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uble fraction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34초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멸치액젓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 박종옥;윤미선;조은정;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78-1385
    • /
    • 1999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및 chromatography를 행하였다. 모든 용매분획들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며 그 중 BuOH층과 수용액층이 소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수용액층을 투석막(MWCO 1000)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하였을 때 투석막 내액의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으므로 멸치액젓의 항산화성 물질은 분자량 10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항산화물질 분획(tube No. 230-245)로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column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0 N NaCl용액) 및 0.05N NaCl용액으로 용출된 분획에서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15\;{\mu}M$$Fe^{+++}\;ion$의 존재하에서 0 N NaCl 분획만 항산화활성이 유지되었다. Biogel P2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3번과 5번 분획의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TLC확인결과 아미노기가 풍부한 분자들임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른 분획들보다 3번과 5번 분획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TLC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하나의 band를 HPLC의 C18 column으로 분석하였을 때 3개의 peak 중 항산화활성을 갖은 물질은 methionine 유도체이었으며 이는 멸치젓 수용액층의 많은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여러 아미노산 또는 oligopeptide의 유도체들의 상승효과가 멸치액젓의 항산화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Inclusion on Corn Silage Fermentation

  • Chiou, Peter Wen-Shyg;Ku, Hsiao-Che;Chen, Chao-Ren;Yu, B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68-1579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AFE) on corn silag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rial included two groups of treatments, with or without AFE inclusion in corn ensilage. Sixty corn silage containers, including two treatments with thirty replicates each, were processed in a laboratory scale mini-silo of 21 cm radius by 45 cm height. Three replicate containers were opened and sampled for analysis at 0, 0.5, 1, 2, 3, 4, 6, 10, 18 and 34 days after being ensiled. One silage container from each treatment was installed with a remote controlled electronic thermometer to record the temperature changes. Analysis included silage temperature, pH, fermentation acids,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silage protein fractions. Results showed that on the first day, the temperature of the ensiled corn was slightly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but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on the second day. The pH and concentrations of WSC, ADF, lignin and acetic acid in the AFE treated silag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The lactic acid and crude protein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FE treated silage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t the end of the ensilage period. The D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whereas the butyric acid content of the AFE treated silag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at the end of the 34 day ensilage period. Titratable acid and buffering capacity in the corn sil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Ammonia N concentration in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trend of decrease (p>0.05). NPN and the protein fraction A in both groups increased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but fraction A in the AFE treated corn sil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ilage (p<0.05).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the AFE treated corn silage showed a trend toward a decrease in fractions $B_1$, $B_3$ and C (p<0.05). The protein fraction B2 showed a trend towar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and an inconsistent trend in the AFE treated silage during the ensiling period.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better Flieg score over the control silage (97 vs. 75) a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GC-MS에 의한 대파의 항산화 물질 동정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Allium fistulosum L. by GC-MS)

  • 서지우;조정용;국주희;위지향;문제학;김성호;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88-993
    • /
    • 2003
  • 대파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을 구명하고자 대파를 3가지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대파 착즙액, 열수추출물,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을 각각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 가용 산성획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얻어진 활성획분을 GC-MS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에서는 succinic acid ,fumaric acid,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그리고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6종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는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4종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검정한 결과,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대파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GC에 의해 정량분석한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 및 MeOH 추출물 모두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슬러지 농도 최적화에 따른 합리적인 활성슬러지공정 설계방안 연구 (Economic Design of Activated Sludge System at the Optimum Sludge Concentration)

  • 이병준;최윤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5호
    • /
    • pp.483-490
    • /
    • 2014
  • 활성슬러지 공정의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설계와 관련해서 정상상태 설계식(Ekama et al., 1986; WRC, 1984) 및 1-D flux theory 설계식(Ekama et al., 1997)을 사용하여 슬러지 농도에 따라 두 가지 공정을 일괄적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슬러지 농도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크기 변화를 도식화하고, 유입수 성상이나 슬러지 침강성, 환경 및 운전조건 그리고 첨두유량이 각 공정의 크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유입수의 특성과 관련하여 난분해성 용해성 물질(fs,us)은 반응조 크기 결정에 큰 영향이 없었지만, 난분해성 입자성 물질(fs,up), 무기고형물(fi) 및 유기물 강도(Sti)의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운전인자인 Sludge Retention Time (SRT)의 경우, 슬러지 생산량과 관련되므로 반응조 크기결정에 역시 큰 영향을 미쳤다. 2차 침전지의 설계요소인 Sludge Volume Index (SVI) 및 첨두유량이 커질수록 2차 침전지에 수리학적 부하가 커지게 되어, 2차 침전지가 크게 설계되어야 했다. 본 설계과정에서는, 온도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작게 나타났다. 대규모 처리장의 경우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전체 크기 결정과 함께 1개조 크기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개수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엔지니어는 여러 가지 슬러지 농도에 대하여 반응조 및 2차 침전조의 크기, 개수 및 현장조건을 고려한 건설비용을 반복적으로 계산하게 되면, 최소비용 설계와 함께 최적의 슬러지 농도를 결정하게 된다.

