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ass

검색결과 3,706건 처리시간 0.03초

좁은 휜이 달린 경사면을 흐르는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 흡수기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 (Coupled Heat and Mass Transfer in Absorption of Water Vapor into LiBr-$H_2O$ Solution Flowing over a Finned Inclined Surface)

  • 조은준;서태범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860-867
    • /
    • 2001
  • Absorption of water vapor into LiBr-$H_2O$ O solution flowing over a finned inclined surface is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momentum, energy, and diffusion equation are numerically solved using a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four different shapes of the wall surfaces are considered to find the best surface for absorption assuming that the wall temperature and the surface tension are constant. The effects of the fin interval and Reynolds number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it is known that the parabolic surface shows better absorption performance than the other surfaces, and that water vapor absorption increases gradually with decreasing the fin interval.

  • PDF

유기랭킨사이클과 암모니아-물 랭킨사이클의 열역학적 성능의 비교 해석 (Comparative Thermodynamic Analysis of Organic Rankine Cycle and Ammonia-Water Rankine Cycle)

  • 김경훈;김만회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597-603
    • /
    • 2016
  • In this paper a comparative thermodynamics analysis is carried out for organic Rankine cycle (ORC) and ammonia-water Rankine cycle (AWRC) utilizing low-grade heat sources. Effects of the working fluid, ammonia concentration, and turbine inlet pressure a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on the system performance such as mass flow rate, pressure ratio, turbine-exit volume flow, and net power production as well as the thermal efficiency. Results show that ORC with a proper working fluid shows higher thermal efficiency than AWRC, however, AWRC shows lower mass flow rate of working fluid and lower pressure ratio of expander than ORC.

초강천의 퇴적물 분석을 이용한 총인 및 질소의 유달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hosphorus and Nitrogen Delivery Characteristics of Chogang Stream Sediments)

  • 강선홍;서동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9-109
    • /
    • 1997
  • To estimate the nutrients delivery characteristics of Chogang stream to Keum River, sediment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stream and in the stream bank. Along the stream, soil samples from river sediment were collected and tested monthly for phosphorus and nitrogen concentrations.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 is much lower than that of soil in the river bank especially in summer presumably due to the high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by the increasing rainfall energy during summer. Instead,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were similar for the sediment and the soil in the river bank due to the strong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sorption potential of the sediments.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as applied to quantify soil erosion in each watershed due to rainfall. It wa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25% of total phosphorus by mass basis could be released from the sediment if the water was disturbed vigorously. The mass load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to the Chogang Stream from the watershed were evaluated from the USLE and release ratio of phosphorus.

  • PDF

Thermal stress and pore pressure development in microwave heated concrete

  • Akbarnezhad, A.;Ong, K.C.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8권4호
    • /
    • pp.425-443
    • /
    • 2011
  • Most previous studies have generally overlooked the contribution of thermal stresses generated within the concrete mass when subjected to microwave heating and reported on pore-pressure as being the dominant cause of surface spalling. Also, the variation in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concrete and its effects on the microwave heating process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modeling is used to examine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compressive thermal stresses and pore-pressure arising from the microwave heating of concrete. A modified Lambert's Law formulation is proposed to estimate the microwave power dissipation in the concrete mass. Moreover,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concrete water content on the concrete heating rate and pattern are investigated. Results show high compressive stresses being generated especially in concrete with a high water content when heated by microwaves of higher frequencie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water content of concret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microwave heating process.

폐 광산 지역 중금속 오염 토양의 석회안정화 적용 시 용출특성 (A Leaching Characteristics on Lime Sta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in a Waste Mine Area)

  • 어성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2-867
    • /
    • 2011
  • Pozzolanic-based stabilization/solidification (S/S) is an effective and economic remediation technology to immobilize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oils. In this study, quick lime (CaO) was used to immobilize cadmium and zinc present in waste mine contaminated clayey sand soils. Addition of 5% quicklime to the contaminated soils effectively reduced heavy metal leachability after 2 bed volume operation below the drinking water regulatory limits. Lime addition was revealed to increase the immobilization for all heavy metals in tested pH ranges, so it could be an optimal choice for short-term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The mass balances for these column tests show metal reduction of 92% for Cd and 87% for Zn of total resolved mass in case of 5% lime application.

