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infra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전력 케이블용 폴리에틸렌의 열처리 효과(I)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Polyethylene Film for Power Cable Insulation(I))

  • 홍진웅;영치보웅;수곡조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74-1176
    • /
    • 1993
  • Morphology of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such as the degree of crystallinity changes with thermal history etc.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changes on electrical breakdown, we studied direct current and impulse breakdown phenomena of LDPE films heat-treated at 100[$^{\circ}C$] for 1[H] in silicone oil and subsequently cooling to various ways. The degree of crystallinity was estimated by the infra red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for the specimens of slowly cooled, cooled in water, original, and cooled in liquid nitrogen gas. As the result, we obtaine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s slowly cooled of 70.23[%], cooled in water of 61.6[%], original specimen of 56.75[%], and cooled in liquid nitrogen gas of 34.7[%] respectively. The crystalline size and distribution of specimens were research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limeter measurements.

  • PDF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을 활용한 국내 표층 토양수분 메모리 특성에 관한 연구 (Surface soil moisture memory using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김기영;이슬찬;이용준;연민호;이기하;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111-120
    • /
    • 2022
  •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토양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방법인 토양수분 메모리(soil moisture memory)는 토양에 도달한 강수가 저장되고 배출되기까지 평균적으로 체류하는 시간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년 한반도 지역에서 강수와 토양수분 위성 기반 모델 산출물을 활용하여 표층(0~5 cm)토양에서의 토양수분 메모리를 산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지역 내 토양수분 메모리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지표면의 경사 및 토양의 특성과 함께 평가하였다. 토양수분 메모리를 특성분석을 위해 강수 사건에 따라 토양수분의 증가를 추적하여 저장 강수율(Fp(f))이라는 새로운 측정 지표를 활용하였다. 강수 발생 초기(3시간 후)에는 산맥을 기준으로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이 우선적으로 감소하여 토양수분 메모리의 공간적인 편차가 컸으며 24시간 이후 전반적으로 편차가 감소하였다.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은 경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토양 입자 크기의 구성 비율에 따른 토양 내 수분의 배수 활동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리전도도 증감에 기여하는 평균토양수분이 저장 강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수가 지면에 체류하는 시간에 대한 척도인 토양수분 메모리가 지표의 경사와 토양 특성과 갖는 관계를 규명하고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PANET을 이용한 농업용 관수로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인자 분석 (Analysis of Operating and Maintenance Parameters for Agricultural Pipeline System Using EPANET)

  • 김남도;김선주;권형중;김필식;박현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4호
    • /
    • pp.17-26
    • /
    • 2017
  • In this study, EPANET model which is using on the pip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Haenam irrigation district has provided irrigation water by pipeline system about 1,125ha and then have built pipe network to study area and supply performance evaluation of existing structure was analyzed by SPA (Single Period Analysis) in EPANET. As model results of simulation average ratio of maximum supply quantity/irrigation water requirements(base demand) was analyzed by 2.63. It means also that was analyzed as being capable of ensuring the water supply capacity. It was provided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maintenance facility through analyzed hydraulic behaviors in the pipeline inside such as flow velocities, pressures and hydraulic grade lines. It was satisfied with the allowable design criteria that was compared analyzed results with presented allowable design standards at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 improvement project planning and design (Pipeline design standard). In order to analyze efficiency promotions of irrigation water, using Extended Period Simulation it was compared supply quantity with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while pumps set operating pattern in 24 hours, then efficiency promotions of irrigation water was determined through analyzed oversupply water quantity and occurrence time by branch lines. According to results for oversupply quantity in Haenam district by time and end of branch lines efficiency promotions of irrigation water was suggested from 0.33 % to 37.59 %. To draw reasonable operating rules for water use an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efficient water use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agricultural pipeline system to the current agricultural irrigation.

이상강우 발생시 도시침수 방지를 위한 월류형 우수배수방법 연구 (A Study on the Stormwater Drainage Method of Overflow Type for the Prevention of Urban Flood due to Abnormal Precipitation)

  • 서세덕;박형근;김태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569-577
    • /
    • 2019
  • 지구 온난화에 의한 이상강우, 도시개발 및 인구유입에 따른 저지대 개발로 인한 우수유출량의 증대로 도시침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도시에서 이상강우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GWI (Green Water Infra) 효과 확인과 기존 설치된 우수저류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국지적 침수를 방지하는 우수배수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제공하는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의 동적파해석(Dynamic Wave Analysis)을 이용하여 이상강우에서 도시침수 방지방법으로서 월류형 우수배수방법을 적용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풍 콩레이로 발생한 강우에서 월류형 우수저류조 설치가 최대홍수유출을 61 %, 총 홍수량을 56 %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태풍 솔릭의 강우에서는 월류형 우수저류조 및 자연-압송식 배수방법이 최대 홍수유출 20 % 감소 및 총 홍수량 67 %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상강우에 대한 대책으로 기존 우수저류조의 개량 및 추가 시설물 설치를 통해 제한된 조건에서 경제적인 우수배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구동 이젝터를 이용한 ABB (Air Bubble Barrier)의 기포거동 특성 연구 (II): 기포거동 특성의 비교 분석 (A Study on Bubble Behavior Generated by an Air-driven Ejector for ABB (Air Bubble Barrier) (II): Comparison of Bubble Behavior with and without Ejector)

  • 서현덕;알리유 무사 알리유;김효근;김경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9-67
    • /
    • 2017
  • To verify floatability of ABB (Air bubble barrier), we compared bubble swarm behavior with and without the air-driven ejector.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fabricated air-driven ejector with 5 mm nozzle on the bottom of 1 m3 water tank. Reynolds number of air in the nozzle was ranged 1766-13248. We analyzed data with statistical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particle mage velocimetry (PIV) and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analysis. As a result of POD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eigenmode in bubbly flow generated from the ejector. It means that more complex turbulent flows were formed by the ejector, thereby (1) making bubbles finer, (2) promoting three-dimensional energy transfer between bubble and water, and (3) making evenly distributed velocity profile of water. It is concluded that the air-driven ejector could enhance the performance of ABB.

