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st Coast Area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초

WINFLOW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Using the WINFLOW Model)

  • 최윤영;안승섭;김재광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03-115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groundwater movement system analysis and movement forecast algorith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target is Cheongha-myeon area, Bukgu, Pohang-city which has many difficulties in water supply during drought period. From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obtained values by WINFlOW model and observed values, it is thought that groundwater head distribution under steady flow is reflected well at the level of reliability Groundwater movement of study area shows stable pattern from western watershed to eastern coastal area while flow path is dense and steep in the center of the coastal area. The results of particle tracing for each well show a comparatively straight line from the western boundary side to the observation position at the upper area of the well, and are analyzed as it diffuses according to getting closer to the coast at the lower area of the well. The result of effect circle examination attendant on pumping amount in study area shows variation tendency that groundwater head decreases at the side and the lower area more than at the upper area of the well when groundwater flows from west to east(coast). As mentioned above, satisfactory results of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using WINFlOW model, two dimensional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model, are obtained through the great decrease of physical uncertainty of groundwater movement system.

삼배체와 이배체 굴, Crassostrea gigas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 비교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mparison between triploid and diploi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김수경;심나영;이원영;최민섭;최은희;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7-223
    • /
    • 2013
  • The morphological relation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iploid and diploi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aean area, 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12 to April 2013. Mophometr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riploid oysters have the same shell length to shell height ratio but higher shell depth to shell height ratio than diploids. Consistent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riploid oysters showed greater values of fatness, condition index and RNA/DNA ratio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The DNA concentration in adductor muscle and mantle of triploid were either lower or equal to the nucleic acids of diploid. However, RNA/DNA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iploid. It appears that RNA/DNA ratio could be a useful indicator of health condition of triploid and diploid oysters when taken in correlation with the morphological indices.

경남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단구 지형 발달과 분포 체계 (Geomorph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al system of marine terrace in the eastern part of Seopo-myeon, Sacheon-si, Gyeongnam Province)

  • 윤순옥;강봉;박충선;황상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75-886
    • /
    • 2016
  • 남해안의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은 창선도와 남해도에 의해 외해와 거의 완전하게 단절된 내만이다. 이 지역의 해안단구는 형성 시기를 달리하는 해발고도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54m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체계는 서해안 보령 지역의 것과 유사하다. 지형면은 구릉지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며 면적이 대체로 좁다. 그리고 형성된 지 오래된 지형면과 상대적으로 젊은 지형면이 혼재되어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공간 분포 특징은 오래된 지형면이 가장 내륙쪽에서 해안선에 평행하게 나타나며 해안으로 갈수록 최근에 만들어진 지형면이 나타나는 동해안과는 대조적이다. 이것은 기복이 복잡한 구릉지에 태풍에 의해 형성된 강력한 에너지를 갖는 파랑이 짧은 기간 동안 파식대를 형성한 데 기인한다.

  • PDF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류자료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우수지역 분포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of Biodiversity Hotspot using Birds Dat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outh Korea)

  • 권혁수;이윤경;유승화;김동원;김장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1-89
    • /
    • 2020
  • The grid-based analysis is useful for conservation planning, species distribution study, education, and other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t was high in species richness, rarity and endangered species richnes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coordinated species data can be applied to develop species distribution models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otal species richness and coordinated species 0richness. In hot spot analysis, high species richness area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west coast, while species richness is relatively low in Gangwon and Gyeongnam. Endangered species and rarity were also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and islands. Through the complementary analysis, we selected areas which are efficient to protect species; protecting more species while minimizing the conservation effort.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simply protecting Baengyueong island, Gageo island and a part of Jeju island can conserve over 50% of bir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validity of our analysis was limited by the absence of data from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protected areas as well as inconsistent capacity among field researchers.

전북 해안 지역별 패류의 중금속 함량 (A Study of Heavy Metal Contents in Shellfished of Various Areas in Jeonbuk)

  • 김인숙;한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58-761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armful heavy metals that sampled from June. 1 to June. 31, 1999, at 3 areas in Jeonbuk west cost area. The heavy metal contents were determinated by ICPS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method. The levels of total lead, cadmium, aluminum, zinc and copper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ppm) of 3 areas of shellfishes (shortneck clam, hard clam, cockle clam, snail and top sell) were Pb: 1.29~4.35, Cd:0.12~0.37, Al: 9.45~54.06, Zn: 9.65~15.14, Cu: 0.62~1.64 ppm.

  • PDF

시화방조제의 건설은 저서동물군집의 시${\cdot}$공간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How ar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ies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Shihwa Dike in the West Coast of Korea?)