수처리용 세라믹 기반 그래핀 맴브레인의 합성 및 물질이동특성 (Fabrication of Ceramic-based Graphene Membrane (CbGM) and Its Mass Transport Behavior for Water Treatment)

  • 김창민;박기범;김광수;김인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649-6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막 기반 수처리 기술의 핵심인 막 성능 및 특성을 혁신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막으로서 그래핀과 세라믹을 결합하는 세라믹 기반 그래핀 막(Ceramic-based graphene membrane (CbGM))을 만들고, 막에서 일어나는 물질 이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투과 및 염 제거의 역할을 하는 활성층으로서 그래핀이 사용되었으며, 간단한 Filtration-assisted assembly (FAA) 방법을 도입하여 막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막의 표면 형태 및 특성 분석을 위해 주사전자 현미경 및 접촉각을 분석하였으며, 막 성능 및 특성 파악을 위해 3가지 용질(i.e., NaCl, $MgCl_2$, $Na_2SO_4$)을 회분식 정삼투 시스템에서 용질 이동을 측정하였다. 표면 형태 특성 분석과 물질 이동 결과를 통해, 그래핀 층의 두께 보다는, 활성층을 구성하는 그래핀 조각들 사이의 교합(Interlocking)이 막에 선택성 부여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차를 구동력으로 하는 막 공정에 CbGM을 적용하였을 때, 수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최외각 전하비($Z^-/Z^+$)값이 증가할수록 용질 이동이 비례적으로 촉진되었으므로, CbGM의 표면이 양으로 하전되어 있으며, 이것이 전하된 물질의 이동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응축탱크로 방출되는 안정된 증기제트 응축모델 (Modeling on the Condensation of a Stable Steam Jet Discharging into a Quenching Tank)

  • 김환열;하광순;배윤영;박종균;최상민
    • 에너지공학
    • /
    • 제10권4호
    • /
    • pp.349-356
    • /
    • 2001
  • 물과 증기의 직접접촉에 의한 응축 열전달은 움직이는 증기/물 경계면에서 열 및 물질 전달이 이루어지는 현상으로서, 매우 큰 열전달계수를 수반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응용한 설계가 산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수평 배관을 통해 과냉각수가 있는 응축탱크로 안정된 증기제트가 방출될 때, 증기제트 형상을 예측하는 간단한 응축해석모델을 제시하였다. 해석모델은 축대칭 좌표계에서 질량, 운동량 및 에너지 방정식과 증기/물 경계면에서 의 응축 특성을 고려한 열평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유도하였다. 증기/물 경계에서의 매우 큰 열전달율은 기존의 실험을 근거로 한 유효열전도계수에 의해 반영되었다.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제시된 해석 모델은 실험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증기 질량유속과 수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기제트 크기(반경 및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Nutrient Leaching from Leaf Litter of Cropland Agroforest Tree Species of Bangladesh

