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z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배려와 다문화 평등교육의 탐색: 왈쩌와 나딩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ing and Multicultural Equality Education: Discussion with Walzer and Noddings)

  • 문정애
    • 교육철학
    • /
    • 제58호
    • /
    • pp.33-56
    • /
    • 2016
  • Multicultural education is what educates the comprehension about social structure, social criticism, and an ideology of participatory democracy. A discussion about equality education based on the ethic of equal caring so that individual life is in harmony with communal life has very important meaning to actualize the equality of multicultural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caring in education' as care community which takes care of self and the inner circle as well as provides care of others. I analyze Walzer's concept of Complex Equality that criticizes the social alchemy in which man possesses various social goods through the possession of one good, namely the dominant good. Next, I discuss Noddings's caring in education which examin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that caring in education can be the new curriculum that every student is able to pursue excellence.

공정사회의 광장과 밀실 (Public and Private Spheres of 'Fair Society')

  • 이재정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303-325
    • /
    • 2011
  • 최근 우리사회에 화두로 떠오른 '공정사회'를 왈쩌(Walzer)의 '분리의 기술'이란 관점에서 분석해내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의 현실을 진단하여 공정사회로 가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과제다. 먼저 '분리의 기술'이 그리는 공정사회가 어떤 모습인지 이론적으로 파악한다. 분리된 광장들과 밀실의 내적 원리 그리고 이들 영역들의 외적 상호관계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공정사회에 비추어진 한국의 현실은 '전체주의로의 역행'이라기보다 밀실의 부당한 광장침투와 왜곡의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진단된다. 이에 따라 공정사회 실현을 위한 첫 단추로 사정(司正)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자유주의적 환경론과 환경정의 (Liberal Environmental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71-693
    • /
    • 2005
  • 이 논문은 현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바탕을 이루고 있는 자유주의적 이론에서 제시되거나 또는 함의된 환경론을 고찰하고, 특히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하고자 한다. 우선 포괄적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견해에서 이해되는 환경론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보다 심층적으로 로크 등의 근대 사상가로부터 시작되는 고전적 자유주의와 여기서 분화된 자유지상주의, 공리주의를 환경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자유주의에 근거한 다원주의 및 이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적 다원주의들, 특히 공동체주의, 포스트모던 다원주의, 그리고 문화적 다원주의 등을 자유주의의 한계 극복과 환경(정의)론의 구축과 관련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환경정의에 관한 바람직한 개념화와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위하여 최소한 자유주의(자유주의적 다원주의를 포함)에서 비판적 다원주의로 관심을 전환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