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Transportation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2초

중년여성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Status and Type of Health Managemen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 정명실;김연하;임경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0-25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ealth status and types of health managemen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88 participants was recruited from health centers in S c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3 program. Result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current health status (${\beta}=-0.55$, p<.001), no caregiver (${\beta}=0.47$, p<.001), chronic diseases lasting more than three months (${\beta}=0.36$,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compared to peer group (${\beta}=0.32$, p<.001), walking for health (${\beta}=-0.20$, p=.002), caregiver except family (${\beta}=0.18$, p=.001),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beta}=0.10$, p=.022) influence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Overall, approximately 69.7% of total variance explained this model (adjusted $R^2=0.678$, F=57.21, p<.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include various health management methods and strengthen the health care with the help of families and neighbors in order to manage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열차스케줄을 고려한 도시철도 이용객의 통행행태 추정 (수입금 정산사례를 중심으로) (Railway Timetable Considering Optimal Path Finding Method in Rail Network (Focused on Revenue Allocation))

  • 이창훈;신성일;김시곤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49-156
    • /
    • 2015
  • 도시철도 승객의 수입금 정산 배분을 위하여 승객의 경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승객의 예상 이동경로를 파악을 위해 다양한 경로탐색기법들이 있지만, 링크기반 k-경로탐색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k-경로탐색기법은 통행 및 도보시간, 환승 패널티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한 최적경로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급행열차를 선호하는 승객의 특성, 열차의 특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위하여 교통카드자료를 기반으로 실제로 이용한 하나의 경로를 탐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철도운영기관의 열차스케줄을 연계하여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근린의 토지이용과 대중교통시설 보행접근성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대상으로 (Impacts of Neighborhood's Land Use and Transit Accessibility on Residents' Commuting Trips - A Case study of Seoul)

  • 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593-4601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근린의 토지이용과 대중교통시설 보행접근성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4,071명의 통근통행 자료를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임의절편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린의 주거밀도와 토지이용혼합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보행거리가 짧을수록 통근통행에서 승용차보다 지하철을 이용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하고 대중교통시설의 보행접근성을 높여주는 도시정책은 대중교통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하철역의 보행권 범위를 산정한 결과 약 432~525m로 추정되었다.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평가 (Level of Service Evaluation of Pedestrian Road Using Micro-Simulation)

  • 박순용;조혜림;조가영;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6-36
    • /
    • 2020
  •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하는 평가지표인 보행 교통류율, 점유공간, 밀도, 속도 등의 정량적 자료를 산출하는 것은 많은 시간 소요와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보행자 정책 수립을 위한 대체 대안으로 보행자의 미시적 경로 파악과 이를 활용한 서비스 수준 판단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역인 역삼역을 중심으로 미시적 교통류 분석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산 및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용량편람 상의 속도를 활용하여 보행자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해 보았다.

AFC기반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통행지표 정확도 향상 방안 (Accuracy Improvement of the Transport Index in AFC Data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47-255
    • /
    • 2021
  • 수도권 지하철 AFC자료는 승객의 환승정보가 누락되어 있다. AFC자료는 통행수, 통행시간 및 통행거리의 통행지표를 TagIn 단말기ID를 기준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AFC자료는 승객의 실제 통행궤적을 반영하지 못하며, 이는 통행지표 추정의 오류로 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agIn 및 TagOut 단말기ID를 연결하는 통행경로 파악을 통하여 통행지표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승객은 차내시간, 환승보행시간, 배차간격을 고려한 최소통행시간경로를 통행한다고 가정한다. 이 방법은 승객이 이동한 통행궤적을 따라 환승을 반영하기 때문에 승객이 이동한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 운영기관의 통행관련자료가 통행지표에 정확하게 반영된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존 AFC자료보다 1.47배가 증가한 통행을 산정하여 교통정책을 위한 지표산정방안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 장애인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ADL and QoL for the Osteoporosis and Non-osteoporosis in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예순;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compares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QoL)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3,113 persons with disabilities over 65 years of age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7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PWD).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the elderly PWD was 18.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sever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steoporosis (p<0.05). Walking and Transfer of ADL were related to osteoporosis in elderly PWD. Financial management and Transportation use of IADL were related to osteoporosis (p<0.05). The PWD with osteoporosis were analyzed to have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disabled elderly without osteoporosis (p<0.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trategy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managing osteoporosis. Strengthening health management in the elderly PWD is required.

433 MHz 대역 송신기의 인증을 위한 RF 지문 기법 (RF Fingerprinting Scheme for Authenticating 433MHz Band Transmitters)

  • 김영민;이웅섭;김성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69-75
    • /
    • 2023
  • 사물인터넷에 사용되는 소형 통신 기기들은 적은 메모리 용량과 느린 연산 속도 때문에 고급 암호기법을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종 해킹에 취약하다. 본 논문은 433M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소형 송신기들의 인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RF지문을 도입하고 분류 알고리즘으로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을 사용한다. 각 송신기가 전송하는 프리엠블 신호를 소프트웨어정의라디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 집합으로 만들고, 이를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데에 사용한다. 네 가지의 시나리오에서 20개의 송신기의 식별을 테스트한 결과 높은 식별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학습 데이터 수집 시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시나리오에서, 그리고 송신기가 걷는 속도로 이동하는 시나리오에서 각각 95.8%, 92.6%의 정확도를 산출함을 알 수 있었다.

교통약자의 철도역 실내 길안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Route Guidance at Railway Station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신재범;김성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67-178
    • /
    • 2023
  • 철도나 지하철 역사의 경우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역사 내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데, 현재 철도역에서 열차 승차, 환승 등이 복잡하다. 넓은 실내에서 안내는 대부분 표지판, 전광판 등을 통하거나, 안내데스크에서 직접 문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는 신체적 불편, 인지력 저하, 언어 소통의 불편함 등으로 역무원 등과 같이 주변 사람들의 직접적인 도움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활용하던 개별 위치 측위 기법이 아닌 여러 형태의 다중 위치 측위 기법을 결합하는 AI 융·복합 측위 기술을 적용하여 교통약자 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이동 가능한 경로 제공으로 맞춤형 실내 길안내서비스 제공방안을 연구하였다. 이처럼 철도역사 내에서 환승시설 등 복잡하고 넓은 실내 공간에서 교통약자의 보편적 이동편의 제공을 위해서 복잡한 철도역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장애 유형별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용자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 생성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Considering User Access Patterns)

  • 강우진;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9-107
    • /
    • 2023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 박세훈;손동욱;이진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11-120
    • /
    • 2009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공간구조를 자동차 중심형 에너지 다소비형에서 대중교통과 보행을 우선하는 형태로 재편하여 대중교통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에너지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는 미국과 유럽의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로 개발되어 있고 대중교통서비스도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구조로의 발전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선진국의 주요도시들에 비해 대중교통수송분담률이 낮고 도시환경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 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여 토지이용밀도, 토지이용복합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연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로 전환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