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sP Engineering

Search Result 12,97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Effects of sheep slaughter age on myogen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 Han, Yunfei;Guo, Wenrui;Su, Rina;Zhang, Yanni;Yang, Le;Borjigin, Gerelt;Duan, Y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4호
    • /
    • pp.614-623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eep slaughter age on myogen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SMSCs). Methods: Primary SMSCs were isolated from hind leg biceps femoris muscles of Wurank lambs (slaughtered at three months, Mth-3) and adults (slaughtered at fifteen months, Mth-15). SMSCs were selected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fluorescence staining. Myogenic regulatory factors (MRF) and myosin heavy chain (MyHC) expressions of SMSCs were analyzed on days 1, 3, 4, and 5. Results: The expressions of myogenic factor 5 (Myf5), myogenic differentiation (MyoD), Myf6, and myogenin (MyoG) in Mth-1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th-15 than in Mth-3 on days 1, 3, and 4 (p<0.05). However, MyoG expression in Mth-15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Mth-3 on day 5 (p<0.05). The expressions of MyHC I, MyHC IIa, and MyHC IIx in Mth-1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th-3 on days 1 and 3 (p<0.05), and MyHC IIb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Mth-3 on days 3 and 4 (p<0.05). In contrast, the expression of MyHC IIx in Mth-15 was significantly lower and MyHC II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th-3 on days 5 (p<0.05). Conclusion: The slaughter age altered the expression of MRFs and MyHCs in SMSCs while differentiation, which caused the variation of myogenic characteristics, and thus may affect the meat quality of Wurank sheep.

Dispersion stability of ultra-fine $BaTiO_3$ suspensions in aqueous medium

  • Chun, M.P.;Chung, Y.B.;Ma, Y.J.;Cho, J.H.;Kim, B.I.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239-243
    • /
    • 2005
  • The effect of pH and particle size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ultra-fine $BaTiO_3$ suspensions in aqueous medium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zeta potential, sediment experiments, and powder properties (particle analysis, specific surface area) etc. Zeta potential as a function of pH for two particles of different size increases from -75 to +10 mV with decreasing pH from 8.5 to 1.4. The curve of zeta potential for small particle (150 nm) has slow slope than that of large particle (900nm), giving IEP (isoelectric point) value of pH=1.6 for small particle and pH=1.9 for large particle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zeta potential with pH fur small particle than large particl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BaTiO_3$ particles in aqueous medium was found to be strongly related with the agglomeration of colloidal suspensions with time through the sedimentation behaviors of colloidal particles with time and pH value.

MBR 공정에서의 인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in the MBR)

  • 최희정;이승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7-204
    • /
    • 2007
  • 이 연구는 EBPR(enhance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의 혐기조건, 호기/무산소 조건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 인의 제거 속도와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인자들을 Batch-test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무산소단계에서 인의 흡수율은 호기 단계보다 50% 정도 낮았고, 인 방출과 인 흡수의 상관관계는 다른 논문들에 비하여 낮았으며, 계수 b는 높았다. Batch-test의 측정 결과 다른 논문들에 비하여 인 방출과 인 흡수의 상관관계$(R^2=0.557)$는 낮았고 계수b (b=8.4049)는 높았다. 또한, 하수에서 인의 중요한 결합 파트너는 Ca, $Mg^{2+}$, Al, Fe 그리고 $K^+$인데 이 실험 결과 칼륨, 마그네슘 그리고 암모니움은 인과 함께 증감함으로써 인의 방출과 흡수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혐기 단계에서 0.2 mol $K^+Ion$ / mol $PO_4-P$ Ion과 0.21 mol $Mg^{2+}Ion$ / mol $PO_4-P$ ion이 측정되어 인에 대한 칼륨 및 마그네슘의 비율은 1 : 5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Polysulfone-Escherichia Coli Biomass Composite Fiber에서 아민기의 메틸화가 염기성 염료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ethylation of Amine Groups on Polysulfone-Escherichia Coli Biomass Composite Fiber for Removal of Basic Dye)

