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spray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Influence of Mold Temperature, Lubricant and its Additional Quantity on Compressibility in Warm Compaction

  • Ushirozako, Tsutomu;Yamamoto, Masayuki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195-196
    • /
    • 2006
  • In recent years, demands for sintered ferrous material with higher strength are increasing. To satisfy these demands, studies and commercial use of the die wall lubrication method, the warm compaction method and the combination of both methods are widely carried out to achieve high density. The die wall lubrication warm compaction method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high density by reducing internal lubricant through die wall lubrication, although the method involves several issues such as prolonged cycle time due to lubricant spraying and difficulty in spraying lubricant in the case of compacting with complicated geometry. Meanwhile, the conventional warm compaction method requiring no die wall lubricant application cannot achieve such a high density as in the case of die wall lubrication warm compaction due to higher volume of internal lubricant. However, this report discloses our study result in which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density is exhibited by using a lubricant type with superior dynamic ejection property that can reduce volume of lubricant additive.

  • PDF

Warm spray를 이용한 알루미늄-알루미나 복합 코팅층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ing and Properties of Al-Al2O3 Composite Coating Layer Using Warm Spray Process)

  • 권의표;이종권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374-380
    • /
    • 2017
  • Properties of coatings produced by warm spra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tilize this technique as a repair method for Al tire molds. $Al-(0-10%)Al_2O_3$ composite powder was sprayed on Al substrate by warm spraying, and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were investigated. For comparative study, the properties of the coating produced by plasma spray, which is a relatively high-temperature spraying process, were also investigated. The composite coating layers produced by the two spray techniques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t morphology, perhaps due to their different process temperatures and velocities of particles. Whereas the $Al_2O_3$ particles in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 maintained their initial shape before the spray, flattened and irregular shape $Al_2O_3$ particles were distributed in the plasma sprayed coating layer. The coating layer produced by warm spra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 strength compared to that produced by plasma spray. Hardness was also higher in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 compared to the plasma sprayed one. Moreover, with increasing the fraction of $Al_2O_3$, hardness gradually increased in both spray coating processes. In conclusion, an $Al-Al_2O_3$ composite coating layer with good mechanical properties was successfully produced by warm spray.

Warm Spray 공정과 Cu-Ga 및 Cu-In 혼합 분말을 이용한 CGI계 복합 코팅층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ing and Properties of CGI-based Composite Coating Layer Utilizing a Warm Spray Process and Cu-Ga and Cu-In Mixed Powders)

  • 전민광;이명주;김형준;이기안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9-234
    • /
    • 2014
  • This study manufactured a CIG-based composite coating layer utilizing a new warm spray process, and a mixed powder of Cu-20at.%Ga and Cu-20at.%In. In order to obtain the mixed powder with desired composition, the Cu-20at.%Ga and Cu-20at.%In powders were mixed with a 7:1 ratio. The mixed powder ha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5.4{\mu}m$.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warm spray process, a CIG-based composite coating layer of $180{\mu}m$ thickness could be manufactured on a pure Al matrix.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and phase,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 underwent XRD, SEM/EDS and EMPA analyses. In addition,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an annealing heat treatment was conducted at temperatures of $200^{\circ}C$, $400^{\circ}C$ and $600^{\circ}C$ for 1 hour each. The microstructure analysis identified ${\alpha}$-Cu, $Cu_4In$ and $Cu_3Ga$ phases in the early mixed powder, while $Cu_4In$ disappeared, and additional $Cu_9In_4$ and $Cu_9Ga_4$ phases were identified in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 Porosity after annealing heat treatment reduced from 0.75% (warm sprayed coating layer) to 0.6% (after $600^{\circ}C/1hr$. heat treatment), and hardness reduced from 288 Hv to 190 Hv. No significant phase changes were found after annealing heat treatment.

