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rot fungu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7초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 발생 (Collar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김태성;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1-133
    • /
    • 2001
  • 2001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줄기가 부패하고 주위에 흰곰팡이가 발생하는 병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 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30^{\circ}C$에서 가장 잘 자랐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PDA 배지에서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으며, 균핵의 크기는 $1.0{\sim}3.7{\times}1.0{\sim}2.8\;mm$(평균 $1.0{\sim}2.3\;mm$)였다. 병원균의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사과 경엽 살포용 살균제의 겹무늬썩음병균에 대한 포자형성 억제작용과 그것이 병 방제에 미치는 영향 (Suppressive Activities of Foliar Spray Fungicides for Apple Against Sporulation of Botryosphaeria dothidea, the Causal Fungus of White Rot, and Their Role in Disease Control)

  • 이동혁;조래홍;신정섭;엄재열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40-248
    • /
    • 2006
  • Control of white rot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apple diseases in Korea has mainly relied on periodical spray of protective fungicides. As the main inoculum source of the disease is pycnidiospores produced in the warts formed on affected stems of apple tree, it can be conceivable that inhibition of spore production might be an effective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ease. Inhibitory efficacy of eight selected fungicides against sporulation of the fungus was assess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pores produced at detached warts treated with the fungicides of recommended dilution. They showed diverse effect on sporulation. Carbendazim and azoxystrobin suppressed sporulation almost completely, the former irreversively. Thiram and folpet promoted sporulation as producing much more number of spores than untreated control. Others showed almost no effect on sporulation. Effects of suppression and promotion in the sporulation shown by the fungicides on the control of white rot were examined by incidences of disease and infection at the plots adopted the spray programs of which the fungicide at late May was substituted by carbendazim, azoxystrobin, folpet and thiram, respectively. Disease incidence and infection frequency at the plots sprayed former two chemicals which suppressed sporul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plots adopted latter two chemicals and untreated plot at which the fungicide spray was skipped at that time. These facts were reconfirmed in the experiments conducted with carbendazim and thiram, in which 100 fruits were bagged just prior to each spray from late May to late July for elucidating the effect of the two fungicides on the action of subsequent ones. Disease incidence and infection frequency on the fruit bagged just prior to each spray were gradually increased as the seasons going on. The increase rate at the carbendazim plot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iram. Especially, the fruit infected till late July at the carbendazim plot were almost completely cured by the three fungicides, iminoctadine-triacetate, tebuconazole and samzinwang, a combined formular of iminoctadine-triacetate and difenoconazole, sprayed at late July and hence. In thiram plot, infected fruit were also cured by the 3 fungicides but not remarkabl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ontrol efficiency of white rot can be greatly enhanced by selecting the fungicide capable of suppress the sporulation of white rot fungus at the season when the mass dispersal of spores is not initiated.

Occurrence of Fruit Rot of Melo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Kwon, Jin-Hyeuk;Chi, Tran Thi Phuong;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8-159
    • /
    • 2009
  • In 2007 to 2008, a fruit rot of Melon (Cucumis melo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occurred sporadically in a farmer's vinyl house in Jinju City. The symptoms started with watersoaking lesion and progressed into the rotting of the surface of fruit. White mycelial mats appeared on the lesion at the surface of the fruit and a number of sclerotia formed on the fruit near the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1${\sim}$3 mm in size, and white to brown in color. The hyphal width was measured 3 to 8 ${\m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 formation was 30 on PDA.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hyphae of grown for 4 days on PDA. On the basis of symptom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o the host plant,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Saccardo.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fruit rot of Melon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백색부후균 생물 전처리에 의한 Kraft Pulp화 특성 (Kraft Pulping Characteristics by Bio-pretreatment with White-rot Fungus)

  • 강규영;조병묵;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103-110
    • /
    • 2001
  • 목재 내 리그닌의 선택적 분해 특성을 지닌 백색부후균 중, Phanerochaete chrysosporium KCCM 34740 균주를 현사시나무 목재 칩에 전처리하여 bio-kraft pulping 적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전처리 결과,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펄프의 정선수율은 전처리 10일에서 최고 약 2%의 증가를 보였으며, 전처리 기간의 증가에 따라 여수도의 감소, WRV의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수초지의 물성 개선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이러한 효과가 백색부후균의 생물고해 작용, 즉 펄프 섬유의 미세섬유화 및 다공질화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향후 kraft 증해 약액 및 제지공정상의 고해 동력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백색부후균 Marasmius scorodonius 유래 laccase의 최적생산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Laccase Production from the White-rot Fungus Marasmius scorodonius)

