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31초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간 융합 타당성 탐구 (Explor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Qualifications and the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 김영준;권량희;도명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82-91
    • /
    • 2021
  • 이 연구는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의 융합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문헌의 수집 및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현행 추진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제도의 한계와 반성을 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인평생교육 학적토대 및 정의체계 구축,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전문역량 경력개발경로 설계,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기반의 유관기관 재구조화,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자격 유형 고도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이란 종합 범주에서 자격의 가치와 기능이 아주 중요하다는 측면을 비롯하여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기반화 관점과 적용모델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시각장애인 유도로봇에서의 위치 설정 및 탐색에 대한 음성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 system about location set and search in the blind guidable robot)

  • 박승우;신동범;이응혁;홍승홍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25-128
    • /
    • 2002
  • One of ultimate purpose that performance to information society been going recently festinately intends is in human's welfare improvement. Also, research about assist for disabled person that belong on category that is disabled persons' cloth elevation estranged in the past according to disabled person population's increase and change of advanced human rights consciousness to ruins of industrial society and traffic civilization is afoot abuzz. Guidance robot of sight obstacle can speak as its part. This research is thing about voice system about location set and search in guidance robot that is embodying to make sight disabled person can visit schedule place smoothly.

  • PDF

장애인에서 노인으로: 장애와 노령의 접점에서 살펴본 장애인의 나이 들어감에 관한 연구 (On the Cross of Disability and Old Age)

  • 신유리;김정석;김경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143-167
    • /
    • 2016
  • 고령화시대의 진전과 함께 노령화, 노인, 노후 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장애인의 그것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형편이다. 장애인들 또한 불가역적인 노화는 필연적인 경험이 되며, 장애와 노화의 중첩에 따른 이중적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이십여 년 이상 장애를 갖고 삶을 이어온 사오십대의 장애인들을 통해 장애와 나이 들어감의 동시적 진행과 공존의 모습을, 그리고 죽음의 의미를 탐색하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면접이 실시되었으며 나이 듦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풍부하고 분명하게 묘사하고 전달할 수 있는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애인들의 노화는 대체로 이차장애를 수반하는 한편, 노화와 그에 수반되는 경험들이 장애의 그것을 압도하기도 하는 현상이 목격된다. 그러나 이들의 노령은 비장애인들과의 노령과는 그 접점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노인들내에서도 장애인으로서의 차별을 절감하게 된다. 장애인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본인 또한 노인이 된다고는 느끼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노인보다는 장애인으로의 장벽에 둘러싸여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는 나이 듦과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오늘을 유의미하게 살아내는 의지의 장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록 탐색적이나마, 비장애인들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나이 들어가는 삶의 경험을 해석하는 장애인들의 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s of Workers at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 Seo, Kyung-seok;Cho, Sung-Je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8-27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s of workers at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70 workers at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in Gyeongsangbuk-do (Sangjoo-si, Andong-si and Yecheon-gun) from the 7th of October to 11th of November, 2016. For the analysis, SPSS WIN 18.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at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vary significantly upon their work loads. Second, the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s of workers at the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the job performance of the workers varies significantly with their education levels, positions and monthly incomes. Third, the job performance of workers at the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was found to be hav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self-esteem (r=.363, p<.001) and self-efficacy (r=.275, p<.001),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267, p<.001). This paper is required to be used as a primary source for political development on the enhancement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at residential homes for the disabled.

주거복지를 위한 주택개조의 제도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ory Supporting System of Housing Adaptations in order to improve Housing Welfare)

  • 김상운;김용균;성기창;박광재;강병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9-31
    • /
    • 2012
  • Even 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recognition that "the disability comes from the ambient environment"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disabled population, the housing environment for disabled people has not improved, though, having the existing inconvenient housing situation as it was before. Accordingly, have studi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housing adaptation projects to find out their problems and limits. Also studied on foreign housing support systems find out the operation system and organization factors which can be utilized when the housing adaptation support system is introduced. A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systematic support such as operation system in housing adaptation but not handled on the physical solutions such as the standard and method of housing adaptation, it has some limits as far as the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is concerned.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전미영;이한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3
    • /
    • 2017
  •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선천적 장애보다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지속되어 후천적 장애로 인한 발생률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특히, 대학생은 생애주기별 발달에 따라 성인기 초기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대인관계와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대학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과 이념을 정립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입하기 바로 전 시기인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정적인 편견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긍정적인 태도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지역 13곳의 대학교를 방문하여 무작위로 설문을 조사하여 총 250명의 설문 중 235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시적이고 이벤트적인 교육이 아닌 올바른 정보 및 지식, 인권, 장애, 다양성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우리나라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현황과 전망 (A report on the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the disabled in Korea)

  • 고현정;박태준;김은경;조한진;최연희;송근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1호
    • /
    • pp.8-17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resent status of the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the disabled. Material and methods :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oral healthcare professionals in eight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among eight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the disabled during 2, July to 30, August 2017. Results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the disabled in area where the number of disabled person as percentage of whole region population is high. Also, all the centers appeared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including dentist, dental hygienist and anesthesiologist,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the demands of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It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to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the disabled. Conclusions :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untermeasure to make a new policy and activat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services in the public for the disabled.

  • PDF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시간관리행동과 시간관리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유경;양심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2호
    • /
    • pp.103-119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2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ttend pre-school and social welfare centers for early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nd whether these behaviors have an effect on their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ere lower than average, scoring 2.87 out of 5. The order of dimensional scor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sequencing, planning, recording habits, evaluating, and setting goals. 2)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for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3) Adaptation behaviors of the children and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mothers wer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조직문화 인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적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on Job Performance of Welfare Centers Workers for the Disabled: Testing of Mediation Effect of Intellectual Capital)

  • 오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05-215
    • /
    • 2012
  • 본 연구는 조직문화인식이 지적자본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지적자본이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문화가 직무성과에 부(-)의 관계가 있었다. 둘째, 개발문화, 집단문화가 지적자본에 정(+)의 관계가 있었다. 셋째, 지적자본이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 매개관계에 있어서 개발문화와 직무성과 관계는 부분매개 효과가, 집단문화와 직무성과 관계에 있어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문화 인식 속에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는 직무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지적자본을 활용한 다양한 방안들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Working Relationship Scale)

  • 권자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239-263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Working Relationship)'를 측정하는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진행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해 첫째, 문헌연구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3회의 포커스면접을 통해 실천관계척도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학과 교수 2인 및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인 실무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예비문항을 569명의 정신장애인 대상의 실증조사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무선 분할하여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요인 1은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실천과 관련된 '전문가 기여', 요인 2는 '부정적인 실천관계', 요인 3은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친밀감을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로 나타났다. 나머지 표본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33문항의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을 개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