비조질강 온간단조를 위한 공정검토 (Study of Warm Forging Process for Non-Heat-Treated Steel)

  • 박종수;강정대;이영선;이정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C
    • /
    • pp.525-530
    • /
    • 2001
  • As a part of efforts to examine feasibility of warm forging near-net-shape process for non-heat-treated steel to replace quenched and tempered S45C steel, the optimized process condition has been determined to be $820^{\circ}C$ for heating, 10/sec for strain rate of forging and approximately 250MPa for flow stress from observed results such as the $A_{3}$ transformation temperature of about $790^{\circ}C$, the fully dynamic recrystallized behavior between $800^{\circ}C\;and\;850^{\circ}C$ when compressed up to 63% engineering strain at 10/sec strain rate, and the high temperature microsturctural stability. Also, controlled cooling rate of $6.3^{\circ}C/sec$ by water-spraying at a rate of $0.10cc/sec-cm^{2}$ for 60seconds followed by air-cooling right after forging process has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as a feasible approach based on examination of the microsturcture of mixed ${\alpha}-ferrite$ and pearlite, the hardness and tensile properties meeting specification, and the reduced total cooling time to room temperature. Successive works would be carried out for the impact strength, machinalility, and forgeability at this process in the near future.

  • PDF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용 도입초종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the Highway Cut-slopes)

  • 우보명;오구균;김봉년;조영채;전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2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996 to November 1997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highway cut-slopes. The number of revegetation measures type surveyed were fourteen such as seed-spraying measures, block-sod pitching measures, and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 The introduced species for revegetation measures were mostly Festuca arundinancea(cool season grass), Eragrostic curvula(warm season grass), Lolium perenne(cool season grass), Dactylis glomerata(cool season grass), Poa pratensia(cool season gras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upper part on highway cut-slopes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middle part and lower part. The growth of introduced species was good on north-facing cut-slope than the others and that was flourish in temperate north forest zone. Also, the introduced species seemed to decrease or disappear, while the ratio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which were in mature stage seemed to increase.

  • PDF

FOG SYSTEM 을 이용한 여름철 온실냉방 (Greenhouse Cooling by Fog System)

  • 서원명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0-7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underirable warm greenhouse environment by fog cooling system in summer season. The resultsof droplet size analysis and cooling effects for fog cooling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t the pump pressure of 70kgf/$\textrm{cm}^2$ , the mean (SMD) drop size was 22.6${\mu}{\textrm}{m}$ and the maximum and minimum drop size was 45.68${\mu}{\textrm}{m}$ and 1.73${\mu}{\textrm}{m}$ , respectively, and almost all of the drop size was less than 40${\mu}{\textrm}{m}$. 2. The temperature of fog cooling greenhouse with 60% shading was dropped more than 2$^{\circ}C$ below the ambient temperature , while the greenhouse temperature without shading was 1$^{\circ}C$ hig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3. It was found that fog spraying interval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cooling effect. 4. When the greenhouse was ventilated sufficiently by natural vent system, green house temperature could be maintained by 2.5$^{\circ}C$ low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while it was difficult to drop the greenhouse temperature below ambient temeperature without sufficient ventilation. 5.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of experimental greenhouse could be maintained 3$^{\circ}C$ to 14$^{\circ}C$ lower that of control greenhouse though there were variations depending on experimental and weather conditions.

  • PDF

Residues of Diazinon in Growing Chinese cabbage: A study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Khay, Sathya;El-Aty, A.M. Abd;Lim, Kye-Taek;Shim, Jae-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06
  •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has long been consumed as a staple food for Koreans in various forms of fresh, salted, and fermented Kimchi. Cultivation of the crop under greenhouse has become a general practices to fulfill its off-seasonal consumer's demand. However, agricultural practices of the crop have always accompanied with heavy applications of pesticides caused by severe outbreaks of diseases and pose under warm and humid circumferences. Since dissipation patterns of pesticide residues in/on the crop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t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pen-air, changes of diazinon, O,O-diethyl O-2-isopropyl-6-methylpyrimidin-4-yl phosphornthioate, in/on the Chinese cabbage applied by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were studied. Diazinon 34% EC was applied with dilution of recommended and double dose to the crop. The shoots of crop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this applica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over a 10-day. After sample preparations, the diazinon residue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Initially deposited amount of the chemical in/on the crop right after applications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s were 8.3 and 15.2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after 10 days of application were 0.03 and 0.09 mg/kg with 1.3 and 1.5 days of half-life in/on the crop, respectively. In consequent 10 days of pre-harvest interval (PHI) for diazinon EC formulation in/on Chinese cabbage under greenhouse condition was fulfill maximum residue level set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0.1 mg/kg).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A Research Review for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s of the Highly Invasive Cordgrass (Spartina spp.))

