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acid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32초

왕대의 첨가수준이 반추위 in vitro 발효성상과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Level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in in vitro)

  • 조성욱;이신자;이예준;김현상;엄준식;최유영;배은지;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1-256
    • /
    • 2021
  • 이번 연구는 반추동물의 메탄 감소에 효과가 있는 천연 사료첨가제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왕대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3.54 mg CE/g 및 17.13 mg QE/g이였으며, DPPH 및 ABTS 유리기 소거 활성은 IC50 값이 각각 163.13 및 97.07 ㎍/mL으로 측정되었다. In vitro 시험은 왕대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발효 시간대별(6, 12, 24 및 48 hr) 실시하였다. pH는 발효시간동안 적정 범위였으며, 건물 소화율 및 미생물 성장량은 모든 발효 시간대별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6 및 24시간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Linear effects, 6 hr, P=0.0004; 12 hr, P=0.0055)하였다.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48시간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Linear effects, P=0.022; P=0.0188). 또한 왕대의 첨가는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발효 48시간대 butyrate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Linear effects, P=0.0001)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왕대의 첨가는 in vitro 반추위 메탄을 저감할 수 있고 발효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반추동물 메탄저감 첨가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른김의 유기산조성(有機酸組成)과 저장중의 변화 (Changes in Organic Acid Composition of Dried Lavers during Storage)

  • 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1-234
    • /
    • 1973
  • 마른김의 유기산조성(有機酸組成)과 이것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를 GLC 및 GC-MS 를 사용(使用)하여 조사검토(調査檢討)하였다. 1. 마른김에 함유(含有)된 유기산(有機酸)으로서 동정(同定) 및 정량(定量)을 한 것은 pyruvic, lactic, oxalic, malonic, fumaric,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외 8종(種)이며, 양적(量的)으로 주요산(主要酸)은 oxalic,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였다. 2. oxalic, malic 및 succinic acid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큰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으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oxalic 및 malic acid는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고, 반대(反對)로 succinic acid는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는 대조적(對照的)인 변화(變化)를 보였다. citric acid만은 저습도(低濕度)에서나 고습도(高濕度)에서나 다같이 저장기간(期間)에 따라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였다. 3. 말동정성분중(末同定成分中), 그 mass spectrum으로 보아 환상구조(環狀構造)의 산(酸)이라고 추정(推定)되는 2성분(成分)은 양적(量的)으로 극히 많았으며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서서(徐徐)히 감소(減少)하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신속(迅速)히 감소(減少)하여 45일간(日間)의 저장으로 거의 소실(消失)하였다. 4. 휘발산량(揮發酸量)의 변화(變化)는 저장기간(期間)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저습도(低濕度)에서보다 고습도(高濕度)에서의 증가경향(增加傾向)이 높았다.

  • PDF

도정도별 쌀누룩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s Affected by Rice Nuruk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 최정실;여수환;정석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48-856
    • /
    • 2017
  • 도정도를 달리한 쌀누룩이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오대쌀 일반미를 기준으로 도정하여 도정도별(0, 10, 30, 50, 70%) 쌀누룩을 제조하고 그 누룩으로 담근 약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정도별 쌀누룩에 따른 약주의 품질은 처리구 간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약주의 제조 시에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할수록 약주의 pH, 아미노산도, 갈색도, b값 및 색차 ΔE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알코올과 휘발산 함량, 환원당 및 L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의 경우 사과산, 호박산, 젖산이 주를 이루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적인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질소화합물 함량도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아스파르트산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 중 2-페닐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한 약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n-프로판올과 이소 아밀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클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 속성장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Soksungjang prepared from different koji strains)

  • 윤영;전성희;유정희;정도연;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126
    • /
    • 2016
  •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 속성장의 수분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pH는 RS 및 RTS는 발효기간 동안 변화가 없었던 반면, AS 및 ATS는 발효 10일째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적정산도는 모든 속성장에서 발효기간 동안 증가하였다.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속성장의 주요 유리당 및 유기산은 각각 glucose와 acetic acid로 확인되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AS 및 ATS가 RS 및 RTS보다 높은 반면, 환원당은 RS 및 RTS가 AS 및 ATS보다 높았다. 미생물 수는 RS 및 RTS에서 꾸준히 증가하다 감소한 반면, AS 및 ATS는 10일 이후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의 경우, RS 및 RTS는 ${\alpha}$-amylase 활성이, AS 및 ATS는 protease 활성이 각각 높았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및 arginine 등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총 60여개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1-octen-3-ol 등을 포함한 alcohol류가 21개, hydrocarbon류가 14개, ester류 5개, 그 외 acids류, ketone류, aldehyde 등이 확인되었고, 3-methyl-1-butanol 등을 포함한 된장의 냄새물질이 귤피의 첨가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R. oligosporus는 당류 분해능에, A. oryzae는 단백질 분해능에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귤피의 첨가는 된장의 향미나 식미 등의 관능적 요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속성어간장 제조 및 품질 평가 (Rapid Processing of the Fish Sauce and Its Quality Evaluation)

