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rable A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건설 현장에서의 공정 정보 활용도 제고 방안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Efficient Access to Schedule Information on Construction Sites)

  • 이용주;김진영;;박만우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60-69
    • /
    • 2020
  • Allowing on-site workers to access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enable task control, data integration, material and resource control. However, in the current practi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existing methods and scope is quite limited, leading to inefficient management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is research, by adopting cutting edge technologies such as Augmented Reality(AR), digital twins, deep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with wearable AR devices, the authors proposed an AR visualization framework made of virtual components to help on-site worker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with ease of use.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wearable AR devices and object detection algorithms, which are critical factors in the proposed framework, to test their suitability.

반 깜박임 선택을 이용한 응시 상호작용과 착용형 AR 시스템 (Gaze Interaction Using Half Blink Selection and The Wearable AR System)

  • 박형민;이재영;이석한;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5호
    • /
    • pp.91-10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반 깜박임 선택 기법을 이용한 응시 상호작용(Gaze interaction)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착용형 증강현실 시스템(Wearable Augmented Reality system)이 제안 된다. 응시 상호작용은 가장 쉽고 자연스러우며 빠른 방법이며, 광투과 HMD 기반의 착용형 AR 시스템에 매우 적합한 기법이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응시 좌표와 반 깜박임(Half blink)을 이식하여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객체의 정보를 HMD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마이더스 터치 문제(Midas touch problem)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상호작용법을 AR 주석(Annotation) 시스템에 적용, 구현하여 사용성을 평가하였고,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폰을 사용한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에서의 왜곡 보정과 시야각 조정 (Distortion Calibration and FOV Adjustment in Video See-through AR using Mobile Phones)

  • ;황재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에서 왜곡 보정과 시야각 조정을 다룬다. 삼성 기어 VR이나 구글의 카드보드와 같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는 일반적으로 렌즈로 인해서 영상이 왜곡되어 렌더링이 된다. 특히나 스마트폰을 사용한 증강현실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HMD의 렌즈로 인해서 발생하는 왜곡이 합해져서 보다 복잡한 형태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왜곡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인지나 인식 기능에 부조화를 야기하게 된다. 유리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궁극적인 형태의 HMD라고 생각하면 최대한 이런 왜곡을 없애서 투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 방식에서 왜곡을 보정하고 시야각을 조정하여 투명에 가까운 효과를 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왜곡 보정 및 시야각 조정 모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였다.

착용형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 연구: AR 돌탑 콘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Wearable Augmented Reality-Based Experiential Content: Focusing on AR Stone Tower Content)

  • 최인영;정희용;신춘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4호
    • /
    • pp.114-123
    • /
    • 2024
  • 본 논문은 착용형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반 체험형 콘텐츠인 AR 돌탑 콘텐츠를 제안한다.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증강현실이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수용은 산업현장 등 특수한 목적으로의 응용이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현황이다. 반면 제안한 AR 돌탑 콘텐츠는 일반 사용자들이 공감하고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돌탑' 소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동 환경에서 공간을 활용하고 자연스러운 손 제스처를 바탕으로 돌을 찾고 쌓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안한 AR 돌탑 콘텐츠는 HoloLens 2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소규모 미술관에서 파일럿 전시를 통해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3.85로 나타났으며, 돌탑 소재에 대한 콘텐츠 적절성은 4.1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그중에서도 콘텐츠 이해도와 사운드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객체인지와 신체 적응도 및 객체 컨트롤에서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위와 같은 사용자 평가를 통해 소재에 대한 공감대와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고, 착용형 AR 환경에서의 체험과 상호작용에서의 일반 사용자의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웨어러블 AR 기기를 이용한 객체인식 기반의 건설 현장 정보 시각화 구현 (Augmented Reality Framework to Visualize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Resources Based on Object Detection)

  • ;;이용주;박만우;송은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5-54
    • /
    • 2021
  • The augmented reality (AR) has recently became an attractive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n play a critical role in realizing smart construction concepts. The AR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construction workers access digitalized information about design and construction more flexibly and efficiently. Though several AR applications have been introduced for on-site made to enhance on-site and off-site tasks, few are utilized in actual construction fields. This paper proposes a new AR framework that provides on-site managers with an opportunity to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resources such as workers and equipment. The framework records videos with the camera installed on a wearable AR device and streams the video in a server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processors, which runs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on the streamed video in real time. The detection results are sent back to the AR device so that menu buttons are visualized on the detected objects in the user's view. A user is allowed to access the information about a worker or equipment appeared in one's view, by touching the menu button visualized on the resource. This paper details implementing parts of the framework, which requires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AR device and the server. It also discusses thoroughly about accompanied issues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치과의료관리 영역에서 증강현실의 프로토타입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prototype in dental practice management)