  • 김진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11-125
    • /
    • 2016
  •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Spartina속의 외래식물인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 Smooth cordgrass)과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Common cordgrass)을 생태계 교란식물로 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 연구사례를 잘 검토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대책(적극적인 제거방안 및 확산 방지)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artina속 식물은 종자와 근경을 통한 강한 번식력과 전파력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적응, 생장하는 식물이지만 저염도의 습지(low-salinity marshes) 및 갯벌(mudflats)에서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Spartina속 식물의 관리를 위해서 그동안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시도되어 왔는데 현재 예초, 파쇄, 잠수처리(flooding), 제초제(glyphosate, imazapyr, fluazifop, haloxyfop) 처리 등이 실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보다 확실한 효과를 거두려면 두가지 이상의 처리를(예, 예초/제초제 처리) 개화기 이전의 이른 생장시기에 실시하도록 하고 이를 3-4년간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초제 경엽처리시에는 물기가 없는 상태의 시간(dry time)이 4-6시간 이상되게 하여야 하고, 바람이 불지 않을 때 살포한다. 잎에 흙이 많이 묻어 있으면 glyphosate 처리를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무엇보다 주의할 것은 제초제저항성 계통의 출현을 예방하기 위해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을 피해야 할 것이다. 한편 Spartina속 식물은 해양 연안의 생태공학적 가치가 충분히 있고, 산업용 바이오 매스로서의 장점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만 잘되면 향후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중요한 바이오 자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Spartina속 식물의 순기능과 역기능 모두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앞으로 계속 진행되어야 하겠다.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온실의 열환경 분석 (Analysis of Greenhouse Thermal Environment by Model Simulation)

