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cluster io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생물학적 회분식 인 제거 공정에서 pH의 영향과 그래뉼 생성 (Influence of Different Operational pH Conditions and Granulation on Enhanced Biological Sequencing Batch Phosphorus Removal)

  • 안조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4-759
    • /
    • 2011
  • A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was operated under different pH condi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H to granulation in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systems. Granules from the SBR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Considerable decreases in the amount of phosphorus released per substrate provid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and the content of biomass polyphosphate under aerobic conditions were observed when pH was changed from 7.5 to 7.0, followed by 6.5. Aerobic granulation was also observed at pH 7.0. A number of bacteria with the typical morphological traits of tetrad-forming organisms (TFOs) were observed at pH 7.0, including large members of cluster. Filamentous bacteria were also there in large numbers. The occurrence and growth of granules were further enhanced at pH 6.5. A SEM analysis showed that the aerobic granules had a compact microbial structure with shaperical shape and morphologically consisted of aggregates of small coccoid bacteria and filamentous bacteria encapsulated by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The main material ions identified by EDX moreover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materials for polyphosphate in the granules include phosphorus, potassium and calcium.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PAOs are a dominant population in the microbial community of the aerobic granules.

인자 및 군집분석을 통한 해안 LPG공동 유출수 및 지하수 수질특성의 이해 (Understanding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epage Water and Groundwater in a Coastal LPG Storage Cavern using Factor and Cluster Analyses)

  • 조윤주;이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6호
    • /
    • pp.599-6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해안 LPG 저장공동 유출수 및 지하수, 해수, 저장공동 인근 육지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과 성분들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질자료에 대한 인자 및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인천광역시 서해에 속하며 해안가에서 바다 쪽으로 약 8 km 이격해 있는 LPG(프로판 및 부탄) 저장공동으로 평균 수심 8.5 m 내외인 곳에 매립으로 조성된 인공섬이며 조수간만의 차가 최대 10 m로 매우 크다. 시료는 2006년 5월과 8월에 총 22개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Fe^{2+}$$Mn^{2+}$(r=0.83~0.99) 그리고 Na와 Cl(r=0.70~0.97)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철 망간을 포함한 광물의 환원성 용해와 해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인자분석 결과 Factor 1과 Factor I은 EC 및 주요 양 음이온에 높은 양의 적재값을 나타내며 이는 해수의 영향을 지시하는 요인이다. Factor 2와 Factor 는 산화환경을 지시하는 파라미터(DO 및 ORP)에 높은 양의 적재값을 나타내었다. Factor 4와 Factor II는 $Fe^{2+}$, $Mn^{2+}$에 높은 양의 적재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유기물에 의해 산소가 소모된 혐기성환경에서 철과 망간이 환원되어 $Fe^{2+}$$Mn^{2+}$이 증가하는 작용으로 판단된다. 군집분석 결과 5월에는 6개 군집으로 구분되며 8월에는 5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두 계절 모두 군집은 저장공동 인근 육지 지하수, 저장공동 내 유출수, 해수 및 저장공동 내 지하수로 대별되었다. 저장공동 인근 육지지하수(Group 2 및 Group III)는 EC 및 주요 양 음이온의 값이 높은 것으로 보아 해수침투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유출수의 군집(Group 5 및 Group II)은 모두 음의 산화환원전위와 낮은 용존산소 값으로 환원환경을 지시하며 $Fe^{2+}$$Mn^{2+}$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코이어 배지 이용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시 급액 EC가 근권부 무기이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 Level of Irrigation Solution on Tomato Growth and Inorganic Ions of Root Zone in Soilless Culture of Tomato Plant Using Coir Substrate)

  • 최경이;여경환;최수현;정호정;강남준;최효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8-423
    • /
    • 2017
  • 수경재배에서는 제한된 근권에서 작물의 양수분 흡수특성을 고려하여 양액을 공급하여 재배하고 있지만 작물의 무기이온 흡수는 기상조건이나 작물의 생장에 의해 이온간 흡수비율이 달라지므로 근권내 이온의 균형이 깨지기 쉽다. 그런데 최근에는 토마토 재배에는 무기배지인 암면을 대체하여 코이어 배지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장기재배에서 양액의 공급이 근권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코이어를 이용한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에 급액의 EC농도가 근권의 무기이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칩과 더스트가 5:5로 혼합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급액의 EC를 1.0, 1.5, 2.0, $3.0dS{\cdot}m^{-1}$ 로 달리 공 급하였다. 급액 EC가 낮은 $1.0dS{\cdot}m^{-1}$, $1.5dS{\cdot}m^{-1}$ 처리구에서는 $NO_3-N$, P, Ca, Mg 이온이 초기에 급액농도 보다 배액의 농도가 낮았다. 그러나 P를 제외한 모든 이온이 EC $2.0dS{\cdot}m^{-1}$ 농도 보다 농도로 급액한 것은 배지내 농도가 매우 높아졌다. 배액에 특히 높아지는 이온은 S와 Mg 였다. 평균 과중은 3화방까지는 EC $1.0dS{\cdot}m^{-1}$, $1.5dS{\cdot}m^{-1}$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급액의 EC가 높을수록 과중이 작았다. 6화방까지 수확 과수와 수량이 $1.5dS{\cdot}m^{-1}$가 가장 많았으나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고농도 급액구의 수량이 감소하였다. 배꼽썩음과는 생육초기에는 주로 EC $3.0dS{\cdot}m^{-1}$ 처리에서만 발생하였으나 일사량이 증가하면서 모든 처리에서 발생하였다. 발생율은 EC $3.0dS{\cdot}m^{-1}$ 처리구가 높고, 더 낮은 농도 처리에서는 발생율의 차이가 없었다.

