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 Service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5초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Structural Model for Users's Accepting Smart Health Care Services by Moderating the User Types)

  • 최영남;김근형;오성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41-55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첫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Smart Health Care Services)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고, 둘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이 의료인과 비의료인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로는 개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촉진조건, 보안성을 적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종속변수로는 수용의도, 조절변수로는 사용자유형(의료인 vs. 비의료인)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사용자들의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과 비의료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촉진조건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경우 그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용이성과 유용성은 각각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고 유용성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Innovative Geostationary Communication and Remote Sensing Mutli-purpose Satellite Program in Korea-COMS Program

  • 백명진;박재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9-35
    • /
    • 2007
  • 통신해양기상위성은 다목적 정지궤도위성으로서 Ka대역 통신탑재체, 기상센서 및 해양센서를 하나의 위성플랫폼에 탑재한 복합위성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부의 자금으로 개발되는 첫번째 혁신적인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위성플랫폼은 아스트리움의 EUROSTAR 3000 통신위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세 개의 다른 탑재체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화성탐사선 Express를 일부 활용하였다. 세개의 탑재체 중 통신탑재체는 스위칭 다중빔 기술을 검증하고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를 시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상센서임무는 고해상도 멀티분광 센서로 지속적으로 한반도 기상데이타를 산출하는데 있으며,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센서는 한반도의 어류자원정보 및 장단기 해양정보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신임무와 원격탐사임무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위성체의 요구사항은 매우 복잡하여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 및 조립/시험의 난이도는 매 우 높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차광막를 이용한 하절기 콘크리트포장의 초기온도 관리 방안연구 (A Study for Controlling Early-age Temperature Rise of the Concrete Pavement by Shadow Tent in Hot Weather Construction)

  • 조영오;김형배;서영찬;안성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75-89
    • /
    • 2004
  • 콘크리트 포장의 장기 공용성은 시공조건과 환경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즉 초기에 무작위 균열이나 균열틈이 많이 벌어진 경우 포장수명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시공당시의 온도와 습도, 시멘트와 골재의 종류, 양생조건들은 콘크리트포장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대기온도와 수화열의 증가에 의한 높은 온도차이는 심각한 초기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광막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를 제어하여 초기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낯추고 슬래브질이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curling stress를 줄일 수 있었고, 강도에 있어서는 차광막 설치 구간이 일반시공구간보다 장기강도를 크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포장의 포설 후 72시간의 강도 및 응력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인 HIPERPAV를 사용하여 초기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비교해본 결과 차광막을 설치한 구간이 본 시험시공의 예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reliability)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은 구간(일반시공구간) 72.5%. 차광막설치 구간 95%로 나타나 차광막설치 구간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은 구간보다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도로 접근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통합청주시 농촌지역의 교통 취약성 분석 (Traffic Vulnerability Analysis of Rural Area using Road Accessibility and Functionality in Cheongju City)

  • 전정배;오현교;박진선;윤성수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11-21
    • /
    • 2015
  • This study carried out evaluation of vulnerability in accessability and functionality using road network that was extracted from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ITS) and digital map. It was built in order to figure out accessability that locational data which include community center, public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and highway IC. The method for grasping functionality are Digital Elevation Model(DEM) and land slide hazard map provided by Korea Forest Servic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figure out accessability was set to related comparison of average time in urban area. Functionality value was calculated by the possibility of backing the vehicle possibility of snowfall and landslides. At last, this research computed weighting value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calculated a vulnerable score. As the result, the accessability of rural village came out that would spend more time by 1.4 to 3.2 times in comparison with urban area. Even though, vulnerability of the road by a snowfall was estimated that more than 50% satisfies the first class, however, it show up that the road were still vulnerable due snowing because over the 14% of the road being evaluated the fifth class. The functionality has been satisfied most of the road, however, It was vulnerable around Lake Daechung and Piban-ryung, Yumti-jae, Suriti-jae where on the way Boeun. Also, the fifth class road are about 35 km away from the city hall on distance, take an hour to an hour and a half. The fourth class road are about 25 km away from the city hall on distance, take 25 min to an hour. The other class of the road take in 30 min from the city hall or aren't affected of weather and have been analyzed that a density of road is high. In A result that compare between distribution and a housing density came out different the southern and the eastern area, so this result could be suggested quantitative data for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vestigation of Vertical Profil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Ozone Concentration in the Mexico City Metropolitan Area

