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treatment plant (WTP)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폐수에서 이온불균형문제가 생태독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Influenced by Ion Imbalance in Wastewater)

  • 신기식;김종민;이수형;이정서;이택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3
    • /
    • 2018
  •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oxicity testing with Daphnia magna and Vibrio fischeri on wastewater samples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ion imbalance. The effluents from factories were found to be more toxic with high salinity levels than those from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TP) and sewage treatment plant (SWP). Clion composition was highest in the effluent, in terms of percentage, which was followed by $Na^+$, $SO_4^{2-}$ and $Ca^{2+}$. $K^+$ and $Mg^{2+}$ ion was relatively low. The sensitivity of D. magna test results was higher than V. fischeri. Among samples which were proved by V. fischeri testing to be nontoxic,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ion whether toxic samples or nontoxic samples which were decided by D. magna toxicity testing, were compared. $Na^+$, $K^+$, $Ca^{2+}$, $Mg^{2+}$ ion composition ratio showed high level in nontoxic samples whereas $SO_4^{2-}$ and $Cl^-$ ion composition ratio was high in toxic samples. Accordingly, $SO_4^{2-}$ and $Cl^-$ ion seemed to be considered the ions causing toxicity in effluent. Toxicity from some categories of industries (Mining of non-metallic minerals, Manufacture of basic organic petrochemicals, Manufacture of other basic organic chemicals, Manufacture of other chemical products etc.) seemed to be influenced by salinity. The Ion concentration in influent and effluent were similar. Concentration of $Na^+$, $Cl^-$, $K^+$, $Ca^{2+}$ ions were high in influent, however $Mg^{2+}$ and $SO_4^{2-}$ ions were high in effluent.

CFD를 이용한 병열 배열형 상향류식 침전지 수리해석에 관한 연구(I) - 침전지 내 유입유량 불균등 영향 조사 - (Evaluation of Hydraulic Behavior within Parallel arranged Upflow Sedimentation Basin Using CFD Simulation (I) - The influence of feed water inequity-)

  • 박노석;김성수;최종웅;성열붕;강문선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9-477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ed water inequity on the settling performance for parallel arranged upflow sedimentation basin in domestic G_WTP(Water Treatment Plant),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were employed and ADV(Acoustic Doppler Velocimeter)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of both CFD simulations and ADV measurements, the differences among inlet flow rates to each inlet structure make turbulent energy dissipation uneven overall sedimentation basin. Especially local velocities in the near of both side wall were observed over the design overflow rate(74.4 mm/mi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is inequity of inlet flow would exert an serious influence on the turbidity of settled water which is out from 8 troughs. Even though experimental velocities in full scale basin about 20% higher than the simulated, the results of ADV measurement were in good accordance with those of CFD simulations.

CFD를 이용한 병열 배열형 상향류식 침전지 수리해석에 관한 연구(II) - 침전지 내 유입유량 균등성 향상을 위한 유입 분배수로 개선 - (Evaluation of hydraulic behavior within parallel arranged upflow sedimentation basin using CFD simulation(II) -A CFD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distribution channel for improving inlet equity)

  • 박노석;김성수;최종웅;왕창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3
    • /
    • 2014
  • In order to suggest the methodology for improving the equity of flow distribution in open channel with multiple outlet, CFD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actual scale distribution channel being operated in domestic G_WTP(Water Treatment Plant). Also, before and after installing the longitudinal multi hole(diameter=250 mm, 116 holes) baffle suggested by this research, turbidity measurements data were collected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hydraulic modification for inlet flow equity. From the both results, total turbidity of settled water was lowered by 30 % and equity of flow distribution was improved about 60 % compared with before hydraulic structure modification.

격벽식 분말활성탄 접촉조의 흐름해석을 위한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의 적용 (Application of CFD Program for Analyzing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Baffled PAC Contactor)

  • 안창진;안상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21-2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 내 조류 이취미(taste and odor)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되고 있는 격벽식 분말활성탄(PAC) 접촉조의 효과적인 설계를 위해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FLOW-3D를 도입하였다. 일차적으로 FLOW-3D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용량 288 리터의 PCA 접촉조를 대상으로 수행된 추적자실헐 결과와 FLOW-3D의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설계된 P정수장 PAC 접촉조에 적용하여 흐름특성을 예측하였다. 다양한 격벽 조건에서 모의된 FLOW-3D 결과는 실제 추적자실험 결과와 아주 유사하였다. 한편,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0분인 P정수장의 접촉조에 투입된 PAC 입자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FLOW-3D로 모의수행한 바에 의하면, 기존의 PAC 접촉조에서는 모든 격벽의 후면에 정체구역이 발생하였고, 이 정체구역에는 PAC 입자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격벽 후면부의 정체영역은 PAC 입자가 체류하는 시간을 감소시켜 흡착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에, PAC 접촉조의 흐름특성을 개선하고자 격벽의 형상을 미로형(maze-type)으로 변경한 경우, PAC 입자가 접촉조 내에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였으며 정체영역도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FLOW-3D 모의는 정수장에서 사용되는 수리구조물의 흐름특성 해석에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입유량과 연계한 여과지 가동지수 변동 운영이 여과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ltrate Quality by Variation of Operating Filter Number Based on Inflow)

