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 class athle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Weight control practices, beliefs,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in college weight class athletes

  • Lee, Ji Seon;Cho, Seong Suk;Kim, Kyung 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1호
    • /
    • pp.45-54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weight control practices, beliefs,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of weight class athletes according to weight control level. SUBJECTS/METHODS: Subjects were weight class athletes from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Subjects (n = 182)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ssessing study variables by self-report, and data on 151 athlet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High vs. Normal Weight Loss (HWL, NWL) groups depending on weight control level.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COVA, x2-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RESULTS: Seventy-three percent of subjects were in the HW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control practices such as frequency (P < 0.01), duration and magnitude of weight loss, methods, and satisfaction with weight control (P < 0.00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self-efficacy (OR: 0.846, 95% CI: 0.730, 0.980), eating behaviors during training period (OR: 1.285, 95% CI: 1.112, 1.485), and eating behaviors during the weight control period (OR: 0.731, 95% CI: 0.620, 0.863) were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level. Compared to NWL athletes, HWL athletes agreed more strongly on the disadvantages of rapid weight loss (P < 0.05 - P < 0.01), perceived less confidence in controlling overeating after matches (P < 0.001), and making weight within their weight class (P < 0.05). HWL athletes showed more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s than NWL athletes, especially during the weight control period (P < 0.05 - P < 0.001). CONCLUSIONS: Self-efficacy was lower and eating behaviors during pre-competition period were more inadequate in HWL athletes.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help athletes apply appropriate methods for weight control, increase self-efficacy, and adopt desirable eating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exercise burnout of amateur boxers

  • OH, Chae Yun;HUR, Seung Eun;SONG, Youn Sang;MOON, Hwang Woon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5권3호
    • /
    • pp.7-1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ectionism tendency of amateur boxers and exercise exhaustion, to understand the perfectionism tendency of boxers in the sports of speculative sports, and to provide startigic insights for reducing exercise exhaus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adult box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Boxing Association of the Korea Sports Council in 2019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opulation. 280 box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responded the survey items, which were constructed by research variables, perfectionism and burnout.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8.0 for statistics. In details, frequency, correla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ateur boxers' perfectionism and athletic exhaus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mong amateur boxers' perfectionist tendencies was high,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burnout.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pressure of amateur boxers to win and the pressure to pass through the weight class, which is characteristic of weight control events, if the athlete manages himself well, the athlete's exercise exhaustion will decrease. If professional mental training is combined, it is judged that amateur boxing will be able to develop once again.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대회 경기 중의 손상 - 2011 경주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분석 - (Injuries of the Elite Taekwondo Players in the International Tournament Performance - Analysis of the 2011 Gyeongju World Taekwondo Championship -)

  • 김종필;정필현;강석;김영성;이호민;최영화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6-93
    • /
    • 2011
  • 목적: 가장 뛰어난 수행 능력을 가진 국가대표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경기 중의 손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 경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146개국 국가대표 950명이 전체 1,063 경기 중에 손상을 받은 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별, 체급별 경기 손상률과 손상 부위별 손상 발생률과 손상 유형, 그리고 손상 양상에 따른 손상 부위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950명, 전체 1,063 경기에서 52명이 손상을 입어 5.47%가 경기 손상을 받았고, 1,000 경기 노출당(per 1,000 athlete-exposures, /1,000 A-E) 손상률은 24.46/1,000 A-E이었다. 여자의 손상률이 남자보다 높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12). 연령별로는 30세 이상에서 손상률이 참가자 100명당 17.39%로 가장 높았으며, 체급별로는 남자에서 87kg 이상에서 손상률이 9.23%로 가장 높았고, 여자에서 67~73kg 체급의 손상률이 18.18%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838). 손상 부위는 전체적으로는 하지의 손상률이 13.17/1,000 A-E로 상지나 두경부, 체간 부위보다 높았지만, 손상 부위별로는 수부 손상의 손상률이 5.17/1,000 A-E로 가장 높았고 슬관절 부위가 4.70/1,000 A-E로 다음이었다(p=0.714). 손상 유형으로는 관절 염좌의 손상률이 10.81/1,000 A-E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순위로 남자에서는 골절의 손상률이 5.40/1,000 A-E로 높았으나 여자에서는 좌상이 9.63/1,000 A-E로 높았다(p=0.033). 중증 손상인 골절은 8예 중 4예에서 수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2011 경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경기 중 손상률은 5.47%, 24.46/1,000 A-E였다. 전체적으로는 슬관절과 족관절의 염좌가 가장 많은 손상을 차지하였지만 중증 손상인 골절은 수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 PDF

세계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선제득점에 따른 경기 내용별 득점 난이도 분석 (Analysis of Scoring Difficulty in Different Match Situations in Relation to First Athlete to Score in World Taekwondo Athletes)

  • 진미나;윤정현;이창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21-29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세계태권도 남자부 선수들 선제득점에 따른 경기내용별 득점 난이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설계 하였다. 구체적으로 2022 과달라하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경기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체급은 경량급과 중량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경기내용 변인은 선제득점 여부, 공격형태, 공격부위, 경기상황 4개 변인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Rasch 모형 그리고 차별기능문항을 적용하였다. 이때 통계프로그램은 SPSS 와 Winstep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경량급에서는 선제득점에 따른 득점빈도가 모든 경기변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중량급에서는 선제득점에 따른 득점빈도에서 공격유형과 공격부위에서 득점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경기상황에서는 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제 미 득점한 경우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제득점 여부에 따른 경기내용별 득점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공격유형에서는 선제득점을 수행한 선수이면서, 선제공격 득점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부위에서는 선제득점을 수행한 선수이며, 몸통, 경기상황에서는 선제득점 하지 못한 선수이면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득점 난이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급의 경우 공격유형에서는 선제득점을 수행한 선수이면서, 역습공격, 공격부위는 선제득점을 수행한 선수이며, 몸통, 경기상황에서는 선제득점 수행한 선수이면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득점 난이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