  • Benitez-Garcia, Sandy E.;Kanda, Isao;Okazaki, Yukiyo;Wakamatsu, Shinji;Basaldud, Roberto;Horikoshi, Nobuji;Ortinez, Jose A.;Ramos-Benitez, Victor R.;Cardenas, Beatriz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2호
    • /
    • pp.114-127
    • /
    • 2015
  • In the Mexico City Metropolitan Area (MCMA), ozone ($O_3$) concentration is still higher than in other urban areas in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reveal the current state of photochemical air pollution and to provide data for validation of chemical transport models, vertical profil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ozo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ozonesonde in two field campaigns: the first one, during the change of season from wet to dry-cold (November 2011) and the second during the dry-warm season (March 2012). Unlike previous similar field campaigns, ozonesonde was launched twice daily. The observation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ozone in the convective boundary layer. The observation days covered a wide range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various profiles were obtained. The evolution of the mixing layer (ML) height was analyzed, revealing that ML evolution was faster during daytime in March 2012 than in November 2011. On a day in November 2011, the early-morning strong wind and the resulting vertical mixing was observed to have brought the high-ozone-concentration air-mass to the ground and caused relatively high surface ozone concentration in the morning. The amount of produced ozone in the MCMA was estimated by t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files on each day.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ozone production, effect of the ML height and wind stagnation was identified for a day in March 2012 when the maximum ground-level ozone concentration was observed during the two field campaigns. The relatively low ventilation coefficient in the morning and the relatively high value in the afternoon on this day implied efficient accumulation of the $O_3$ precursors and rapid production of $O_3$ in the ML.

자연발생석면지역의 토양 내 석면함유율에 따른 비산석면 농도평가 - 활동근거시료채취방법(ABS)과 실시간 섬유 측정 장치(F-1 fiber monitor) 결과 비교 - (Comparison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from Soils in Naturally Occurring Asbestos(NOA) Areas - Activity Based Sampling(ABS) vs. Real-time Asbestos Fiber Monitor(F-1 fiber monitor) -)

  • 장광명;박경훈;최성원;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5-256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performing real-time measurement of fibrous materials using an F-1 fiber monitor,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me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the use of the monitor in actual exposure assessments based on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Methods: Asbestos specimens with a fixed asbestos content were dispersed in a chamber and collected with a particle measuring test device. Measurements obtained by the existing PCM method, and with the F-1 fiber monitor were compared. In addition, concentrations of asbestos fibers obtained by the PCM method, the TEM method, and the F-1 fiber monitor were compared with that of specific ABS scenarios in NOA regions. Correlations of asbestos contents in soil and weather conditions with each method of measurement were analyzed. Results: Laboratory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asbestos fibers measured with each method increased as fiber contents in soil increased. In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assess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different methods of measurement. On-site assessment resul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methods, and these correlations were less significant compared with what was shown by the laboratory results. Levels of asbestos fibers increased as asbestos contents in soil increased, and as temperature increased. Levels of asbestos fibers decreased as humidity increased, and wind spee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nt to which asbestos fibers were scattered. Conclusions: While it would be premature to replace existing methods with the use of F-1 fiber monitors in real si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nitor may be useful in the screening of the sites, which assesses hazard levels in different regions. Replacement of existing methods with the use of F-1 fiber monitors may be possible after the limita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overcome, and additional assessment data are obtained and review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monitor in future research. Obtained assessment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ssessment of asbestos hazard in NOA regions.

