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yeast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5초

Yeasts in the Flowers of Wild Fleabane [Erigeron annus (L.) Pers.]

  • Kim, Jong-Shik;Kim, Dae-Sh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8-243
    • /
    • 2015
  • BACKGROUND: Yeasts associated with fleabane flowers were identified using isolation methods previously applied in yeast biotechnology. A culture-based approach was required for isolation of many yeast strains associated with fleabane. METHODS AND RESULTS: We spread homogenized fleabane flowers onto GPY medium containing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Triton X-100, and L-sorbose. We isolated 79 yeast strains from the flowers of wild fleabane, and identified the yeasts via phylogenetic analysis of isolates from agar plates. The yeast species included 39 isolates of Aureobasidium pullulans, 17 of the genus Candida, 14 of the genus Rhodosporidium, 6 of the genus Cryptococcus, and 3 of the genus Rhodotorula. CONCLUSION: Yeast isolates associated with fleabane flowers included A. pullulans (39 isolates) and other yeast species (40 isolates). Such yeast isolates may have biotechnological potential.

Yeast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Islands, Jejudo, Ulleungdo and Yokjido of Korea

  • Lee, Jong-Soo;Hyun, Se-Hee;Kim, Ha-Ku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0-30
    • /
    • 2014
  • We isolated various yeasts from wild flowers in main islands, Jejudo, Ulleungdo and Yokjido of Korea and their yeas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PCR-amplified D1/D2 regions of 26S rDNA using the BLAST database. Thirty two yeast strains of fourteen specie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of Jejudo. Forty eight yeast strains of twenty two speci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wild flowers of Ulleungdo, Korea. Sixty yeast strains belonged to twenty five species were isolated identified from wild flowers of Yokjido in Tongyeong, Korea. Only Metschnikowia reukaufii was overlapped from the three different islands areas. Two species overlapped from Jejudo and Ulleungdo: Pichia guilliermondii, Metschnikowia reukaufii. Seven species were overlapped from Ulleungdo and Yokjido: Cryptococcus albidus, Cryptococcus laurentii, Metschnikowia reukafii, Pichia scolyti, Rhodotorula glutinis, Rhodotorula graminis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Four species were overlapped from Jejudo and Yokjido: Candida sp. Cryptococcus aureus, Metschnikowia reukafii and Pseudozyma sp.

  • PDF

반날개과 곤충 장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Separation of Wild Yeast from Intestine of Othius punctulatu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in Korea)

  • 이상은;한주현;김명겸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9-235
    • /
    • 2020
  • 곤충 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야생 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고자 충북대학교 주변 토양에 서서식하는 반날개과 곤충장 5점의 시료들로부터 16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야생 효모 16균주는Aureobasidium 속 3균주, Cystofilobasidium 속 4균주, Mrakia 속 1균주, Naganishia 속 3균주, Saitozyma 속 2균주, Sampaiozyma 속 2균주와 Scheffersomyces 속 1균주를 포함한다. 이들 중 Cystofilobasidium capitatum YP53, C. capitatum YP71, C. macerans YS620, C. macerans YS622, Mrakia aquatica YP158 및 Scheffersomyces stipitis YI56균주들을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하였다. 선별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탄소원의 자화성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모두 타원형의 세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glycerol, L-arabinose, xylitol, inositol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없었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Collected around Jangseong Lake i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Yeast Bullera coprosmaensis

  • Han, Sang-Min;Hyun, Se-Hee;Lee, Hyang Burm;Lee, Hye Won;Kim, Ha-Kun;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66-271
    • /
    • 2015
  • Several types of yeast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around Jangseong Lake i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and identified by compar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CR amplicons for the D1/D2 variable domain of the 26S ribosomal DNA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nalysis. In total, 60 strains from 18 species were isolated, and Pseudozyma spp. (27 strains), which included Pseudozyma rugulosa (7 strains) and Pseudozyma aphidis (6 strains), was dominant species. Among the 60 strains, Bullera coprosmaensis JS00600 represented a newly recorded yeast strain in Korea, and it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yeast cell has an oval-shaped morphology measuring $1.4{\times}1.7{\mu}m$ in size. Bullera coprosmaensis JS00600 is an asporous yeast that exhibits no pseudomycelium formation. It grew well in vitamin-free medium as well as in yeast extract-malt extract broth and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broth, and it is halotolerant growing in 10% NaCl-containing YPD broth.