  • 임수진;전숭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5-231
    • /
    • 2014
  • 마늘낙엽버섯(Marasmius scorodonius)에 대하여 리그닌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본 균주는 laccase를 생산하는 백색부후균으로 확인되었다. 마늘낙엽버섯 균사체로부터 lacc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배지조건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합성 배지 중에서 YM (1% dextrose, 0.5% malt extract, 0.3% yeast extract) 배지가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YM 배지의 조성 중에서 탄소원과 질소원을 각각 1% galactose와 0.4% yeast extract로 대체하였을 때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는 최적배지조건에서 $25^{\circ}C$로 15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최대치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균사체 배양 상등액을 Native-PAGE로 전기영동한 후 활성염색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 약 60-70 kDa 사이에서 laccase 활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를 확인하였으며,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3.4과 $75^{\circ}C$이었다.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생육중의 단감 잎마름병과 저장중 과일 부패병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in the Field and Fruit Rot in the Storage Caused by Pestalotia diospyri)

  • 권진혁;안광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0-133
    • /
    • 2004
  •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단감 잎마름병은 감 생육중 잎에 주로 발생하나, 간혹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도 발생을 한다. 병징은 잎에 원형, 다각형 또는 부정형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테두리는 검은색이고 가장자리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병반 뒷면에 검은색의 소립점 형성된다.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 발생할 경우는 과실 꽃받침 부분에서 흰색의 균사가 형성되며 심할 경우 과실전체에 흰색 균사로 덮인다. 균충의 색깔은 흰색을 띠고 배지표면에 물방울 모양의 검은색의 분생포자퇴를 많이 형성한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도란형 또는 방추형이고, 크기가 $16{\sim}22{\times}6{\sim}8\;{\mu}m$이었다. 부속사는 윗부분에 $2{\sim}3$개가 달려있고 크기는 $9{\sim}18\;{\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였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할미꽃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Pulsatilla koreana Naka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황갑춘;이슬비;최용조;이상대;응웬레민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34-336
    • /
    • 2015
  • 2013년 7월 경상남도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양묘장 전시포에 재배중인 할미꽃에서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할미꽃의 꽃줄기와 꽃자루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부패되어지고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배양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할미꽃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그리고 IT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 이 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할미꽃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Rubus crataegifolius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쩐티펑지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7-130
    • /
    • 2008
  • 2008년 6월 상순 경남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산딸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표면에 상처 또는 짓물러진 과실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5{\mu}m$이었다. 포자낭은 검은색으로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2{\sim}195{\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0{\sim}92{\mu}m$이었다. 포자낭 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불규칙한 것도 있으며 크기는 $9{\sim}21{\times}7{\sim}8{\mu}m$이었다. 따라서 산딸기 과실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비비추 흰비단병 (Stem Rot of Hosta longipe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1-203
    • /
    • 2005
  • 2004과 2005년 7월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남강변에 재배중인 비비추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잎자루,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3$mm였다. 균사의 폭은 $4\~8{\mu}m$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비비추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비비추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갈색부후균(Lentinus lepideus)에 의해 부후된 소나무 재(Pinus densiflora S. et Z.)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Wood Degraded by a Brown-rot Fungus (Lentinus lepideus))

  • 권미;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39-5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icromorphological changes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wood decayed by a major brown-rot fungus, Lentinus lepideu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t the end of the 12-week exposure to the fungus in soil block procedure(ASTM 1971), test blocks sustained 5.02% weight loss. The formation of bore hole by hyphae and penetration of hyphae through bordered pit were not observed. Instead, fungal hyphae appeared to penetrate axially tracheid luminar from the the ray cells via cross field pits. Hyphae were mainly found in lignin rich cell corner regions of tracheids, and also extensive degradation of tracheid wall occurred in this region. Extensive degradation of $S_2$ layer occurred without noticeable alteration of the $S_3$ layer, but warty layer and compound middle lamella remained relatively intact. Localized erosion, the characteristic of white rot, was observed in some cell wall and wall components including lignin were found to be decom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