  • Hasanuzzaman, Md.;Hossain, Mahmoo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08-217
    • /
    • 2014
  • Leaf litter is the main and quick source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 to the soil compared to other parts of litter. This study focused on the nutrients (N, P and K) leaching from leaf litter of Melia azadirachta, Azadirachta indica, Eucalyptus camaldulensis, Swietenia macrophylla, Mangifera indica, Zizyphus jujuba, Litchi chinensis, Albizia saman, Artocarpus heterophyllus, Acacia auriculiformis, Dalbergia sissoo and Khaya anthotheca as the common cropland agroforest tree species of Bangladesh. About (9 to 35) % of initial mass was lost, while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TDS (Total Dissolved Solid) of leaching water increased to (573 to 3,247) ${\mu}S/cm$ and (401 to 2,307) mg/l respectively after 192 hours of leaching process. Mass loss (%) of leaf litter, EC and TDS of leaching water showed significant (ANOVA, p<0.05) curvilinear relationship with leaching time. Initial concentration of NH4, PO4 and K in leaching water was found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up to 48/72 hours and then remained almost constant at later stages (48/72 to 192 hours). Mass loss of leaves; EC, TDS, $NH_4$, $PO_4$ and K in leaching water was varied also significantly (ANOVA, p<0.05) among the studied tree species. All the tree species showed similar pattern of nutrients (K>N>P) release during the leaching process. The highest $NH_4$ (4,097 ppm) and potassium (8,904 ppm) concentration was found for M. azadirachta while the highest $PO_4$ (1,331 ppm) concentration was found for E. camaldulensis in the leaching water. Among the studied tree species, M. azadirachta, A. indica, D. sissoo, E. camaldulensis and Z. jujuba was selected as the best tree species with respect to nutrient leaching.

환수 및 공기공급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s by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with Exchange of Culture Water and Supplemental Aeration)

  • 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21
    • /
    • 2005
  • 본 연구는 통기방법과 배양수의 환수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의 내구란 형성을 조사하였고 0.5 톤 수조에서 내구란 대량 생산을 수행하였다. 산소와 공기를 공급한 실험구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와 유성생식률은 차이는 없으나 수정률과 내구란 형성은 공기를 공급한 실험구가 산소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양수의 환수간격에 따른 실험에서 환수를 하지 않은 실험구가 rotifer 최고밀도와 내구란 형성은 환수를 한 실험구(매일 환수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내구란 생산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Chlorella 건조중량당 내구란 형성은 환수를 한 실험구(매일 환수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0.5톤 수조에서 내구란의 총 생산량은 $51.8{\sim}57.9{\times}10^6$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기를 공급한 batch 배양이 담수산 rotifer, B. calyciforus의 내구란을 대량생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종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와 B. rotundiformis와 비슷한 생산 효율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수심에 따른 득량만 키조개 어장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pth in Deukryang Bay , Culturing Ground of Pen Shell ( Atrina Pectinata ))

  • 최용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27-141
    • /
    • 1995
  • 득량만의 키조개 어장의 해양 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4년 7월 12일(대조기)과 19일(소조기)에 걸쳐 득량만의 수형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득량만은 관측 기간중에 대조기와 소조기에 따른 빛의 연직감쇠계수(k)가 0.6인 곳을 경계로 하여 3개 해역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조석 주기에 따른 k가 0.6인 등치선의 변화는 대조기에는 약 10m인 등수심선, 소조기에는 약 5m인 등수심선과 유사하게 분포하였다. 따라서 득량만의 수심 약 5~10m인 해역은 조석 주기에 따라서 수형의 특성이 뚜렷하게 바뀌는 수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수심 약 5~10m인 만 중앙 해역은 T-S diagram에서 대조기때는 수심이 얕은 해역의 수형군에 가까이 분포하고, 소조기때에는 수심이 깊은 수형군에 가까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성층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log 하(10)(H/U 상(3))의 값은 수심 5m와 10인 등수심선에서 약 2.1~2.2의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연구 기간인 1994년 7월 동안은 혹서와 갈수로 인하여 예년치보다도 기온은 약 2$^{\circ}C$이상 높았으며, 강수량은 예년치보다도 훨씬 낮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득량만의 수괴의 밀도는 관측 기간동안 주로 수온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었다. 앞으로는 기상 자료 및 득량만에서의 과거 누년자료를 분석하여, 이상(abnormal) 고수온년에 대한 만내의 물리적인 변동, 조류와 해저 지형에 기인한 내부파의 형성이나 연속 관측에 의한 급조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