마른멸치 저장중의 수분활성과 비효소적 갈변반응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ANCHOVY WHEN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 한성빈;이종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37-43
    • /
    • 1973
  • In this paper,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as a factor of self stability of boiled and dried anchovy were studied to discuss the effect of water activity to the discoloring reaction and the preservative moisture content.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of the fish meat was also mentioned since the fish is fatty and the lipid oxidation is a functional deteriorative reaction. Fresh anchovies were boiled in $10\%$ salt solution immediately after the catch, sun drie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irc}C$) for two months in humidistat chambers maintaining different levels of water activity as described in Table 1. The pigments formed by non-enzymatic browning reations were extracted in two fractions, those were chloroform-methanol soluble and water dialyzed fraction, and analyzed spectrophotometrically at the wavelength of 460 nm. These two fractions were considered, respectively to be the brown pigments formed by lipid oxidation reactions for the formler and for the latter, to be the pigments developed by sugar-amino or Maillard reaction. The oxidation of lipid in anchovy meat during the storage was measured as the changes in Peroxide value and the color developme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It is summarized from the results that the rate of both reactions,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was affected by water activity levels. In regard to the changes in peroxide and TBA value during the storage, the propagation of lipid oxidation was obviously accelerated at lower humidities whereas the development of browning progressed at the higher. These two reactions occurring simultaneously and contrary in activity resulted in that the rate of deterioration occurring oxidatively or by browning, was the minimum at the water activity of 0.32-0.45 which were $7-9\%$ as moisture content and sligh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monolayer (Aw=0.21, $5.11\%$ as moisture content). It is also noted that the lipid oxidative browning was presumed to dominate sugar-amino reactions so that the rate of browning of the meat was ultimately depended o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although sugar-amino reactions initiated earlier than the other at the first ten days of storage, particulary at higher humidity. At the lower humidity sugar-amino reactions were occurred gradually but lower levels in color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sistent increase in lipid oxidative browning.

  • PDF

국내산 자색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Ipomoea batatas L. Lam. (Purple Sweet Potato) Extracts Cultured in Korea)

  • 공봉주;한성수;하지훈;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3-43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자색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의 수율은 건조 분말 당 각각 39.2% 및 3.49%이었다.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 라디칼(1,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과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항산화능 그리고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은 70%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각각 $90.16{\mu}g/mL$$7.69{\mu}g/mL$를 나타내었다.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alpha}$-tocopherol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8.98{\mu}g/mL$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7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각각 $5.75{\mu}g/mL$$1.92{\mu}g/mL$이었다.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L-ascorbic acid의 항산화능은 $1.50{\mu}g/mL$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농도 의존적($5{\sim}50{\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활성(${\tau}_{50}$)은 $5{\mu}g/mL$에서 45.6 min으로 모든 농도에서 비교 대조군인 (+)-${\alpha}$-tocopherol 보다 더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자색고구마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뛰어난 항산화능을 나타내며, 이는 피부노화 억제를 위한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원료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추출 방법에 따른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Cryptomeria japonica Leave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세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495-510
    • /
    • 2017
  • 본 연구는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잠재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의 적용 가능성 구명에 관한 연구이다. 삼나무 잎 추출물은 세 가지 추출방법에 의해 정유, 메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획득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 하였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 zanthin oxidase 저해활성, 철이온 chelate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정유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했다. 정유가 함유하고 있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낮은 성분으로 사료된다. 활성이 우수했던 메탄올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다양한 유기용매(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methanol, ethanol, acetone)와 물을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acetone 및 물 분획물, 그리고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분획물이 천연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거나,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높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기 때문에 삼나무 잎 추출물은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수처리제 은이온이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ver lon Exchanged Water Treatment Agent upon E. Coli RB 797 and Bacillus sp.)

  • 신혜자;신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16-32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은이온이 이온 교환되어 있는 수처리제(Ag-Os)의 영향을 Bacillus sp. 와 E. Coli RB 797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Bacillus sp.의 성장이 E. Coli RB 797의 성장에서보다 더 은이온에 민감하게 억제됨을 보였다. 성장억제에 필요되어지는 Ag-Os양은 0.2 mg/ml 이상에서 E. Coli RB 797를 0.02 mg/ml 이상에서 Bacillus sp. 의 성장을 저해하며 Ag-Os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생존 할 수 있는 세포 수도 E. Coli RB 797이 더 많음을 보여 윗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세포에 bind되는 것은 몇 분안에 일어 나는 과정이며 starved cells에서도 일어나는 에너지를 필요치 않는 과정임을 Binding연구는 나타내고 있다. 또한 Bacillus sp.의 은이온 binding이 더 많이 일어남을 보여준다.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reducing substances가 생성됨을 methylene blue를 indicatr로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수처리제는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대해 효과적이며 은이온은 빠르고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과정에 의해 세포에 bind한후 세포내로 들어가 sulfur group과 반응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