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b Response Tim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5초

Dynamic HTML 변경을 통한 Web Application Server 시스템에서의 Client Response Time 수집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ient Response Time Collection Method by changing the Dynamic HTML in the Web Application Server System)

  • 정동기;민성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305-307
    • /
    • 2012
  • World Wide Web (WWW)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Web Service의 Response Time을 수집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Client Response Time을 수집하는 방식은 sniffer[1] 를 이용한 Agent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은 클라이언트 PC에 설치되어 수집하게 되므로 Agent의 설치가 쉽지 않고, 관리 또한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Web Application Server (WAS)[2] 에서의 Dynamic HTML 변경을 통해 Client에 추가적인 Application을 설치하지 않고도 Client의 Response Time을 Collection하는 방식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End-User)에게 추가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Dynamic HTML 을 이용하여 Client Response Time을 수집함과 동시에 Server에 Feedback할 수 있다.

Automatic Alignment System for Group Schedule of Event-based Real-time Response Web Processing using Node.js

  • Kim, Hee-Wan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33
    • /
    • 2018
  • A web application running on the Internet is causing many difficulties for a program developer, and it requires to process multiple sessions at the same time due to the occurrence of excessive traffic. Web applications should be able to process concurrent requests efficiently and in real time. Node.js is a single-threaded server-side JavaScript environment implemented in C and C ++ as one of the latest frameworks to implement event models across the entire stack. Nodes implement JavaScript quickly and robust to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using a JavaScript V8 engine developed by Google. In this paper, it will be explained the operation principle of Node.js, which is a lightweight real-time web server that can be implemented in JavaScript for real-time responsive web applications. In addition, this application was practically implemented through automatic alignment system for group scheduling to demonstrate event-based real-time response web processing.

부하분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반응시간을 감소시키는 웹 클러스터 시스템 구축 (System Infrastructure of Efficient Web Cluster System to Decrease the Response Time using the Load Distribution Algorithm)

  • 김석찬;이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6호
    • /
    • pp.507-5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 클러스터 시스템의 효율적인 자원사용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시스템 자원, 즉 메모리 사용을 균형적으로 하는 엘 클러스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다양한 클러스터링 모델에서 반응시간을 성능 측정의 지수로 제시하였다. 또한 웹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시사용자수를 기반으로 반응시간은 사용자 수론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는 기존의 상용화된 알고리즘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제안된 부하분산 알고리즘은 동시 사용자 수가 많은 시스템의 경우,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기종으로 구성된 웹 서버 시스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웹 클러스터 구성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Simulation Analysis for Configuring Web Clusters)

  • 강성열;송영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25
    • /
    • 2008
  • High-volume web sites often use clusters of servers with load balancing as a way to increase the performanc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sites. Load balancing, usually performed by load balancer in front of such clusters, is a technique to spread workload between several computers or resources, in order to get optimal resource utilization or response tim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erformance for several configurations of cluster-based web servers using a simulation approach. We investigate two types of buffering scheme (common and local) for web clusters and three load balancing policies (uniformly random, round robin, and least queue first), using response time as a performance measure. We also examine two basic approaches of scaling web clusters: adding more servers of same type or upgrading the capacity of the servers in the clusters.

  • PDF

Response Time Prediction of IoT Service Based on Time Similarity

  • Yang, Huaizhou;Zhang, Li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1권3호
    • /
    • pp.100-108
    • /
    • 2017
  • In the field of Internet of Things (IoT), smarter embedded devices offer functions via web services. The Quality-of-Service (QoS) prediction is a key measure that guarantees successful IoT service applications. In this study, a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is presented for predicting response time of IoT service due to time-awareness characteristics of IoT. First, a calculation method of service response time similarity between different users is proposed. Then,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initial similarity values are adjusted and similar neighbors are selected by a similarity threshold. Finally, via a densified user-item matrix, service response time is predicted by collaborative filtering for current active users. The presented method is validated by experiments on a real web service QoS datase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better prediction accuracy can be achieved with the presented method.

