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upply and demand prospec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아시아 주요국의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전망과 진출방안 (Prospect and strategies of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n Asia major countries)

  • 손진식;한지희;김석화;신동우;임재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4
    • /
    • 2010
  • Seawater desalination has vest interest in terms of ultimate water resources for the countries suffering lack of water supply. Water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in Asi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spect the desalination market in Asia countries including China, India and Singapore, and to propose possible strategies of getting through Asia water market. Water supply in China is increasing up to $5,322,060m^3$/d in 2015. Northeast coastal areas such as Tianjin, Shandong, Hubei, and Liaoning are expected rapid increase for water demand. The investment of water supply in India would be 1.74 billion dollars during 2006 to 2015. Chennai, Kutch, and Pondicherry have possibility in introducing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Singapore is focusing on water reuse, and operating three NEWater plants (water reuse plants). BOT with total solution providing financing, construction, operation etc. is an adequate strategy to getting through China water market, while desalination plant project connecting with power plant is desirable in India. The cooperative system with Korea and Singapore creates synergy effect regarding planning and operating experience of Singapore and EPC ability of Korea.

미래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n the water supply stability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uture scenarios)

  • 최시중;강성규;이동률;강신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spc1호
    • /
    • pp.1105-1115
    • /
    • 2018
  •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사례가 많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미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한 수자원 계획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다양한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 경로에 대한 물 수급 전망을 통해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 공급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또한 용수공급시설물의 최적연계 운영을 통해 용수공급 능력 증대 효과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