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nut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호도와 잣기름중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에 관하여 (On the Compsition of Triglyceride in the Oil of Walnut and Pine-nuts)

  • 김영호;차월석;김종수;류성렬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41-345
    • /
    • 1990
  • 잣기름과 호도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의 Tri-analysis column을 사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기름중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은 총 14종이 함유되었으며 탄소수별로 확인된 종류가 10종이고, 미확인수는 4종이고, 그 포함 순서는 $C_{52}=31.55%,\;C_{44}=20.72%,\;C_{54}=17.52%,\;C_{34}=15.24%,\;C_{56}=12.50%$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2. 호도기름중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은 총 12종이 함유되어 있으며 탄소수별로 확인된 종류가 10종이고, 미확인된 종류는 2종이고, 그 포함 순서는 $C_{44}=38.66%,\;C_{52}=29.47%,\;C_{54}=16.53%,\;C_{34}=11.12%,\;C_{50}=1.51%$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 PDF

Ultrastructure of the Epiphytic Sooty Mold Capnodium on Walnut Leaves

  • Kim, Ki Woo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4-14
    • /
    • 2015
  • Cellular aspects of sooty mold on walnut leav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 black coating developed on the adaxial leaf surface of a walnut tree. No infestations were found on the abaxial leaf surface with peltate glandular trichomes. Light microscopy showed that fungal complexes from the leaf surface were composed of brown conidia and hyphae. Conidia,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pta, were variable in length ranging from 10 to $30{\mu}m$, and commonly found in clusters, forming microsclerotia. Neither epidermal penetration nor hyphal entrance to host tissues was observ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ungal complexes were assumed to be Capnodium species. An electron-dense melanized layer was present on the cell wall of multi-celled conidia. Concentric bodies in the fungal cytoplasm had an electron-translucent core surrounded by an electron-dense margin with a fibrillar sheath. Chloroplasts without starch granules in the palisade mesophyll cells of sooty leaves had electron-dense stromata and swollen plastoglob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piphytic growth of fungal complexes can be attributed to the melanized layer and concentric bodies against a water-deficient environment on the leaf surfac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ty leaves indicate typical features of dark-adapted and non-photosynthetic shade leaves.

  • PDF

The Production of Xylitol by Enzymatic Hydrolysis of Agricultural Wastes

  • Tran, Lien-Ha;Masanori Yogo;Hiroshi Ojima;Osamu Idota;Keiichi Kawai;Tohru Suzuki;Kazuhiro Takamizawa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3호
    • /
    • pp.223-228
    • /
    • 2004
  • Agricultural waste products, beech wood and walnut shells, were hydrolyzed at 40$^{\circ}C$ using mixed crude enzymes produced by Penicillium sp. AHT-1 and Rhizomucor pusillus HHT-1. D-xylose, 4.1 g and 15.1 g was produced from the hydrolysis of 100 g of beech wood and walnut shells, respectively. For xylitol production, Candida tropicalis IFO0618 and the waste product hydrolyzed solutions were used. The effects on xylitol production, of adding glucose as a NADPH source, D-xylose and yeast extract, were examined. Finally, a 50% yield of xylitol was obtained by using the beech wood hydrolyzed solution with the addition of 1% yeast extract and 1% glucose at an initial concentration.

견과류의 지방산, 트리아실글리세롤, 토코페롤 및 파이토스테롤의 조성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 of Triacylglycerol Specie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from the Selected Nuts)

  • 성민혜;류현경;이선모;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6-383
    • /
    • 2010
  • 견과류 중 sunflower seed, cashew nut, walnut, pistachio, pumpkin seed, ginkgo, hazel nut, pecan을 원료로 하여 지방산 조성 분석 및 sn-2 position 분석, triacylglycerol species의 분석, tocopherol,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hazel nut에서 약 39.60 wt%로 가장 높았으며, walnut 35.25 wt%, pistachio 30.22 wt% 등의 순이었다. GC에 의한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oleic acid의 함량이 많은 견과류는 cashew nut, pistachio, hazel nut, pecan 이였으며, 특히 ginkgo의 경우 특이적으로 oleic acid의 이성체인 vaccenic acid가 10.72 wt%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linoleic acid 등이 높은 견과류는 sunflower seed, walnut, pumpkin seed 이었다. 견과류들의 TAG species의 PN값은 40∼52 사이에 존재하였다. Tocopherol의 함량은 ginkgo, sunflower seed, pumpkin seed 등에서 각각 48.57, 38.35, 31.43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phytosterol의 경우 88.60∼947.20 mg/100 g 사이에 함량을 나타내었다.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Arthropod Diversity in Walnut Orchards)