  • 김진근;이정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17-824
    • /
    • 2009
  • 여과공정에서 수리적 충격부하로 인한 탁질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지 유입량 변화에 대응하여 여과지 운영지수를 변화시키면서 여과수의 탁도 및 입자수를 고찰하였다. S 정수장은 여과지 유입량 최대/최소의 비가 2.2였으며, 이에 따라 여과속도도 변동하였다. S 정수장에서는 여과속도 변동 최소화를 위하여 여과유입수량 변동에 따라 여과지수를 변동시켰다. 여과지 유입유량 변화에 따라 가동, 휴지, 재가동을 반복하였을 경우 탁질누출은 심하지 않았다. 여과가동 누계시간이 10 h 이전이나 50 h 이후에 재가동시는 탁질누출현상이 일부 발견되었다. 이런 현상은 여재의 숙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입자물질의 부착량 과다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지를 재가동할 때는 누계여과지속시간이 10 h 이상, 50 h 미만인 여과지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과지 유입유량 변동에 따른 여과지수 변동은 UFRV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FDC 및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금호강 유역에서의 오염원추적 (Water Pollution Source Tracing Using FDC and Correlation Analysis in Geumho River Basin)

  • 박경옥;이창희;차일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2-243
    • /
    • 2016
  •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유역 수질관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수질 항목간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유역내의 환경기초시설 방류와 상류 및 지류 하천 부하가 유역 하류에 위치한 목표수질 설정지점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류 및 본류 구간내의 환경부 수질측정자료와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단위유역 말단의 수질에 미치는 오염원추적을 실시하였다. 대상유역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특성을 모두 가지며, 수질오염총량제에서 금호A, 금호B, 금호C 유역으로 구성된 금호강유역으로 설정하였다. FDC(Flow duration curve) 분석을 통해 유량을 5개의 유황 등급별로 군집화 및 상관성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목표수질 설정지점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지점과 수질항목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 FDC 분석과의 연계를 통해 오염물질 추적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 지점에 대한 유역 수질관리 전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D 정수장 소독부산물 예측모델 선정 (Predictive Model Selec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D Water Treatment Plant)

  • 김성준;이형원;황정석;원찬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60-467
    • /
    • 2010
  • For D-WTP's sedimentation basin and distribution reservoir, and water tap the predictive models proposed tentatively herein included the models for estimating TTHM concentration in precipitated water, for treated water and for tap water, and the estimated correlation formula between treated water's TTHM concentration and tap water. As for TTHM-concentration predictive model in sedimentation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0.866 for best-fitted short-term $DOC{\times}UV_{254}$ based Model (TTHM). As for $HAA_5$-concentration predictive model in sedimentation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0.947 for the suitable $UV_{254}$-based model ($HAA_5$). In case of the predictive model in treated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0.980 for best-fitted $DOC{\times}UV_{254}$ based model (TTHM) using coagulated waters, whil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0.983 for best-fitted $DOC{\times}UV_{254}$ based model ($HAA_5$) using coagulated waters, which described the $HAA_5$ concentration well. However, the predictive model for tap water could not be compatible with the one for treated water, only except for possibility inducing correlation formula for prediction, [i.e., the correlation formula between TTHM concentration and tap water was verified as TTHM (tap water) = $1.162{\times}TTHM$ (treated water), while $HAA_5$ (tap water) = $0.965{\times}HAA_5$ (treated wate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C and $KMnO_4$ consumption by process resulted in higher relationship with filtrated water, showing that its regression is $DOC=0.669{\times}KMnO_4$ consumption - 0.166 with 0.689 of determination coefficient. By substituting it to the existing DOC-based model ($HAA_5$) for treated water, the consequential model formula was made as follows; $HAA_5=8.35(KMnO_4\;consumption{\times}0.669-0.166)^{0.701}(Cl_2)^{0.577}t^{0.150}0.9216^{(pH-7.5)}1.022^{(Temp-20^{\circ}C)}$