Modification of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with different polymeric additives

  • Arahman, Nasrul;Mulyati, Sri;Lubis, Mirna Rahmah;Razi, Fachrul;Takagi, Ryosuke;Matsuyama, Hidet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4호
    • /
    • pp.355-365
    • /
    • 2016
  • The improvement of fouling resistance of porous polymeric membran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rgets in membrane preparation for water purification in many process like wastewater treatment. Membranes can be modified by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the treatment of polymer material, blending of hydrophilic polymer into polymer solution, and post treatment of fabricated membrane. This research proposed the modifications of morphology and surface property of hydrophobic membrane by blending polyethersulfone (PES) with three polymeric additives, polyvinylpyrrolidone (PVP), Pluronic F127 (Plu), and Tetronic 1307 (Tet). PES hollow fiber membranes were fabricated via dry-wet spinning process by using a spinneret with inner and outer diameter of 0.7 and 1.0 mm, respectively. The morphology changes of PES blend membrane by those additives, as well as the change of performance in ultrafiltration module were comparatively observed. The surface structure of membranes was characteriz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 red spectroscopy.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of PES blend hollow fiber membranes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olymeric additives blended in this system affec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PES membrane. The ultra-filtration experiment confirmed that PES-PVP membran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three membranes on the basis of filtration stability.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인자 중요도 평가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to Climate Change)

  • 최영완;장민원;배승종;정경훈;황세운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75-87
    • /
    • 2019
  • A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have been emerged all the way through society, the potential risks specifically on agricultural water and facilities are recently getting concerned. Evaluating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on is a time-tested strategy. While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 adap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were performed in various aspec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he vulnerability of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has not been investigated yet.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ind the major indicators able to presume the vulnerability, and finally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based on the specialist questionnaire survey and its analyses. The lists of indicators for major parts of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uch as, water use, flood control, reservoir related issues, and pumping and drainage systems are initialized referring to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Delphi to complement the list and methods and the main survey was then conduct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o quantitatively prioritize the indicators. The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would be directly adopted in weighting importance of indicators to investigate the indicator-based vulnerability analysis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수문·수리학적 / 지반공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제방의 복합위험도 산정 (Estimating the compound risk integrated hydrological / hydraulic / geotechnical uncertainty of levee systems)

  • 남명준;이재영;이철우;김기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277-2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생가능한 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천제방의 복합위험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을 고려한 수문학적/수리학적/지반공학적의 위험도를 각각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 MCS (Monte Carlo Simulation), FOSM (First-Order Second Moment) 기법을 활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확률을 연계하여 결합확률 형태로 나타내었다. 적용대상 유역은 낙동강에 위치한 강정고령보를 기점으로 상 하류 12.5 km 구간으로 선정하였으며, 구간내의 총 6구간의 제방이 포함된다. 수문시나리오는 제방 월류가 발생하는 100년/200년 빈도 신뢰구간 상한치(97.5%)의 홍수량이 사용되었고, 이에 따른 홍수위 해석을 수행하여 월류위험도를 산정하였으며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침투, 사면안정, 수위급강하 등 제방의 지반공학적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기존 결정론적 위험도 해석보다 확률론적 위험도 해석에 의한 복합위험도가 제방설계에 보다 안정적, 경제적인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수변구조물 설계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함정 신호해석 연구에 필요한 해양기상환경 자료의 표본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mpling of Ocean Meteorological Data to Analyze Signature of Naval Ships)

  • 조용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9-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함정 신호해석 연구에 필요한 해양기상환경 자료의 표본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기상청으로부터 품질검사가 완료된 최신의 해양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측정 자료의 가용 구간을 설정하여 이상치를 제거하였다. 품질검사와 이상치를 제거한 자료는 함정 신호의 확률론적 해석을 위해 지정학적 위협과 부이의 유효면적을 고려하여 단순임의추출법을 통해 축소되었다. 이후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의 크기와 신뢰수준 95%를 고려하여 100, 200 그리고 400개로 설정하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수온과 기온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 층화추출법으로 최종표본을 추출하였다. 추출 표본은 제곱오차의 합과 신뢰구간을 추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함정의 확률론적 신호해석을 위해 필요한 해양기상조건의 크기를 제시하였다.

취약대가 존재하는 제방의 누수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tect the Leakage of Embankment with Weak Zone)

  • 박삼규;김재홍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13
    • /
    • 2013
  • 댐 및 저수지 제방의 누수현상은 통관 주변에서 주로 일어나며 평상 시에는 제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저수지 수위가 상승하면 제방의 붕괴 위험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수맥과 경로를 조사하는 것은 재해 예방과 제방 관리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적인 방법과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통관이 취약대로 작용하는 댐 및 제방에서의 누수현상을 분석하였다. 누수탐지에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에서는 취약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전극 간격의 설정이 중요함을 보여주었고, 모형제방의 누수실험에서는 전극간격을 0.3m로 쌍극자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수현상의 분석을 통하여 댐 및 제방시설물의 누수탐지에 전기 비저항 탐사가 유용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