한강유역의 가뭄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ought Trend in Han River Basin)

  • 김형수;문장원;김재형;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37-44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의 수문 시계열자료에 절단 수준법과 조건부 확률개념을 적용한 가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크리깅기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조건부 확률의 유역 내 분포 경향을 알아보았다. 수문시계열자료는 일 하천 유량, 월 강수량, 일 최고기온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기간은 일 하천 유량의 경우 86년부터 97년까지 총 12년 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월 강수량과 일 최고기온의 경우에는 86년부터 99년까지 총 14년 간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하천 유량과 월 강수량의 경우, 절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절단 수준에 상응하는 가뭄 표준치들은 감소하며, 일 최고기온과 같은 시계열의 경우는 절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절단 수준의 가뭄 표준치들도 함께 증가하였다. 산정된 조건부 확률은 지점과 수문학적 인자, 즉, 시계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역 전체에 대한 대체적인 분포경향은 수문학적 인자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강유역에서는 가뭄이 발생하여 강도가 심해질 가능성이 유역의 중하류 지역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유역에서 가뭄에 대비한 대책 수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단청목재의 방염 및 내후특성 (Flame Retardant and Weather Proof Characteristic of Dan-Chung Treated Wooden by Flame Retardant Performance)

  • 박철우;홍상완;이종균;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0
    • /
    • 2013
  • 최근 목조문화재를 화재로부터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방호대상물인 목재 표면에 직접 적용하는 방염 처리가 있으며, 이는 화재를 사전에 차단하지 못했을 경우 재료에 대한 불꽃의 저항능력을 확보하여 연소를 지연시킴으로서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소방기본법의 목적과 그 뜻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방염제를 목조문화재의 단청면에 분사하여 사용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청의 퇴색, 백화현상, 수분흡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화재 손실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목조문화재를 방염처리 할 경우 현장 시공 시 시간 경과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어야 하며, 지속가능한 방염효과 기술의 확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최근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염제 종류에 따른 목재의 방염성능의 평가분석을 통하여 방염제를 단청표면에 분사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으며, 방염효과가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정밀분석으로 방염처리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여 목조문화재에 적합한 방염처리방법 선정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습도 및 온도와 실화 발생 간의 관계분석 (An Relational Analysis between Humidity, Temperature and Fire Occurrence using Public Data)

  • 송동우;김기성;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82-90
    • /
    • 2014
  • 최근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위한 정부 3.0 운영 패러다임에 따라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습도 및 온도와 화재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습도 및 온도와 화재 발생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습도 및 온도범위대비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의 개념을 분석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습도 및 온도에 따른 화재 발생 빈도의 경향을 파악해 보았으며, 세부속성에 대한 특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 습도범위를 나누어 시간당 화재발생 빈도를 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습도가 낮을수록 빈도가 높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온도범위에 따른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도 지역별로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재유형, 발화열원, 최초 착화물, 발화요인 등 대상속성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특징적인 경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화재통계현황에서 범주별로 빈도 제시할 때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기상서비스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On the Study of Developement for Urban Meteorological Service Technology)

  • 최영진;김창모;류찬수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9-157
    • /
    • 2011
  • Urbanization of the world's population has given rise to more than 450 cities around the world with populations in excess of 1 million (megacity) and more than 25 so-called metacities with populations over 10 million (Brinkhoff, 2010). The United States today has a total resident population of more than 308,500,000 people, with 81 percent residing in cities and suburbs as of mid - 2005 (UN, 2008). Urban meteorology is the study of the physics, dynamics, and chemistry of the interactions of Earth's atmosphere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and the provision of meteorological services to the populations and institutions of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details of such services are dependent on the location and the synoptic climatology of each city, there are common themes, such as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responding to emergencies. Experience elsewhere (e.g., Shanghai, Helsinki, Tokyo, Seoul, etc.) shows urban meteorological support is a key part of an integrated or multi-hazard warning system that considers the full range of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provides a unified response from municipal leaders. Urban meteorology has come to require much more than observing and forecasting the weather of our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Forecast improvement as a function of more and better observations of various kinds and as a function of model resolution, larger ensembles, predicted probability distributions; Responses of emergency managers, government officials, and users to improved and probabilistic forecasts; Benefits of improved forecasts in reduction of loss of life, property damage, and other adverse effects. A national initiative to enhance urban meteorological services is a high-priority need for a wide variety of stakeholders, including the general, commerce and industry, and all levels of government. Some of the activities of such an initiative include: conducting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prototyping and other activities to enable very--short and short range predictions; supporting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commercial and industrial sectors; and urban planning for long term sustainability. In addition urban test-beds are an effective means for developing, testing, and fostering the necessary basic and applied meteorological and socioeconomic research, and transitioning research findings to operations. An extended, multi-year period of continuous effort, punctuated with intensive observing and forecasting periods, is envisio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