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roduction Cost of Walnut Tree Cultivation in Major Cultivating Regions

호두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 Kim, Jae-Sung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재성 (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연구과)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08.12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current studies aim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cost of walnut tree cultivation and its object was targeted at walnut tree cultivating household region 163. The analysis is as follows. Our domestic walnut tree cultivating households averagely have cultivated about 0.7ha, and planting number per ha was averagely 204, and it showed that compared to the standard planting number (100), the plantation was done close planted. The most cultivar cultivated according to regions were Chungbuk region: sangchon 65.7%, Chungnam region: kwangduk 68.6%, Jeonbuk region: sangchon 98.0%, Gyeongbuk region: daeboo 61.2%. The production cost for cultivating walnut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management cost(4436 thousand won/ha) such as manufacturing cost(292 thousand won/ha), intermediate material cost(3682 thousand won/ha), rent(103 thousand won/ha), employment cost(653 thousand won/ha) etc, and self-serviced expenses such as self-laboring cost(5,834 thousand won/ha), land security cost(490 thousand won/ha), fixed capital cost(834 thousand won/ha), circulating capital cost(234 thousand won/ha) etc. 11,820 thousand won were invested for the production cost of walnut and it made 11,586 thousand won/ha(rate of investment 72.3%) profit, and the net income was 4,196 thousand won/ha(net income rate 26.2%), showing high amount of income. The manufactured walnuts were marketed in Nong-hyup 39.8%, wholesalers 20.8%, dealers 19.8% and recently, as the amount of goods marketed directly to consumers themselves have increased, the income has reached up to 18.9%. At the basis of making most of idle soil, walnut tree's cultivated regions are fairly small,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ideline management, it has its limits in searching for production policy locally and promotion strategy of industries. Therefore, if the basic database can be established, subjected only to full-time cultivating households, then not only woul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ed walnuts be reinforced,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transfer into the new and improved distribution system. Furthermore,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it can be anticipated that it would contribute greatly in the increase of the household income.

본 연구는 호두나무 재배의 생산비를 파악하기 위해 호두나무 재배임가 163호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호두나무 재배 임가는 평균 0.7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식재 본수는 ha당 평균 204본으로 표준식재 본수(100본) 대비 밀식재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충북지역 상촌 65.7%, 충남지역 광덕 68.6%, 전북지역 상촌 98.0%, 경북지역 대부 61.2%를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었다. 호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생산비용은 조성비(292천원/ha), 중간재비(3,682천원/ha), 임차료(103천원/ha), 고용노동비(653천원/ha) 등의 경영비용(4,436천원/ha)과 내급비에 자가노동비(5,834천원)/ha, 토지용역비(490천원/ha), 고정자본용역비(834천원/ha), 유동자본용역비(234천원/ha) 등으로 구분된다. 호두 생산비용으로 총 11,828천원을 투입하여 평균 11,586천원/ha(소득률 72.3%)의 소득을 올렸으며, 순수익은 4,196천원/ha(순수익률 26.2%)을 나타내 높은 소득액을 나타냈다. 생산된 호두의 판매는 농협 39.8%, 도매상 20.8%, 수집상 19.8% 등에 판매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18.9%에 달하였다. 호두나무는 유휴토지의 활용 차원에서 재배면적이 소규모이며, 겸업적 경영을 하는 특성으로 지역별 생산정책 및 산업육성대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업 임가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수입산 호두와의 차별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발전된 새로운 유통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임가의 가계소득 증가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무, 송경환. 2004.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소비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2(3): 265-278.
  2. 김의경외 6인, 1999. 주요 임산물의 산지유통체계 및 표준화 등에 관한 연구. 산림청.
  3. 김재성, 김외정. 1995. 단기임산소득작목 경제성 분석. 산림과학논문집 52: 87-93.
  4. 김재성, 김의경. 1999. 주요 산과실류의 경제성 분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논문집 60: 54-65.
  5. 김재성, 이 욱. 2009. 밤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504-511.
  6. 김형모. 1989. 한-중 농산물 교역전망과 수출경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39: 306-418.
  8. 산림청. 2010. 2009년 임산물 생산비 통계. pp. 50-64.
  9. 전상돈, 조응혁. 1990. 호도의 유통체계에 관한 연구-천안군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79(2): 187-195.
  10. 최지현, 이계임. 2001. 주요 농축산물 안정성의 효율적 관리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424. pp.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