압축 기능을 가진 웹캐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cache System with Compression Capability)

  • 박진원;김명균;홍윤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1호
    • /
    • pp.29-36
    • /
    • 2004
  •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엘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면서 웹서버의 부하를 줄이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게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웹캐시 시스템은 사용자와 웹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웹서버의 부하를 줄여주고 사용자의 서비스 응답시간을 줄여주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가 공개되어 있는 스퀴드 웹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기능을 가진 웹캐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압축기능을 가진 웹캐시 시스템은 웹캐시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론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여주고 사용자의 웹서비스 응답시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리버스 캐시 시스템의 경우에는 종단간 병목구간인 인터넷 추간의 트래픽 양을 줄여주므로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난다. 성능측정 결과 원래 웹 객체의 크기에 따라 압축율은 달라지지만 2배에서 크게는 8배 정도까지의 데이터 전송량이 줄었으며 사용자의 응답시간은 평균 37% 정도의 속도 향상이 있었으며 원래 데이터의 크기가 10Kbyte 이상인 경우에서는 평균 속도 향상율이 87% 정도로 향상 정도가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답시간기반 웹 서비스 가용성 측정방안 (Response Time-based Web Service Availability Measurement Method)

  • 박상근;최덕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1호
    • /
    • pp.61-70
    • /
    • 2003
  • I-Business의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들은 사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최선의 방법으로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제공해야 하며, SLA에 포함되어야할 기술적 파라미터로 서비스 가용성을 최우선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웹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웹 서비스 가용성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말해준다. 응용서비스 가용성은 사용자의 기대 성능을 유지하면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비율로 정의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웹 서비스 가용성을 측정하는 도구는 단순하게 웹 서비스의 중단 여부만을 판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대 성능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시간에 기반한 웹 서비스의 성능저하의 경우를 고려하여 가용성을 측정하고, 불가용을 초래하는 요소가 무엇이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로 측정도구 WebSerAvail를 개발하였다.

분산 웹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부하 균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Load Balancing Mechanism in Distributed Web Cluster System)

  • 이복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1-18
    • /
    • 2011
  • 웹 사용자의 급증은 과중한 전송량과 시스템의 부하문제를 야기 시켰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클러스터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 웹 클러스터 시스템에서는 웹 서버 간 부하가 균등하더라도 멀티미디어나CGI 등으로 요청 데이터 크기가 크면 특정 웹 서버의 부하와 응답 시간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클러스터 시스템의 효율적인 자원사용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메모리 사용을 균형적으로 하는 웹 클러스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검토하고 다양한 클러스터링 모델에서 반응시간을 성능 측정의 지수로 제시하였다. 또한 웹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시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반응시간은 사용자 수를 증가시키면서 실험하였으며, 성능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보다 제안한 기법이 처리율과 응답시간에서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혼잡 망에서의 큐 제어 방식과 전송지연시간에 대한 웹 반응 시간 분석 (Analysis of Web Response Time on Queue Managements and Transmission Latency in Congested Network)

  • 석우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4호
    • /
    • pp.321-32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혼잡 망에서의 큐 제어 방식과 전송 지연 시간에 대한 웹 반응 시간을 분석하였다. FIFO 방식에서는, 웹 반응 시간이 큐 크기에 대해서 거의 일정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트래픽 부하가 높아질수록 웹 반응 시간은 길어졌다. 80%의 트래픽 부하보다, 90%와 98%의 트래픽 부하일 경우에, 큐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웹 반응 시간이 더 뚜렷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전송 지연 시간이 짧을 경우, 웹 반응 시간의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RED 방식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큐 크기일 경우, 3가지 서로 다른 설정의 RED 방식이 웹 반응 시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큐 크기가 작아졌을 경우, 짧은 전송 지연에 대하여 각 RED 방식의 웹 반응 시간이 서로 뚜렷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FIFO와 RED의 비교에서, 긴 전송 지연 시간일 경우, RED 방식이 FIFO보다 작은 웹 반응 시간을 보여주었다.

웹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한 전자상거래 아키텍쳐 평가 (E-commerce Architecture Evaluation Through Web Stress Test)

  • 이영환;박종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277-288
    • /
    • 2001
  •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success of any e-commerce site are the two factors: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quick response time. A three-tier architecture composed of presentation layer, business layer, and data access layer emerges to allow rapid changes in user interface, business logic, and database structures. Too often, such a logical three-tier architecture is considered as requiring a three-tier physical architecture: Web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database server running on separate computers.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a Web stress test reveals that the three-tier logical architecture implemented on a two-tier physical platform guarantees a quicker response time due to the reduction in cross-machine communications. This would lead business firms to economize their spending on e-commerce: increasing the number of physical servers to expedite transaction is not necessarily the best solution. Before selecting a particular hardware configuration, a Web stress test needs to be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ve merits of alternative physical architectures. Together with capacity planning, Web stress test emerges as a powerful tool to build robust, yet economical e-commerce si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