  • 박선규;이종기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4-29
    • /
    • 2020
  •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AR) in dentistry is an emerging research field of image-guided surgery and dental education. In addition, the digital approach to incorporating AR in dental practice management is considered to be feasible. A prototype is developed to apply AR to dental daily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help dentists to access electronic dental records. This prototype delivers patients' information and related clinical data to dental clinicians directly without the need to search for the appropriate patients. Wearable AR devices are considered to be a convenient tool for practicing dentists because dental practitioners are not always able to use a computer during active clinical sessions, such as implant placement, root canal treatment, and patient-doctor communication. The use of AR to visualize passive transferred patient data would be valuable for practicing dentists.

VR/AR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술동향 (Trends of VR/AR Wearable Display Technology)

  • 양웅연;김기홍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4호
    • /
    • pp.13-22
    • /
    • 2016
  • 다수의 미디어와 기술 시장 보고서가 2016년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이 대중화되는 원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착용형 디스플레이는 컴퓨터로 시뮬레이션되는 가상의 콘텐츠 세계와 현실의 사용자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VR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성을 제시하는 데에 필요한 기술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서 다양한 소비자 제품들의 시장 출시가 진행 중이고, 주요 업체들은 킬러 콘텐츠 발굴과 함께 새로운 산업 생태계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선도적인 연구그룹들은 차세대 가상/증강현실(VR/AR) 인터페이스의 구현 목표를 가볍고 휴대성이 우수한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두고 있으며, 모니터 및 키보드와 마우스를 벗어난 다양한 입출력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VR 시장의 중심이 되고있는 완전몰입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AR 시장으로의 확대에 기반이되는 안경형 디스플레이(Eye Glasses-type Display: EGD) 기술의 연구개발 동향을 정리한다.

  • PDF

A Study on Fashion Items to Prevent COVID-19 Using Wearable Technology

  • Park, Hye-Sook;Moon, Phil-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277-282
    • /
    • 2021
  •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s rapidly spread non-face-to-face services, accelerating the speed of non-face-to-face digital conversion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telemedicine, a remote service, has been rekindled in the wearable technology including the medical industry.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easy for any company to overcome the COVID-19 pandemic, it is a time when collaboration within the industry or between competitors i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digital-based online exhibition hall using AR-VR-MR technology, which is a major core technology of the future industry, virtual stores that can receive services such as actual shopping should be actively used. Paradoxically COVID-19 will provide new opportunities to reshape and reconnect the future of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wearable technology products being developed as fashion items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High Precision Electromagnetic Momentum Positioning with Current Loop

  • ZHANG, Chao;ZHAO, Yufei;WU, Ho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2권1호
    • /
    • pp.150-154
    • /
    • 2017
  • A novel high precision spatial positioning method utilizing the electromagnetic momentum, i.e., Electromagnetic Momentum Positioning (EMP), is proposed in this paper. By measuring the momentum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small current loop,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ensor and the current loop is calculated. This metho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close-range and high-precision positioning, e.g., data gloves and medical devices in personal healthcare, etc.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MP method can give a high accuracy with the positioning error less than 1 mm, which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magnetic positioning devices with the error greater than 1 cm. This method lays the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data gloves to meet the accurate positioning requirement, such as the high precision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personal wearable devices network.

컨테이너 터미널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for Container Terminals)

  • 최훈도;유장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57-563
    • /
    • 2020
  • 디지털 트윈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물류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기술 도입은 제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에 디지털 트윈 기술 우선 적용 분야를 도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 분석을 통해 컨테이너 터미널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분야 세부 요소의 도입 시급성을 분석한 결과 ATC, 지능형 CCTV, 컨테이너 야드가 최우선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 도입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VR/AR 장비, AYT, 스마트 컨테이너, 컨테이너 자동 순환 시설, 냉동·냉장 컨테이너 야드, 항만용 Wearable 디바이스, 스마트 부표의 순이며, AQC, Berth, AGV, ASC, Apron, 자동 계류기기는 점진적으로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OSS 장비, 인터모달 연계시설, 지능형 드론, 위험물 장치장은 상대적으로 도입 순위에서 후순위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