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27초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y the Daily Time use Method-)

  • 김미옥;김고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317-342
    • /
    • 2010
  • 본 연구는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4시간을 관찰 기록하는 생활시간조사방법을 활용하여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그 안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생활시간연구방법 중에서는 시간수지연구방법 중 '활동의 빈도'와 생활시간 중 '생활'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분석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2004)를 기준으로 하여, 거주시설 일상생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상호작용 분석은 Flanders(1963)의 언어 상호작용분석모형을 기초로, 지적장애인과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 정도, 유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로 거주시설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있는 그대로 조명하여 그들의 일상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구축하고, 이용자와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점, 생활시간조사방법을 적용한 점 등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련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PDF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3-347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C도와 D시의 14개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인식의 조직헌신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의 가장 주요한 인력인 사회복지사들의 조직헌신을 높이는 차원에서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수교육의 강화, 채용절차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소명의식에 대한 점수부여, 사회복지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합리적인 시설운영 등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 등의 개입,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적합한 슈퍼비전과 직무교육의 제공, 시설장의 리더십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간병요양중인 산재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간병인에 대한 만족도 (Survey of ADL of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and the Caregiver Satisfaction Degree)

  • 최정명;오진주;김춘미;이현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ith a caregiver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ervices according to kinds of caregiver,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78 patients in three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s of H, A and D cities from July to August, 2006. Five inspectors interviewed with the disabled by visiting the hospita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s, t-test, etc.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ADL which ranged from 1 to 7 was 3.6. The 51.5 percent of caregivers for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ere non-professional and the 48.5 percent of caregivers were professional. 50.9 percent of the reason for the family caregivers was because of economical one. The caregiver satisfaction degree was 3.7 out of 4. The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professional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non-professional family caregivers for their excellent knowledge and techniques. Conclusion: A nursing expenses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as intended to provide appropriate nursing services for the patient and so, it should not be a kind of income. So, the system for caring services should be investigated and the qualification of caregiver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or ADL.

  • PDF

휠체어사용자용 화장실의 규격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 신동홍;박광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7-35
    • /
    • 2018
  • Purpose: The diverse users and the increase of power wheelchair users have made it difficult to apply the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for the existing law and BF-certification.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andards of the relevant laws have been improv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is study, problems with the standards for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in Korea are analyzed by compar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In addition, improvements to standards for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will be suggested. Method: It presents improvement for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by comparing national, international standard and standards of many countries. Korean standard, International Standard(ISO 21542), American Standard(ADA Standards), German Standard(DIN 18040-1), Austrian Standard($\ddot{O}NORM$ B 1600) and Swiss Standard(Norm SIA 500)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Korea's standards differ from the ISO and the Standards of other countries in many ways, so there is a need for realignment. Specifications for disabled toilets and clear criteria for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sanitary appliances in toilets that are practically available to wheelchair user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disabled toilet users, the installation of various disabled toilet rooms should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user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can walk and wheelchair users. Implication: Recent partial improvements to relevant laws cannot meet the requirements of various users. Therefore, comprehensive and clear standard should be presented that take into account changing society and the environment.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피난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in a Fire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 박선아;이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15-322
    • /
    • 2021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이용자들의 층별 배치에 따른 비상 통로를 이용한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 피난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피난 방법을 제시하고자 패스파인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상 통로별 RSET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RSET에 따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시설물 사용 인원 배치는 화재 시 기준 RSET을 만족시킴으로 피난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화재 시 가능하면 승강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계단을 통하여 피난해야 안전하게 피난을 완료할 수 있다. 직원들은 화재 시 장애인들을 대동하여 효과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인 관련 시설에서 설계·건축단계에서 운영까지 장애인들이 화재 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통로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피난훈련으로 RSET을 단축시킴으로써 안전하게 피난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둔다. 향후에는 시설물의 각 층 출입구에 자동방화문을 설치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화재 발생 시 자동방화문의 개폐 여부에 따른 RSET의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일부 재활전문가들의 방문재활에 대한 필요성 조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 이정한;김계엽;김은정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5호
    • /
    • pp.95-10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cessity of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7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ocial worker, nurse,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 speech-language therapist,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staff of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who were working at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65 days (2008. 09. 10~11. 14). The result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by the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Long-term care service was established in Korea by the Ministry of Health in July, 2008. But there are limits to their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for chronic patients and old people.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almost al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N=227) stated that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is necessary. Conclusion: In Korea, the long-term care service has a nursing service and a service supporting physic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ut not physical therapy. So, home visit rehabilitation services should include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ain management.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 :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 Efficacy)

  • 이병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87-29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전/충남의 장애인복지관 14개소의 종사자 356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AMO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부트스트랩 등의 분석을 실시했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의 이직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만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을 높이기 위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의 활성화, 처우수준의 개선, 기관 내부에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종사자들과 관계인들 사이에 긍정적이고 존중하는 신뢰관계의 구축, 슈퍼바이저의 역량강화와 역할, 셀프리더십의 함양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