  • 박하늘;최한아;김석;윤영상;원성욱
    • 청정기술
    • /
    • 제21권3호
    • /
    • pp.164-1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polysulfone과 Escherichia coli biomass의 현탁액을 방사하여 입상화한 PS-E. coli biomass composite fiber (PSBF)와 PSBF에 존재하는 아민기를 메틸화시킨 amine-methylated PSBF (AM-PSBF)를 제조하였다. PSBF와 AM-PSBF에 의한 염기성 염료 Basic Blue 3 (BB3)의 흡착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아민기의 메틸화가 BB3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pH edge 실험에서는 두 흡착제 모두 pH가 증가할수록 BB3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일 pH에서 AM-PSBF가 PSBF보다 높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PSBF와 AM-PSBF 모두 흡착평형은 5시간 이내에 도달하였으며, 흡착속도론 실험 데이터는 유사 1차 속도 모델식으로 잘 묘사되었다. 그리고 Langmuir 모델에 따르면, pH 8에서 AM-PSBF의 최대흡착량은 28.9 mg/g로 PSBF의 최대흡착량인 20.7 mg/g보다 약 1.4배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PSBF에서 아민기의 메틸화는 염기성 염료의 흡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탈착실험 결과는 AM-PSBF가 반복적으로 재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나노 자철광의 표면전하에 따른 Poly(acrylic acid) 수화젤의 물성 (Properties of Poly(acrylic acid) Hydrogel by the Surface Charge of Magnetite Nanoparticles)

  • 서동필;강휘원;정창남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12-416
    • /
    • 2006
  • $FeCl_3$$Na_2SO_3,\;NH_4OH$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자철광은 강자성체로 화학 흡착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수산기에 의해 표면전하가 변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oly(acrylic acid) (PAAc) 수화젤의 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특성은 XRD, AFM, FTIR로 측정하였다. 나노 자철광 표면의 제타전위는 pH 변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pH 4 이하에서는 높은(+)전위를 나타내었으며, 등전점은 pH 7에서 확인되었다. pH 4 이하에서 나노 자철광 콜로이드를 PAAc 수화젤에 함유시키면, 강력한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젤의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신율 및 팽윤비는 감소하여 기계적인 물성이 증가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함량에 비례하여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AAc 수화젤의 자기이력은 증가하였다.

엇갈리게 배열된 두 개의 수평관에서 수평 피치-직경비에 따른 자연대류 열전달 영향 (Effect of Horizontal Pitch-to-Diameter Ratio on the Natural-Convection Heat Transfer of Two Staggered Cylinders)

  • 채명선;허정환;정범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3호
    • /
    • pp.259-268
    • /
    • 2012
  • 엇갈리게 배열된 두 개의 수평관의 수직 이격거리($P_v$/D)와 수평 이격거리($P_h$/D)를 변화시키며 자연대류 열전달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열/물질전달의 상사성을 이용하여 물질전달 실험을 수행하였고 난류영역까지 확장하였다. Pr 수 2,014, RaD 수 $1.5{\times}10^8\sim2.5{\times}10^{10}$, $P_v$/D는 1.02~5, $P_h$/D는 0~2 범위에서 수행하였다. 하단 수평관의 물질전달은 단일 수평관 상관식의 예측치와 일치하였다. 상단 수평관의 물질전달은 $P_v$/D가 작을 때, 하단 수평관에서 상승하는 플룸의 예열영향(Preheating effect)으로 인해 감소하였고, $P_h$/D가 증가하면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러나 $P_v$/D가 클 때, 상단 수평관의 물질전달은 하단 수평관의 플룸 속도영향으로 인하여 단일 수평관보다 컸고, $P_h$/D가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P_h$/D가 매우 증가하여도 굴뚝효과(Chimney effect)와 측면유동효과(Side flow effect) 인하여 상단 수평관의 열전달이 하단 수평관의 열전달보다 크게 나타났다.

Facile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Glycol Chitosan Hydrogels Using Divinyladipate as a Crosslinker

