pebble and log were created at the site. The amphibian biotope of Namsan is rated high as an important space for conserving biodiversity. Accordingly, continuous monitoring of this biotope as a urban habitat is required as the environment changes.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 이경재;한봉호;박현애;최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1-7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sim}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sim}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sim}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원주시 섬강, 원주천의 비오톱유형별 야생조류 서식특성 연구 (Properties of Wildbirds Habitat according to Biotope Types at Seom River and Wonju Stream)

  • 노태환;피재황;최진우;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6-689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도심지를 통과하는 원주천과 외곽의 국가하천인 섬강 전 구간을 조사하여 비오톱유형화를 통해 하천 자연생태 현황을 파악하고, 야생조류 출현위치를 파악하여 비오톱과 야생조류 출현현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비오톱유형은 규모, 형태, 경관에 따라 중분류하였으며, 수문, 물리환경, 식생에 따라 소분류하였다. 또한 하천공간, 물리환경, 식생, 토지이용에 따라 비오톱유형을 세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 섬강은 21개 유형, 원주천은 19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야생조류는 2008년 1월과 5월에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조류의 출현위치를 표기하여 야생조류 출현지점의 비오톱 속성을 파악하였다. 야생조류 출현 현황은 섬강 전 구간에서 봄철 31종 795개체, 겨울철 49종 4,348개체이었고, 원주천에서는 봄철 34종 427개체, 겨울철 33종 3,442개체이었다. 섬강은 산지형 하천 중 합수부 퇴적지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26종 547개체, 봄철 12종 72개체이었으며, 농촌형 하천 중 퇴적지 및 습지식생이 넓게 형성된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34종 1,412개체, 봄철 24종 341개체이었다. 이에 농촌형 하천은 하폭이 넓고 유속이 느리며, 다양한 비오톱유형이 있어 야생조류 서식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와 표현이 힘든 선형 하천구간에 정밀 비오톱 조사와 유형화를 통해 하천 전체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조사하여 생물서식처 복원, 생태하천 조성, 하천정비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원주시 도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하천은 강우에 의해 비오톱 속성이 빈번하게 변경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