  • 홍재상;정래홍;서인수;윤건탁;최병미;유재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2-895
    • /
    • 1997
  • 본 연구는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외해수와의 순환이 차단된 후 유기물오염과 담수화가 진행된 시화호 내에서 방조제 완공 전과 후의 저서동물 군집을 비교함으로써 시화호 내에서 저서동물군집이 어떤 천이과정을 거쳤는지, 그리고 군집의 천이를 일으킨 주된 요인은 무었인지, 또한 방조제 건설 전의 시화지구 해역 저서동물 군집과 건설 후 방조제 외곽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을 비교함으로써 방조제 건설이 주변 해역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조제 완공 후 시화호 내에서의 저서동물 군집의 천이는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번째는 유기물 유입의 증가에 따른 저층수의 무산소 및 빈산소 환경의 형성으로 인해 저서동물이 완전히 사라진 중오염역 (Grossly Polluted Zone)의 출현이다. 두번째는 저서동물 군집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방조제 근처의 낮은 수심에서의 기회종으로 구성된 오염역 (Polluted Zone)으로의 저서동물 군집의 천이이다. 이런 군집의 천이는 방조제의 배수갑문을 통한 빈번한 해수 유입으로 인하여 저층수의 염분도와 용존산소량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화방조제 건설은 주변 외곽지역의 저서동물 군집에도 영향을 미쳐 건설 전보다 후에 평균 출현종수는 2.6배, 밀도는 7배나 증가하는 전형적인 부영양화의 특징적 현상을 보임으로서 방조제 외곽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또한 불안정한 상태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서해안 일대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유입과 계절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ow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Marine Debris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 장선웅;박재문;정용현;김대현;윤홍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00
    • /
    • 2012
  • 본 연구는 서해안 일대의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구역을 대상으로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발생 특성과 해양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외국 기인 해양쓰레기는 제주 차귀도(5,112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진도 하조도(1,967개), 신안 임자도(507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부유성이 높은 플라스틱 제품으로 플라스틱 음료수병(2,925개)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시기별 발생량은 주로 7월, 9월에 집중되었으며, 이 시기의 해양 환경을 분석한 결과, 해상풍의 주풍향은 남풍 또는 남동풍 계열이 지배적이었다. 해수 표층 흐름의 경우 중국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해수의 흐름과 동중국해로부터 북상하는 해수 흐름의 유입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 around Intake of Pyongtaek Power Plant, West Coast of Korea)

  • 류상옥;장진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4호
    • /
    • pp.247-256
    • /
    • 2002
  •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동계에는 상대적으로 개방된 북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남측해역에서 세립한 반면. 하계에는 조석의 영향에 따라 서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동측해역에서 세립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부유퇴적물의 농도는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았으며, 표층수보다는 중.저층수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조석에 따라서는, 조류의 비대칭성에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이 바다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에 비해 뚜렷하게 많았으며, 낙조에서 창조로 바뀌는 수심이 낮은 창조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장.단기간에 걸쳐 관측된 부유퇴적물의 순이동률은 3.4$\times$$10^{-3}$ kg.m$^{-2}$ .s$^{-1}$~5.7$\times$$10^{-3}$ kg.m$^{-2}$ .s$^{-1}$범위로 육지쪽 취수구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취수구 주변에서 육지쪽으로 발생되는 인위적인 흐름과 주변의 인공구조물에 의해 조류의 순환양상이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새만금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 패류의 군집구조 변화 (Change in Community Structure of Shellfish in the Reclaimed Saemangeum Area)

  • 황선도;김종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08-715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shellfish were investigated in Eoeun and Geojeon tidal flat located in the Saemangeum area o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May to October 2000. Ninete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in Geojeon tidal flat. The samples in number of individuals included Umbonium thomasi $(90.0\%)$ and Mactra veneriformis $(5.0\%).$ In Eoeun tidal flat, t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otamocorbula amurensis $(55.0\%)$ and U. thomasi $(18.6\%).$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ducted before the beginning of reclamation in Saemangeum.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1988, a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was observed. Laternula flexuosa and Nuttallia olivacea appeared, while Mactra chinensis and Coelomactra antiquata disappeared in the deposition area in Geojeon tidal flat. In the erosion area of Eoeun tidal flat, M. veneriformis and Meretrix lusoria appeared, while Cyclina sinensis disappeared. Based on a cluster analysis, the shellfish community in Eoeun tidal flat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based on sediment types. Geojeon tidal flat was also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 distribution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diment types.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 부유퇴적물의 기초 해양환경적 특성 (Basic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Inner Shelf Zone of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 최진용;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1호
    • /
    • pp.46-54
    • /
    • 1996
  •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 해역에서 춘계동안 부유물 함량분포경향을 분석 하여, 부유물질의 운반 양상을 해석하였다. 특히 비파괴 방식의 SPECTREX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부유물의 입도분포를 정밀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의 수괴 특성은 강한 조석전선이 형성되어, 수직적으로 균질한 수괴의 연안역과 수온약층이 뚜렷한 외양역으로 구분되었다. 부유물 함량은 대체로 10 mg/l 이하로 낮지만, 연안역의 저층수와 외양역의 중층수에서는 혼탁한 수괴가 관측되었다. 부유물은 평균입도가 각각 5-6$\mu\textrm{m}$와 8-10$\mu\textrm{m}$에 해당하는 세립질 부유물과 조립질 부유물로 구분되며, 주로 쇄설성 성분이 우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전반적으로 태안반도 연근해역에서는 강 한 조류에 의해 해저 퇴적물의 재부유작용이 우세하며, 세립 퇴적물의 집적이 제한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경기만의 초입에 해당하는 북부역으로부터 공급되는 쇄설성 부유 퇴적물이 수온약층의 중층수역을 따라 남쪽 또는 남서쪽 방향으로 우 세하게 운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