  • 서원명;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5-235
    • /
    • 1996
  • 본 연구에서 수행한 Model 시뮬레이션에 의한 열환경 분석 기법은 지역별로 다양한 기상여건 하에서 대상온실의 난방 및 냉방부하를 보다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이나 난방용 시스템의 결정을 비롯한 난방대책을 수립하고, 에너지 이용 전략의 수립이나 계절적인 작부계획 수립, 온실산업용 적지선정 등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적극적인 환경조절 유형을 난방과 냉방의 두 가지로 대별하고, 난방 소요열량 산정을 비롯하여 야간의 보온 커튼효과, Heating Degree-Hour 산정 등 난방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은 동적 모형을 이용하여 시간별, 일별 및 월별로 검토하였으며, 환기를 비롯한 차광, 증발냉각시스템의 효과 분석은 정적모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하절기 지하수와 같은 저온수를 직접 이용하거나 Heat Pump를 통하여 확보될 수 있는 저온수를 이용하여 온실의 피복면에 살수함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온실냉방효과를 검토하는 데는 1.2m$\times$2.4m 크기의 모형온실을 제작하여 기초실험을 수행함으로서 동절기의 수막시스템의 보온효과와 마찬가지로 하절기 냉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온실의 수치 환경모형 중 난방관련 시뮬레이션용 동적 수치모형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충분히 응용될 수 있는 이론모형이다. 이 이론모형이 범용성이 높은 것은 온실 내ㆍ외의 미기상 변화, 특히 난방이나 냉방이 본격적으로 요구되는 기간동안에 온도, 습도, 일사, 풍속 등의 미기상 인자들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실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었고, 다양한 자료에 의해 충분히 검정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진주지역의 어느 특정 기간(1987년)의 시간별 기상자료를 중심으로 온실의 열적 환경변화에 대한 수치모형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아직 수치모형에 의한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한 일부 냉방효과를 검토하는 데는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간과 야간의 설정온도를 달리하고 다단계 변온조절방식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 난방 소요열량은 난방 설정온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간 설정온도에 비하여 야간 설정온도가 난방 소요열량에 예민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야간의 설정온도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기존의 Heating Degree-Hour 자료는 평균 외기온을 중심으로 임의의 설정온도에 대하여 산정된 값이므로 난방 소요열량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수단은 되나 고려되는 기상인자의 제한과 설정온도의 임의성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것처럼 온실 주변의 제반 미기상 인자나 경계조건이 반영됨은 물론 작물의 생육상태 및 구체적인 설정온도까지도 고려하는 동적 수치모형으로 시시각각으로 예측된 실내기온을 중심으로 재배기간 동안의 난방열량을 적산함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기존의 MDH 자료로 난방 설계를 할 경우에는 지나치게 과잉설계 될 가능성이 있다. 3. 산정된 난방 소요열량은 물론 커튼의 보온성능도 월별 기상여건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시뮬레이션에 이용된 커튼의 경우 높은 보온효과를 보임으로서 년 평균 50% 이상의 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동절기 3-4개월의 집중 난방기에 에너지가 크게 절감됨을 발견할 수 있다. 4. 고온기 환기성능은 온실의 구조, 기상조건, 작물의 생육상태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환기율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시뮬레이션에 이용된 두 가지 농가보급형 온실 모두 환기율의 증가에 따른 실내기온의 강하 효과가 환기율이 1회/min 정도를 넘어서면서 급격히 둔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기존에 권장되고 있는 적정 환기율인 1회/min 전후의 환기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합리적임을 확인해 준다. 5. 작물이 성숙된 유리온실에서 외기의 상대습도가 50%인 쾌청한 주간동안 연속적으로 1회/min로 환기를 시킬 경우 실내기온 36.5$^{\circ}C$의 대조구에 비한 온도강하는 50% 차광만 했을 시 2.6$^{\circ}C$이고 효율 80%의 Pad & Fan 시스템만 작동시 6.1$^{\circ}C$ 정도이며, 차광과 냉각시스템을 동시에 작동시는 약 8.6$^{\circ}C$로서 외기온보다 3.3$^{\circ}C$가 낮은 28$^{\circ}C$까지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으나, 동일 조건하에서 외기의 상대습도가 80%로 높은 경우에는 Pad & Fan시스템에 의한 온도강하가 2.4$^{\circ}C$에 불과하여 50% 차광하에서도 외기온 이하로 실내온도를 낮출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6. 하절기 3개월(6/1-8/31)동안 Pad & Fan 시스템의 냉방효과($\Delta$T)는 설정된 작동 온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본 시뮬레이션에서 설정한 시스템의 작동 온도 27$^{\circ}C$에서 상대습도와의 상관관계는 대략 다음과 같았다: $\Delta$T= -0.077RH+7.7 7. 전형적인 하절기 주간기상 하에서 경시적 냉방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기만으로는 실내기온을 외기온 보다 5$^{\circ}C$ 높게 유지하는 정도가 고작이고, 차광이나 증발식 냉방시스템 만으로는 작물이 성숙한 단계에서조차도 외기온 이하로 떨어뜨리기가 어려우나 차광과 아울러 증발식 냉방을 병행할 경우에는 작물상태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실내기온을 외기온보다 2.0-2.3$^{\circ}C$ 낮게 유지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8. 일사가 차단된 27.5-28.5$^{\circ}C$의 외기온하에서 6.5-8.5$^{\circ}C$의 냉수를 온실 바닥면적 1$m^2$당 1.3 liter/min의 유량으로 온실표면에 살수했을 때 실내기온을 외기온보다 1$0^{\circ}C$ 낮은 16.5-18.$0^{\circ}C$ 정도로 낮출 수 있었다. 앞으로 살수 수온(T$_{w}$ )이나 외기온(T$_{o}$ ) 뿐만아니라 살수율(Q)에 따라 온실기온 (T$_{g}$ )에 미치는 상관 관계 T$_{g}$ = f(T$_{w}$ , Q, T$_{o}$ )를 구명하여 지하수 자체 또는 Heat Pump를 이용한 지하수온 이하의 냉수로 온실냉방의 가능성을 구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