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M

검색결과 14,841건 처리시간 0.047초

남한지역 지질특성과 지열류량의 상호 관련성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t Flow Relationship in South Korea)

  • 김형찬;이사로;송무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391-40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남한의 지열류량 총 247개 자료와 지질 및 지질시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지열류량 공간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1:1,000,000지질도 공간 DB와 GIS를 이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은 64$\pm$14mW$m^{-2}$의 값을 보였다. 암석의 종류별 비교에서는 퇴적암류 분포지역에서 74mW$m^{-2}$로 가장 높은 지열류량을 보였으며, 변성암류 분포지역에서 약간 낮은 61 mWm$^{-2}$ 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화산퇴적암류나 심성암류 분포지역에서는 각각 62, 63mW$m^{-2}$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지질시대별 지층과 지열류량간에서의 관계에서는 가장 신기에 속하는 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91mW$m^{-2}$의 지열류량값을 보였으며, 중생대, 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65mW$m^{-2}$이며, 고기인 원생대, 시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각각 55, 61mW$m^{-2}$로 가장 낮은 지열류량을 보였다.

M/W 중계기용 아날로그 Predistorter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nalog Predistorter for M/W Repeaters)

  • 강상기;유준규;장대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3-38
    • /
    • 2008
  • M/W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송신 궤환 신호에 의한 발진 가능성이 적고, 가시거리 통신을 하기 때문에 타 시스템에 대한 간섭도 적다. 때문에 도서 지역 등에 기지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M/W 중계기를 많이 이용한다. 본 논문에는 이동통신 M/W 주파수 변환 송신기에 적용 가능한 아날로그 predistorter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이용한 M/W 주파수 변환 송신기는 1010+/10 MHz의 신호를 11GHz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해서 전송한다. 11GHz 대역에서 predistorter를 구현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논문에서는 IF 대역인 1010MHz 대역에서 동작하는 predistorter를 구현하였다. 이와 같은 IF 대역에서 동작하는 predistorter는 IF 단 이후의 전체 송신기를 선형화 하는 효과가 있다. Predistorter의 성능 실험 결과 M/W 주파수 변환 송신기가 10.805GHz에서 25dBm을 출력 할 때 10dB의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건축용 목재의 열 유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 우태영;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14
    • /
    • 2018
  • 본 연구는 건축용 목재의 화재위험성에대하여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열방출 성질은 cone calorimeter (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4종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외부 열유속 $25kW/m^2$에서 연소시킨 후 측정된 착화시간은 35 s부터 55 s까지였다. 나왕(lauan)과 적송의 착화 시간은 각각 54 s, 55 s로 가장 지연된 값으로 얻어졌다. 최대열방출율은 $156.87{\sim}235.1kW/m^2$ 였고 화재초기의 위험성은 가문비나무가 가장 높았다. 삼나무의 평균유효연소열은 19.1 MJ/kg였고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FP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2468s{\cdot}m^2/kW$) < 적송($0.2339s{\cdot}m^2/kW$) < 가문비나무($0.2308s{\cdot}m^2/kW$) < 삼나무($0.2231s{\cdot}m^2/kW$) 순으로 높았고 화재성장지수(FG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5088kW/m^2{\cdot}s$) < 적송($0.511kW/m^2{\cdot}s$) < 삼나무 ($2.8522kW/m^2{\cdot}s$) < 가문비나무($3.0662kW/m^2{\cdot}s$) 순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목재의 열방출 특성에 대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와 삼나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암석 열물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rmal Properties of Rocks from Gyeonggi-do Gangwon-do, Chungchung-do, Korea)

  • 박정민;김형찬;이영민;송무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6호
    • /
    • pp.761-769
    • /
    • 2007
  •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총 712개의 암석을 채취하여 열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 화성암의 평균 열전도도는 3.58W/m-K, 변성암은 4.16W/m-K, 퇴적암은 4.53W/m-K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강암과 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열물성 값을 보면 화강암의 열전도도는 2.13-5.8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57W/m-K, 편마암은 2.26-6.6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945W/m-K이다. 화강암의 평균 열확산율은 $1.43mm^2/sec$, 비열은 0.914J/gK, 편마암의 평균 열확산율은 $1.55mm^2/sec$, 비열은 0.912J/gK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같은 암석의 열전도도 값의 범위가 큰 이유는 암석의 구성광물, 이방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열결(列缺).려구에 대한 용량별 He-Ne 레이저 침 조사(照射)가 고지방(高脂肪) 식이(食餌)로 유발된 고지혈증(高脂血症)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vasive Low Level Laser Acupuncture Therapy(LLLAT) depending on capacity at LU7+LR5 on the Hyperlipemia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방상희;윤대환;조명래;임현진;나창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1호
    • /
    • pp.1-14
    • /
    • 2006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asive low level laser acupuncture therapy(LLLAT) at Yolgyol+yogu(LU7+LR5) on weight gain, food intake, food efficiency,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hyperlipemia rats. Methods :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fat diet cup(Control group), high fat diet and 15 mW/5 min LLLAT at LU7+LR5(15 mW/5 min group), 15 mW/10 min LLLAT at LU7+LR5(15 mW/10 min group), 30 mW/5 min LLLAT at LU7+LRS(30 mW/5 min group), 30 mW/10 min LLLAT at LU7+LR5(30 mW/10 min group). LLLAT was treated at the 15,30mW-5,10min once a 2day during 5 weeks. Results : Body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30 mW/s min group and 30 mW/10 m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ood intak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15 mW/5 min group and 15 mW/10 m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ood efficienc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30 mW/10 m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lipid metabolis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15 mW/5 min group and 30 mW/10 m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DL-cholesterol was increased in 30 mW/10 min group and phospholipid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riglyceride was not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all experimental group. In the liver function, AST was not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all experimental group, ALT and AL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30 mW/10 min group, ALP was decreased in 30 mW/5 m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 LLLAT at LU7 and LR5 can manage hyperlipemia by controlling body weight, food intake, food efficiency ratio and lipid metabolism.