  • Kim, Beob-Soo;Yeo, Tae-Yun;Yun, Yeon-Hee;Lee, Byung-Kook;Cho, Yong-Woo;Han, Su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0호
    • /
    • pp.734-738
    • /
    • 2009
  • Biodegradable, pH-sensitive, glycol chitosan (GC) hydrogels were prepared using divinyl adipate (DVA) as a crosslinker and acetic acid as a catalyst. DVA has highly reactive double vinyl ester groups and GC contains a high density of hydroxyl groups, with two in every glucosamine unit.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vinyl esters and hydroxyl groups produced crosslinked GC hydrogels. The initial crosslinking reaction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viscosity of the reaction mixture. When DVA was added to the GC solution and heated to $50^{\circ}C$, the viscosity of the GC solution gradually increased, implying a crosslinking reaction and hydrogel formation. A new peak from the ester group was observed in the FTIR spectra of the GC hydrogels, confirm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The synthesized GC hydrogel showed pH-dependent water absorbency, mainly due to the presence of amine groups ($-NH_2$) at the C-2 position of the glucosamine unit of GC. The water absorbency greatly increased at acidic pH and slightly decreased at alkaline pH. The GC hydrogel gradually degraded in $37^{\circ}C$ water due to hydrolysis of the ester bonds, which were intermolecular crosslinking sites. A red dye, 5-carboxyltetramethyl-rhodamine (CTMR), was entrapped in the GC hydrogels as a model compound. CTMR was released from GC hydrogels in two steps: an initial burst release mainly due to desorption and diffusion, and a second sustained release possibly due to gradual degradation.

실규모의 고도처리공정에서 NADH변화 유형과 이를 활용한 공정제어 (NADH Variation and Process Control with NADH Fluorometer in Full Scale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 김한래;조종복;조일형;이진우;장순웅;이시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3-432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uto control and the proper operating factors in the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using an NADH(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fluorometer, which characterized the emitted fluorescence when activated by flashes of UV light at 460 nm. In terms of finding adequate operating parameters, results indicted that nitrification efficiency decreased in the controlled DO while denitrification efficiency decreased in the controlled pH.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controlled operating condition after combination with NADH, DO and pH was resonable. Result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NADH and pH showed that variation trend of influent loading was similar to those of NADH and pH, and also the variation cycle was repeated on a daily basis. Consequently, this result showed the increase of BOD loading caused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to decrease because air-flow, required for nitrification, was reduced, and so the NADH value was increased. From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use NADH flourimetry to assess the variation of organic load and nitrification efficiency in the case of small change in influent pH such as in sewage and also to handle and operate the load variation in the auto control system using the NADH fluorometer.

하이브리드 바이어스 네트워크가 적용된 W대역 60-nm GaN pHEMT 전력 증폭기 (W-Band Power Amplifier with Hybrid Bias Network Using 60-nm GaN pHMET Process)

  • 유진호;이재용;장성진;정하연;김기철;최증원;박주만;박창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7-8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바이어스 네트워크가 W 대역 전력증폭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하였다. 기존의 RC 및 방사형 스터브 네트워크의 성능을 살펴보고, W 대역 적용을 위하여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확인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60-nm GaN pHEMT 공정을 이용하여 W 대역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적용 할 경우 전력증폭기는 전주파수 대역에서 안정도가 개선되었으며, 동작 주파수 87 GHz부터 93 GHz에서 전력이득 약 9 dB를 확보하였으며, 최고 PAE는 출력전력 26.7 dBm에서 약 12.3%로 확인 되었다.

광전음극 소자용 GaAs/AlGaAs 구조의 LPE 성장 (Growth of GaAs/AlGaAs structure for photoelectric cathode)

  • 배숭근;전인준;김경화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282-28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광전 음극 이미지 센서로 사용될 수 있는 광소자용 재료로 III-V 족 화합물 반도체인 GaAs/AlGaAs 다층 구조를 LPE(Liquid Phase Epitaxy) 방법에 의해 성장하였다. n형 GaAs 기판 위에 수십 nm의 GaAs 완충층을 형성 한 후 Zn가 도핑된 p-AlGaAs 에칭 정지 층(etching stop layer)과 Zn가 도핑된 p-GaAs 층 그리고 Zn가 도핑된 p-AlGaAs 층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시료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이차이온질량분석기(SIMS) 그리고 홀(Hall)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GaAs/AlGaAs 다층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5mm{\times}25mm$의 성장 기판에서 거울면(mirror surface)을 가지는 p-AlGaAs/p-GaAs/p-AlGaAs 다층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Al 조성은 80 %로 측정 되었다. 또한 p-GaAs층의 캐리어 농도는 $8{\times}10^{18}/cm^2$ 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LPE 방법에 의해 성장된 p-AlGaAs/p-GaAs/AlGaAs 다층 구조는 광전 음극 이미지 센서의 소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