  • 정종국;이효석;이승규;고상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1-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두나무 재배지에 대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주요 해충과 천적의 종류 조사를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조사방법(털어잡기, 깔때기트랩 및 함정트랩)에 따른 다양성 및 군집구조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김천시, 부여군 및 화성시에서 호두나무 재배 농가 1곳씩을 선정하였고,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8종 4,372개체의 절지동물이 채집되었고, 이중 전체 조사지역에서 채집된 종은 63종이었다. 깔때기트랩에서 가장 다양하게 절지동물이 채집되었으며, 함정트랩에서 가장 많은 절지동물이 채집되었다. 또한 깔때기트랩과 털어잡기에 의해 채집된 종 구성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로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복숭아명나방, 뽕나무깍지벌레, 호두나무잎벌레,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및 갈색날개매미충이 잠재적으로 중요한 해충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외에도 다수의 포식성 및 기생성 절지동물들이 확인되었고, 이들에 대한 정보들은 향후 호두나무 포장의 관리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RAPD를 이용한 Pecan 품종의 유전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ednes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in Pecan Taxa)

  • 신동영;김회택;박종인;노일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0
  • 재배되고 있는 22 페칸종간의 RAPD분석을 한 결과, Agarose gel상에서 primer당 평균 6개의 DNA단편이 증폭되었다.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 는 100bp에서 1500bp의 범위에 위치하였다. 페칸종간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한 결과 OPA-02, OPA-10, OPA-12, OPB-01이 최적이었다.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한 PCR산물을 1.5% Agarose gel상에 분획하여 단편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22의 페칸종은 5개의 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40종 primer로부터 증폭된 466 DNA단편을 기초로하여 유전적 근연계수를 계산하였던 결과 유사도 값이 가장큰 것은 C. flacra와 Black walnut로 0.90를 나타났으며, Kiowa와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에는 유사도 값이 0.31로 가장 작았다. 선발된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PCR산물을 Polyacrylamide gel상에 분획한 후 검출된 DNA단편을 분석하였다. 유사도 값이 가장 큰 것은 그룹 V의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으로 1.0이었고, Farley와 Pawnee간과 Sturya와 Clarke간은 공히 0.98를 나타내었다. Polyacrylamide gel분획 후 은염색하여 단편을 검출하는 것은 Agarose gel에 비하여 시간, 기술, 경비가 요구되지만 보다 정확한 유전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Agarose gel 분석, Polyacrylamide gel 분석 및 주성분 분석법에서 Farle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 C. corpiformis만이 동일 그룹에서 이탈되지 않았다.

  • PDF

호두나무 포장 내 복숭아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과 굴피가는나방(나비목: 가는나방과)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 피해 (Fruit and Leaf Damage by Conogethes punctiferalis (Lepidoptera: Crambidae) and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Walnut Orchards)