Two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Ag$^+$ and K$^+$Exchanged Zeolite A, $Ag_{12-x}K_x$-A, x = 1.3 and 2.7

  • Kim, Yang;Song, Seong-Hwan;Park, Jong-Yul;Kim, Un-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6호
    • /
    • pp.338-341
    • /
    • 1988
  • Two crystal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silver and potassium exchanged zeolite A, stoichiometries of $Ag_{9.3}K_{{2.7}^-}A$ (${\alpha}$ = 12.282(2) ${\AA}$) and $Ag_{10.7}K_{{1.3}^-}{\AA}$ (${\alpha}$ = 12.287(2) A) per unit cell, have been determined from 3-dimensional x-ray diffraction data gathered by counter methods. All structures were solved and refined in the cubic space group Pm3m at 21(1)$^{\circ}C$ . The crystals of $Ag_{9.3}K_{{2.7}^-}A$ and $Ag_{10.7}K_{{1.3}^-}A$ were prepared by flow method using exchange solutions in which mole ratios of $AgNO_3$ and $KNO_3$ were 1:10 and 1:5, respectively, with total concentration of 0.05M. The structures of the dehydrated $Ag_{9.3}K_{{2.7}^-}A$ and $Ag_{10.7}K_{{1.3}^-}A$ were refined to yield the final error indices $R_1$ = 0.037 and $R_2$ = 0.040 with 321 reflections, and $R_1$ = 0.042 and $R_2$ = 0.043 with 371 reflections, repectively, for which I > 3${\sigma}$(I). In both structures, eight $Ag^+$ ions are found nearly at 6-ring centers and each $Ag^+$ ion is nearly in the (1 1 1) plane at its O(3) ligands. The 8-ring sites are preferentially occupied by $K^+$ ions in both structures. 1.3 and 1.7 reduced silver atoms per unit cell were found inside of sodalite units of $Ag_{9.3}K_{{2.7}^-}A$ and that of $Ag_{10.7}K_{{1.3}^-}A$, respectively. These reduced silver species were presumably formed from the reduction of $Ag^+$ ions by oxide ions of residual water molecule or of the zeolite framework. These two crystals may be presented as hexasilver cluster in 21.7% and 28.3% of sodalite unit cells for $Ag_{9.3}K_{{2.7}^-}A$ and $Ag_{10.7}K_{{1.3}^-}A$, repectively.

자화수가 염류의 침전반응 및 석고의 가수 경화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Magnetized Water in the Precipitation Reaction of Salts and in the Hydration Hardening Speed of Gympsum Plaster)

  • 전상일;김동률;이성현;김동석;이석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13
    • /
    • 2002
  • 자화수가 특이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갖고 있음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꾸준히 연구되어 왔는데, 아직도 자화수의 특성이 명확하게 설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화수가 염류들의 침전반응 및 석고의 가수 경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관찰하였다. $25^{\circ}C$ 항온조 내부에서 실시한 salt filter assay 방법으로 침전반응을 조사하였으며, $20^{\circ}C$ 실온에서 석고의 가수 경화반응 시간을 Gillmore needle의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석고의 가수 경화 속도를 조사하였다. 0.1M 염 이온들을 반응시킨 염류의 침전 반응 결과, $BaSO_4,\;BaCO_3,\;CaCO_3$의 침전 생성물의 양은 대조군의 증류수에 비하여 자화수에서 각각 약 3.6%, 3.8%, 4.4% 씩 증가되었으며, 석고의 최종 경화시간은 대조군의 증류수에 비하여 자화수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므로 자화수가 석고의 가수 경화속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조군의 증류수에 비하여 자화수는 물분자가 치밀하게 구조화되어서 수많은 cluster들을 형성함으로서 물분자 사이의 결합 및 반응력이 증가되며, $Ba^{2+}$ 또는 $Ca^{2+}$ 같은 염류들에 대하여 특징적으로 반응해 침전반응 속도와 가수 경화 반응 속도가 증가된 것으로 추측된다.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Nanoporous Carbons for Energy Application Potentials