야생 효모의 분리.동정 및 이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wine)

  • 김정인;이남근;함영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21
    • /
    • 2007
  • 거봉 포도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을 이용, 국내산 캠벨얼리와 거봉포도를 발효시켜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발효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포도주제조용 발효균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야생발효균주의 분리를 위하여 안성지역 거봉포도와 캠벨얼리 포도즙을 실온에서 6일 동안 스타터의 첨가없이 자연발효시켜 우세균주를 분리하였다. 거봉에서 분리된 효모의 발효능이 캠벨얼리에서 분리된 효모보다 1.8배정도 높았다. 거봉에서 분리한 발효균주를 분자 생물학적 인 방법 인 26S rDNA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를 이용한 포도주의 제조에서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즙의 최종 당도를 $25^{\circ}Brix$로 포도당을 이용하여 보당하고, 이산화탄소를 발효조에 채우고, 실온에서 10일간 발효시켰다. 포도주의 수율은 캠벨얼리가 75%, 거봉이 85%였고 최종 알코올 도수는 캠벨얼리가 11.0%, 거봉이 13.0%이었다. 산업용발효균주인 S. cerevisiae EC-1118과 비교한 결과 총산도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주 모두에서 산업용 발효균주인 EC-1118에 비하여 분리한 S. cerevisiae IJ850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포도주의 pH와 색도 분석에서는 S. cerevisiae IJ850과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포도주모두에서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페놀 성분분석에서는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캠벨얼리 포도주에서 125 mg/L의 함량을, S. cerevisiae IJ850으로 제조한 거봉포도주에서 75 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esiae IJ850는 포도주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주로써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 민진홍;류진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1
    • /
    • 2013
  • 국내 자연환경의 효모 균총을 확인함으로써 유용한 효모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전 계족산, 충남 오서산 그리고 전북 백암산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이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전의 계족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에 속하는 1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충남의 오서산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10종의 효모들 17균주를 분리하였다. 또한 전북 백암산의 야생화로부터 모두 24종에 속하는 38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계족산, 오서산, 그리고 백암산에서 모두 발견된 효모는 Cryptococcus 속, Pseudozygoma 속, Rhodotorula 속, Sporobolomyces 속에 속하는 9종의 효모들이었다. 특히 3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화들로부터 Cryptococcus 속에 속하는 Cryptococcus aureus만이 모두 분리되었는데, 이 결과는 각 지역마다 독특한 효모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Screening of γ-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Wild Yeasts and their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 Han, Sang-Min;Jeon, Sun-Jeong;Lee, Hyang-Burm;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7-93
    • /
    • 2016
  • From 182 non-pathogenic wild yeast isolates from flowers, Pichia silvicola UL6-1 and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were selected for potent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ichia silvicola UL6-1 formed ascospores and pseudomycelia. The strain was also halotolerant, growing well in 5% NaCl-containing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medium.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did not form ascospores or pseudomycelia and grew well on 10% glucose-yeast extract-peptone medium.

효모변이주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세포벽 유래의 베타글루칸 면역활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beta}$-Glucan Isolated from the Cell Wall of Yeast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 박정훈;강만식;김홍일;정봉현;이광호;문원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8-492
    • /
    • 2003
  • S. cereviaiae KCTC 7911에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selective pressure로서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sae와 mechanical stress인 glass bead를 차례로 처리하여 효모변이주를 S. cerevisiae IS2를 선발하였다. S. cerevisiae IS2는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ase의 농도별 내성실험 결과 wild-type에 비해 훨씬 강한 내성을 보여 세포벽에 변화가 일어난 균주로 예상된다. 효모변이주와 wild-type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추출하여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쥐의 복강에 주사하고 생성되는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면역세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을 쥐의 복강에 주사하였을 때 베타글루칸의 종류에 상관없이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대식세포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변이주 베타글루칸을 주사하였을 경우 wild-type 베타글루칸에 비해 면역세포의 수는 1.40배, NO 생성능은 1.12배, 대식세포의 활성도와 탐식능은 각각 1.18배와 1.43배 높은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변이주 베타글루칸이 wild-type 베타글루칸보다 우수한 면역활성 촉진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고부가가치 기능성 면역물질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 0113으로부터 항치매성 Butyrylcholinesterase 저해물질의 생산 (Production of an Anti-dementia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Non-pathogenic Wil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 0113)

  • 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43-2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진균류 유래의 새로운 항치매성 BChE저해물질을 생산할 목적으로 대전광역시 하천에서 분리하여 선별한 비병원성 야생효모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을 제조하여 이들의 BChE 저해활성 측정하였다.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S. cerevisiae WJSL0113의 무세포추출물이 85.2%의 BChE 저해활성을 보여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의 BChE 저해활성은 시판 주류용 S. cerevisiae과 식용 버섯들의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선발 균주인 S. cerevisiae WJSL0113을 30℃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치매성 BChE 저해활성을 보였다.

Production and Its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γ-Aminobutyric Acid from the Wild Yeast Strain Pichia silvicola UL6-1 and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 Han, Sang-Min;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99-203
    • /
    • 2017
  • This study was done to produc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from wild yeast as well as investigate its anti-hyperglycemic effects. Among ten GABA-producing yeast strains, Pichia silvicola UL6-1 and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produced high GABA concentration of $134.4{\mu}g/mL$ and $179.2{\mu}g/mL$, respectively. P. silvicola UL6-1 showed a maximum GABA yield of $136.5{\mu}g/mL$ and $200.8{\mu}g/mL$ from S. carnicolor 402-JB-1 when they were cultured for 30 hr at $30^{\circ}C$ in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um. The cell-free extract from P. silvicola UL6-1 and S. carnicolor 402-JB-1 showed very high anti-hyperglycemic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2.3% and 69.9%,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ir cell-free extract-containing GABA showed the anti-hyperglycemic effe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prague-Dawley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