수돗물 배급수 계통의 유리잔류염소농도에 따른 종속영양세균의 거동에 관한 연구 (Heterotrophic Bacteria in Terms of Free Chlorine Residual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 윤태호;이윤진;이옥재;이의광;김현;이동찬;남상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18
    • /
    • 2002
  •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occurrence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erms of free chlorine residuals in two different water distribution systems belong to both K and Y water treatment pla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at in distribution systems(DS), the free chlorine residuals were decreased from 0.10 to 0.56 ㎎/1 for K, and 0.51 and 0.78 ㎎/l for Y The decay of free chlorine were clearly higher in both March and August than those in January. The HPC in DS were ranged from 0 to 40 CFU/ml for K,0 to 270 CFU/ml for Y, on R2A medium. In particular, Its level was relatively high at consumers' ground storage tanks, taps and point-of-end area of Y, The predominant genera found in the distribution systems were Acinetobacter, Sphingomonas (branch of Pseudomonas), Microroccus, Bacillus, Staphylococcus. The diver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increased in the end-point area. Most of them were either encapsulated cells or cocci of gram-positve. In conclusion, the point-of-end area in distribution systems showed that the longer flow distance from WTP the greater diversity and higher level of heterotrophic bacteria due to the significant decay of free chlorine residuals.

소독부산물 제어를 위한 실공정 F/A 운영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Filter-Adsorber(F/A) Process for Removal of Disinfection By-products(DBPs))

  • 김성수;이경혁;임재림;채선하;강병수;문필중;안효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35-1042
    • /
    • 2005
  • 입상활성탄 공정은 수처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S와 B정수장은 기존의 급속여과지의 여재를 활성탄으로 교체하여 F/A 공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소독부산물의 제어를 위해 F/A가 도입된 금강수계 S정수장과 낙동강 수계 B정수장의 운영결과를 토대로 용존유기물질(DOC)과 소독부산물(DBPs) 등의 효율평가와 F/A공정 운영인자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두 정수장 원수의 용존유기물질 특성은 친수성과 소수성이 유사한 범위를 보이고 있으며, F/A공정에서 운영 초기 흡착능에 의한 빠른 파과특성을 나타내었다. F/A에서 소독부산물의 제거특성은 운영초기에 THM과 HAA 모두 제거효율이 우수하였으나, 운영기간이 경과되면서 THM제거율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HAA의 제거율은 동절기 저수온 시기를 제외하고는 생물학적 제거기작에 의해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F/A공정은 활성탄흡착지(Post GAC) 공정과 비교하여 높은 유기물 부하, 잔류염소, 응집제 또는 응집보조제, 망간, 빈번한 역세척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여재 물성치 및 흡착능의 감소가 빠르게 나타났다. F/A공정이 실공정으로 도입되어 1년 이상 운영되어진 결과를 보면 활성탄 여재의 물성치 및 흡착능의 빠른 감소 경향이 있지만, 소독부산물 중 $HAA_5$항목이 문제시되는 정수장의 경우 기타여과지로 인증을 받은 F/A공정은 향후 점점 더 강화되는 수질기준의 만족을 위한 대안공정의 하나로서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기존 정수장 이산화염소 시범도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hlorine Dioxide Usage at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

  • 이송희;이병두;김진근;석관수;이정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5-119
    • /
    • 2005
  • 소독부산물에 대한 수질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외국은 물론 국내 정수장에서도 강화응집(Enhanced Coagulation), 대체소독제 사용과 오존/활성탄 등의 고도정수처리공정 등을 도입하여 운영중이거나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1년도 낙동강페놀오염사고 전후로 26개 정수장에 이산화염소 발생기가 설치되었으나 실공정에서 축적된 운영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홍수기 특정시기에만 소독부산물이 높게 검출되는 A정수장에 이산화염소 발생기를 설치하여 1년간 운영자료를 토대로 수질개선효과 운영관리상의 문제점과 향후 기존 정수장에서 이산화염소 공정도입시 고려하여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산화염소에 의하 소독부산물 저감효과는 전체공정에서 $30{\sim}40%$ 정도였으나, 2-MIB, Geosmin의 제거율은 10% 이내였다. 이산화염소 부산물이 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 발생량은 이산화염소 투입량의 $70{\sim}100%$ 정도였으며, 접촉시간이 경과되면서 클로레이트로 전환되는 양이 많아졌다. 또한 이산화염소와 염소를 병행사용할 경우 급배수관망에서 클로라이트와 유리잔류염소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가 재생성되어 강한염소냄새(락스성) 민원이 발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