  • PDF

지중 열교환기 설계를 위한 화강암의 열물성 연구 (Thermal Properties of Granite for Installation of Underground Heat Exchanger)

  • 김종찬;이영민;구민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6-459
    • /
    • 2007
  • Thermal conductivities (TC) of 57 Jurassic muscovitic granite samples (KIGAM) and 149 porphyritic granite samples (Yeonki: BE-2, BE-3) were measured with LFA-447. Ranges of TC values are $2.429{\sim}3.878$ W/mK (KIGAM), $2.220{\sim}3.767$ W/mK (Yeonki, BE-2) and $2.019{\sim}3.990$ W/mK (Yeonki, BE-3); arithmetic means are 2.924 W/mK (KIGAM), 2.907 W/mK (Yeonki, BE-2), and 2.881 W/mK (Yeonki, BE-3), respectively. In this study, harmonic mean values were calculated to estimate the average value of TC. Harmonic mean values are 2.883 W/mK (KIGAM), 2.886 W/mK (Yeonki, BE-2), and 2.866 W/mK (Yeonki, BE-3), respectively. Heat extraction rates of a borehole heat exchanger strongly depend on TC values. Heat-extraction rates from re values are expected to be a little lower than 84 W/m in all sites. However, considering ground water flow, it is expected that actual heat extraction rate would be higher than the expected value.

  • PDF

MODULES SATISFYING CERTAIN CHAIN CONDITIONS AND THEIR ENDOMORPHISMS

  • Wang, Fanggui;Kim, Hwankoo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2호
    • /
    • pp.549-556
    • /
    • 2015
  •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w-Noetherian modules in terms of polynomial modules and w-Nagata modules. Then it is shown that for a finite type w-module M, every w-epimorphism of M onto itself is an isomorphism. We also define and study the concepts of w-Artinian modules and w-simple modules. By using these concepts, it is shown that for a w-Artinian module M, every w-monomorphism of M onto itself is an isomorphism and that for a w-simple module M, $End_RM$ is a division ring.

지열 자원 활용을 위한 국내 열생산율 분포 (Distribution of Heat Production for the Utilization of Geothermal Resources in Korea.)

  • 김종찬;이영민;황세호;구민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7-500
    • /
    • 2007
  • 지열류량은 지열자원 개발 시 지열 이상대를 찾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지체구조별 지열류량 평균은 경기육괴 66 $mW/m^2$, 옥천습곡대 65 $mW/m^2$, 영남육괴 60 $mW/m^2$, 경상분지 72 $mW/m^2$, 연일분지 75 $mW/m^2$이다. 이러한 대륙 내의 지표 지열류량은 상부 지각내의 방사성 동위원소 붕괴에 의한 열생산율(${\sim}40%$)과 하부지각 및 상부맨틀에서부터 전도되어 올라온 지열류량(${\sim}60%$)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열류량의 결정에 있어서 열생산율의 정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열생산율은 지각 내에 존재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 원소인 U, Th, K의 붕괴열에 의한 것이며, 열생산율의 측정은 gamma-ray log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과 화학분석을 통한 방법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총 123개(화강암 86개, 편마암 37개) 지점에서의 열생산율을 산출하였다. 화강암의 열생산율 평균은 2.15 ${\mu}W/m^3$이며, 편마암의 열생산율 평균은 2.22 ${\mu}W/m^3$로 나타났다. 지체구조별 열생산율의 평균은 경기육괴 2.52 ${\mu}W/m^3$, 옥천습곡대 2.16 ${\mu}W/m^3$, 영남육괴 2.35 ${\mu}W/m^3$, 경상분지 2.01 ${\mu}W/m^3$로 나타났다. 지체 구조별 열생산율과 지열류량의 상관성 분석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지열류량이 높은 지역에서 열생산율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열생산율이 지표 지열류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