  • 정종국;권혁준;김황;김현선;서상태;고상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38
    • /
    • 2018
  •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매와 잎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2017년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포장에서 복숭아명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피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김천, 부여, 영동 및 화성의 포장 내에서 2종의 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의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부여 포장 내 호두열매의 피해율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피해율은 늦여름에 가장 높았다. 호두열매의 최종 피해율은 부여, 김천 및 화성에서 각각 22.1%, 20.5%, 11.7%로 조사되었다.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성목의 신초 가지(평균 11.2%)에 비해 묘목의 신초 가지(평균 58.5%)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열매와 잎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도죽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 전정희;윤재영;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09-518
    • /
    • 1998
  • 호도죽의 기호도 조사와 모델로 선정한 호도죽의 농도, 호도 첨가량에 따른 호도죽의 특성을 Viskograph에 의한 호화도 측정과 관능평가를 통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기호도 조사 결과, 호도죽은 현재 인지도와 섭취율이 낮으나 별미식, 치료식, 이유식등의 즉석식품으로 개발된다면 섭취율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2. 죽의 재료로 쌀을 갈아 즉석에서 죽을 쑤는 경우와 찰가루로 죽을 쑤는 경우가 있는데, 쌀을 갈아쓴 경우는 죽의 점성이 낮고 노화도가 컸으며, 쌀가루를 사용할 경우는 점성이 높고 노화가 늦게 일어났다. 쌀가루를 수화한 후 사용하면 점성이 보다 높았다. 쌀가루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호화 개시 온도가 낮았으며 점성이 약간 높았다. 3. 호도죽은 흰죽보다 호화 개시 온도가 낮고 호화개시 시간도 앞서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고 점도도 낮아지는 양상을 볼 수 있었으며 노화정도도 낮았다. 호도죽에서 물의 첨가량을 달리했을 때 물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정한 물의 수준에서 호도 첨가량을 달리한 죽의 호화도 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호도죽의 농도와 호도량에 따른 호도죽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적 특성으로는 고소한 향, 느끼한 향. 색, 점도, 고소한 맛, 느끼한 맛, 전체 기호도를 보아 쌀가루와 호도첨가량의 부피비가 1:1이었을때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다. 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경우 호도죽의 특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p<0.05), 쌀가루와 물의 비율은 1:6이 적합하였다. 이 결과, 호도죽을 만들때 쌀가루를 사용하면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호도죽의 관능적 특성에는 물의 첨가량 변화보다 호도 첨가량이 보다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호도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기름의 느끼한 풍미와 고소한 풍미는 호도죽의 관능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 견과류죽인 호도죽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 및 관심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여러종류의 죽의 특성을 연구하여 전통죽의 다양한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어져야겠다.

  • PDF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수준을 달리한 호두 빵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alnut Bread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 강남이;김혜영;이인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0-2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을 0%, 10%, 20% 및 30%로 하여 호두 빵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검사, 관능검사 및 기호도 검사를 통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10% 시료군과 대조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수분함량은 난소화성 전분을 대체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성된 빵의 부피는 대조군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10%와 20% 시료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밝은 정도는 난소화성 전분을 대체한 비율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빵의 경도는 10%와 2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빵의 검성과 깨짐성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대조군과 30% 시료군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빵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고소한 맛은 대조군이 가장 특성이 강하게 평가되었고 떫은맛은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의 대체비율이 높아질수록 떫은맛이 강해지므로 향후 떫은맛을 개선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빵의 질긴 정도는 10%와 2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부드럽게 평가되었다. 빵 내부의 조밀성은 대조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30% 시료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기호도 검사 결과 조직감의 기호도는 10% 시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난소화성 전분으로 10%와 20%로 대체된 빵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두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Analysis of Production Cost of Walnut Tree Cultivation in Major Cultivating Regions)

  • 김재성;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11-617
    • /
    • 2010
  • 본 연구는 호두나무 재배의 생산비를 파악하기 위해 호두나무 재배임가 163호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호두나무 재배 임가는 평균 0.7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식재 본수는 ha당 평균 204본으로 표준식재 본수(100본) 대비 밀식재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충북지역 상촌 65.7%, 충남지역 광덕 68.6%, 전북지역 상촌 98.0%, 경북지역 대부 61.2%를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었다. 호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생산비용은 조성비(292천원/ha), 중간재비(3,682천원/ha), 임차료(103천원/ha), 고용노동비(653천원/ha) 등의 경영비용(4,436천원/ha)과 내급비에 자가노동비(5,834천원)/ha, 토지용역비(490천원/ha), 고정자본용역비(834천원/ha), 유동자본용역비(234천원/ha) 등으로 구분된다. 호두 생산비용으로 총 11,828천원을 투입하여 평균 11,586천원/ha(소득률 72.3%)의 소득을 올렸으며, 순수익은 4,196천원/ha(순수익률 26.2%)을 나타내 높은 소득액을 나타냈다. 생산된 호두의 판매는 농협 39.8%, 도매상 20.8%, 수집상 19.8% 등에 판매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18.9%에 달하였다. 호두나무는 유휴토지의 활용 차원에서 재배면적이 소규모이며, 겸업적 경영을 하는 특성으로 지역별 생산정책 및 산업육성대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업 임가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수입산 호두와의 차별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발전된 새로운 유통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임가의 가계소득 증가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