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신도시 교육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통학로의 안전성 확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walking safety in newtown schoolzone way)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53-6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eme to provide children safer and more comfortable walking circumstances by survey current walking circumstances of schoolzone ways. A schem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to elementary school in 3 Newtowns(Dongtan, Dongbaek and Gumdan City) and actually surveyed data on school zone, the schem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o avoid pedestrian roads being interrupted and to expend waiting space near schoolzone ways, several measures are needed including fixing roads and building additional gateway. Second, pedestrian crossings in front of school gate should be located at least 30m away from the left side of the gate. Third, to secure pedestrians' safety in school zone ways should be planed and established more security concepts und facilities.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 연구 - 서울시 사대문안 사례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s based on the Criteria of Universal Design Theory - A case study of old town area in Seoul -)

  • 정상윤;손동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17-12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rban built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the walking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 of urban infra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eory. Using the walkability criteria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n Universal design theory and walking environment, the urban built environments in old town area of Seoul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pedestrian infrastructure in the study area had several shortcomings to improve in order to provide walking-friendly environments. First, the pedestrian infrastructur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were severely limited. Second, walking traffics in large portion of the street networks were interrupted by a variety of obstacles such as parked cars, signboards, and illegal street shops. Third, there were certain areas where the quality of pavement was not properly managed.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pedestrian infrastructure in the urban areas. Improvement of pedestrian infrastructure is needed to address the issues related to the mobility of the disabled people. It is also recommended to construct the GIS data on walking environment in order to develop and mange a long-term public investment plan for walking-friendly urban environments.

환경 가변성 보행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Variability of Walking Environment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 이효정;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5-288
    • /
    • 2022
  • 장애물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장애물보행과 평지보행훈련 후 변화를 보기 위해 보행과 균형을 평가하였다. 훈련 전후 보행과 균형에서 장애물보행훈련을 한 실험군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지보행을 한 대조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 군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Selecting Indicators for Safe Pedestrian Environment)

  • 이종남;허준;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13
  • 본 논문은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과제로서, 그동안 차량 중심으로 도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최근 매년 2천명 이상의 보행자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인간중심의 보행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보행권이 심각하게 침해되어 왔다. 보행권은 공공의 안전보장, 질서 유지 및 복리 증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국민이 쾌적한 보행환경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권리로서, 국가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쾌적한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최근 보행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하며 건강한 보행환경 공간 조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보행환경 불량 대상지에 대한 개선사업은 많은 비용이 수반됨에 따라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얻고 그 사업추진의 타당성에 대한 엄격한 사후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보행환경 개선지구 지정의 법적근거는 마련되었으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이라는 목적에 맞는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는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어온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이라는 사업목적에 맞게 사업대상지 선정 시에는 주민설문조사와 역사성을 평가지표에서 제외하고, 보행자 안전성과 보행환경 평가 이외에 보행공간 안전시설과 강풍 등 자연재난 및 잠재적 인적위험에 대한 재난 안전성 평가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보행환경개선에 따른 환승역 보행행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Walking Behavior in Transfer Stations after the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

  • 박지환;오승훈;이종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D호
    • /
    • pp.189-196
    • /
    • 2012
  • 지난 50여 년간 고도의 경제 성장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자동차 증가는 도시 내에서 도로혼잡, 교통사고, 환경오염,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켜, 결국 교통의 주체인 사람이 피해를 보게 되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녹색교통, 특히 보행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 보행 관련시설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행시설이 잘못 설계될 경우, 보행의 쾌적성과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는 기존 지하철 환승역 내에서 조사된 보행자의 움직임을 마이크로하게 추적, 분석하여 보행동선의 문제점을 찾아 대안들을 제시하며, 대안들의 시행 전과 후의 보행환경의 변화를 추정한다. 이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는 유럽에서 통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적용이 미흡한 SimWal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의 이용은 개선 대안의 시행 전에 면밀한 사전 비교 분석을 가능케 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지역 면소재지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5개 지자체의 일반읍·거점면소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Main Street in Rural Area - Focused on General Town and Base Seat of a Myeon Office of 5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

  • 박성진;강인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6-34
    • /
    • 2020
  •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hat improves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main street in rural areas. The main streets of five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general towns and bases seat of a myeon office, we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under investigation required multi-purpose activities on main street.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aintenance of the main street with vehicle-centered maintenance, thereby revising the walking space around essential activities. Second, the simple size of the sidewalk width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it is judged that the pedestrian space should be maintain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loating population, acceptable activities, and proper sidewalk width. Third, the center where pedestrian space and streetscape are maintained has spatial constraints on sidewalks and lanes, so there should be spatial flexibility. Also,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inimize the occupancy of pedestrian roads due to ground parking lots in relation to pedestrian continuity. Fourth,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 should involve community activities other than physical improvement.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for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 Lee, Joohyung;Lee, Kyooil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24-133
    • /
    • 2021
  • Objective: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to walk for the weak, such as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identifying factors that cause obstacles to walking. Design: Data Analysis and Perception Survey.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separately between users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and non-users. A total of 207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analysis analyzed the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AS 9.4. The survey focused on basic information on respondents, walking conditions, understanding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awareness of pedestrian space passage and parking, and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securing pedestrian rights due to new regulations. Results: First, when moving a pedestrian path by personal mobility vehicle, it shall be limited to less than the walking speed of pedestrians. Seco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personal mobility vehicle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edestrian road and the lane. Third, pay a fair price to park in a pedestrian spac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safety of pedestrians in education on how to use personal mobility vehicle.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s)

  • 임삼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47-36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시민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된 서울의 6개 지역을 선정하여 생활도로 보행 시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한 조사 결과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8 표준편차 1.12인 것으로 조사되어 만족도가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보행환경 만족도와 세부항목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행환경 만족도와 상관계수가 높은 세부항목은 보행시 안전성(0.640), 걷고 싶은 느낌(0.603), 보행시 쾌적성(0.601), 산책하거나 대화를 나누기에 적당함(0.586) 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을 중시하면서도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머물기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개념의 생활도로 환경정비 기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주민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능력 향상을 위한 보봐스 접근법 : 개별실험연구 (The Bobath Approach for Walking Improvement o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 노효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3-119
    • /
    • 2008
  • Purpose : In this case report, we demonstrated the improvement of gait ability on the child who has mental retardation with incomplete gait pattern. Methods : The subject was a 4 years old boy with mental retardation. We applied the Bobath approach to the subject. Treatments included to facilitate trunk alignment and stability, and to train weight bearing and shifting, to facilitate pelvis posterior-anterior movement, and to train walk especially stance phase and assist up-down stairs locomotion in environment similar to actual daily life. It was performed 24 sessions for 12 weeks. Results : With this treatment, he could accomplish dynamic standing stability and he could independent walk at the out door after 12 weeks. I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total motor function was improved to 85.6% from 75.7%. Conclusion : The gait ability of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was improved by using the bobath approa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