  • Kaneko, Katsumi;Arai, Miki;Yamamoto, Masahiro;Ohba, Tomonori;Miyamoto, Jun-Ichi;Kim, Dong-Young;Tao, Yousheng;Yang, Cheol-Min;Urita, Kouki;Fujimori, Toshihiko;Tanaka, Hideki;Ohkubo, Takahiro;Utsumi, Shigenori;Hattori, Yoshiyuki;Konishi, Takehisa;Fujikawa, Takashi;Kanoh, Hirofumi;Yudasaka, Masakao;Hata, Kenji;Yumura, Motoo;Iijima, Sumio;Muramatsu, Hiroyuki;Hayashi, Takuya;Kim, Yoong-Ahm;Endo, Morinobu
    • Carbon letters
    • /
    • 제10권3호
    • /
    • pp.177-180
    • /
    • 2009
  • The importance of nanopore structures of carbons is shown in terms of interaction potential for various molecules including supercritical gases such as $H_2$ and $CH_4$. The key factors for adsorption of supercritical $H_2$ and $CH_4$ are shown for single wall carbon nanohorn, single wall carbon nanotube, and double wall carbon nanotube. The cluster formation of molecules is a key process for water adsorption on hydrophobic carbon nanopores. The X-ray absorption spectroscopic examination elucidates an explicit dehydration structure of ions confined in carbon nanopores.

갈수기와 홍수기의 김해 딴섬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or Dry and Rainy Seasons in Ddan-sum Island)

  • 김규범;전항탁;신선호;박준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31-44
    • /
    • 2012
  • 김해 딴섬 지역 지하수는 갈수기와 홍수기의 계절에 따른 지구화학 특성의 변화를 보인다. 농번기인 4월의 이온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Fe^{2+}$, Fe(total), $Mn^{2+}$, $Ca^{2+}$, $Mg^{2+}$, $SiO_2$, ${HCO_3}^-$${NO_3}^-$는 딴섬의 중앙부에서 높고 $Na^+$$K^+$는 딴섬 중앙부가 낮은값을 보이는데 높은 ${HCO_3}^-$${NO_3}^-$는 딸기 재배용 비료에 의한 오염을 지시한다. 4월에 비하여 8월의 이온 농도의 지역별 편차가 적고 비료 등에 의한 인위적인 영향이 적어 강우에 의한 계절적 요인이 나타난다. 지하수의 수질 유형을 보면, 딴섬 중앙부는 함양 특성을 부분적으로 보이며 외곽부는 하천수와 상호 혼합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Fe 및 Mn 이온 종에 대한 포화지수 계산결과, Fe의 광물종인 적철석, 침철석은 모두 과포화상태에 있어서 침전 가능한 상태이며, 능철석과 $Fe(OH)_3$, 일부는 불포화 상태로써 용존 이온상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Mn의 광물종인 능망간석은 불포화상태 및 과포화상태가 공존하며, 수망간석, 연망간석 및 수산화망 간석은 불포화상태로써 용존 이온 상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된 PM2.5 농도와 이온조성 (Mass Concentration and Ionic Composition of PM2.5 Observ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황길영;이미혜;신범철;이강웅;이재학;심재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1-511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fine aerosol $(PM_{2.5})$ obtain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hich lies between the eastern part of China and the south western part of Korea. The average mass concentration of $PM_{2.5}$ was $21.5{\pm}17.0{\mu}g/m^3$ during June $2004{\sim}June 2006$. Th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winter $(34.8{\mu}g/m^3)$ and lowest in summer $(16.5{\mu}g/m^3)$. Water soluble ions were measured for samples collected from December 2004 to September 2005. Among them, $SO_4^{2-}\;and\;NH_4^+$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accounted for 32.2% and 14.2% of the $PM_{2.5}$ mass, respectively. The mass fraction of $SO_4^{2-}$ was higher in winter (42%) than in spring (26%). Nitrate concentration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sulfate due mainly to evaporation during sampling period. The cluster analysis of backward airmass trajectories showed that the high mass loadings $(26.9{\mu}g/m^3\;on\;average)$ were associated with air originating inland China. Also, the seasonal variation of $PM_{2.5}$ mass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westerly winds passing through the western part of China. During the ABC-EAREX2005 (March 2005), $PM_{2.5}$ mass and major ionic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Ieodo, compared with $PM_{2.5}$ measurements at Gosan while they were similar in variation patter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M_{2.5}$ mass and its ionic composition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ere greatly influenced by continental outflows from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