  • 신석우;권미애;장미순;강태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66-672
    • /
    • 2002
  • 속성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해 동결된 멸치를 분쇄, 가열 및 여과하여 Protease로 가수분해한 후 코지, 식염을 가한 것을 시료A로 하고 여기에 젖산, 솔비톨, 에칠알콜을 가한 것을 시료B로 하여 $30^{\circ}C$에서 35일간 발효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분취해서 성분변화, 세균 flora 및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와 TMAO는 발효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TMA와 VBN은 증가하였다. 분리균의 세균 flora 는 Lactobacillus sp.가 A,B시료에서 각각 $70{\sim}71%$ Bacillus sp.가 $13{\sim}18%$로 이 두종이 우점종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A시료에서 발효 28일째 9.731 mg/100g 중 alanine, tyrosine, valine, methionine 순으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38%, B시료에서는 5,559 mg 중 glutamic acid, lysine, histidine, leucine 순으로 40% 검출되었다. 총 비휘발성 유기산은 A,B시료에서 발효 28일째 각각 4,295, 4,075 mg/100g 으로 양 시료 모두 lactic acid가 7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propionic acid, acetic acid 순이였다. 핵산관련물질은 A,B시료에서 발효 28일째 각각 54, 51 mg/100g 중 hypoxantine이 각각 93, 96%, inosine이 7.2, 4.0%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맛, 냄새, 색택 등으로 보아 발효 28일째가 가장 우수하였다.

전남 남부 반폐쇄적인 내만 갯벌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 in the Semi-enclosed Bays of the Southern Region of Jeollanam Province)

  • 황동운;김평중;전상백;고병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8-648
    • /
    • 2013
  •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 in a semi-enclosed bay, we measured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cid volatile sulfide (AVS), and trace metals (Al, Fe, Cu, Pb, Zn, Cd, Hg, and As), in intertidal sediment from three bays (Deukryang Bay, Yeoja Bay, and Gamak Bay) in the southern region of Jeollanam Province. The intertidal sediment in Deukryang Bay consisted of various sedimentary types, such as sand, gravelly muddy sand, mud, and silt, whereas the intertidal sediments in Yeoja and Gamak Bays were composed mainly of mud. The concentrations of IL, COD, AVS and trace metal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the three study regions were relatively high near areas affected by input of stream waters and/or shellfish farming waste.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Gamak Ba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Deukryang and Yeoja Bays,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anthropogenic pollutants, originating from the city and the industrial complex near Gamak Bay. The evaluation results of organic matter and metal pollution using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howed that the intertidal sediments in the three study regions were not polluted in term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future, sustainable management for source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is necessary to conserve a healthy benthic ecosystem in intertidal sediments.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에서 바이오 수소 생성 연구 (Feasibility of fermentative bio-hydrogen production from different organic wastes)

  • 황재훈;최정아;;전병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6-510
    • /
    • 2009
  •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이 혐기성 소화 공정 수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혼합균주를 사용하여 혐기 발효 회분식 형태 연구하였다. 폐자원은 부패 과일 폐수로 각각 사과, 배, 옥수수가루 및 황산염이 함유된 유기폐수 (황산염 농도 <= 1000 mg/L)를 이용하였다. 최대 수소 생성(547.1 mL)은 부패된 사과 폐수에서 나타났으며, 유입 농도는 132.2 g COD/L이다. 황산염 함유 폐수 적용결과, 황산염 농도에 관계없이 수소가 발생하였고, 잔존황산염은 pH 5.3-5.5에서 96-98 %로 나타나 황산염 환원은 발생되지 않았다. 모든 실험 조건에서 유기산은 HBu > HAc > HPr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양한 유기 폐자원에서 발효공정을 통해 수소 발생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태안반도 갯벌 참굴(Crassostrea gigas) 양식장 주변 퇴적물의 유기물 및 미량금속 분포 (Distribu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ediment around a Tidal-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ing Area on the Taean Peninsula, Korea)

  • 황동운;이인석;최민규;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14-1025
    • /
    • 2014
  •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cid volatile sulfide (AVS), and trace metals (Fe, Cu, Cd, Pb, Cr, Mn, As, Zn, and Hg)]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wo intertidal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ing areas (Iwon and Mongsan tidal flats) on the Taean Peninsula, Korea, to evaluate the pollution level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ediment. The intertidal sediments in the study region comprise mostly sand with a mean grain size of 2.5-3.5 Ø. The concentrations of IL, COD, AVS, and trace metals in the sediment of two study regions were either similar or lower in oyster farming areas relative to non-farming areas, apparently due to biological uptake or physical and biological sediment reworking.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pollution evalua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derived from sediment quality guidelines, enrichment factor, and geoaccumulation index,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ediment in these two intertidal oyster farming regions is not polluted by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압해도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및 금속원소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Pollution Level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 황동운;박성은;김평중;고병설;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59-771
    • /
    • 2011
  • We evaluated the pollution level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 (Fe, Cu, Pb, Zn, Cd, Ni, Cr, Mn, As, and Hg) in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using several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and assessment techniques for sediment pollution. Based on the textural composition of sediment, the surface sedim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main sedimentary facies: slightly gravelly mud and silt.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in the sediments ranged from 4.6-9.9 (mean $7.4{\pm}1.1$) $mgO_2/g{\cdot}dry$ and from ND-0.53 (mean $0.04{\pm}0.10$) mgS/$g{\cdot}dry$,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reported from a farming area in a semi-enclosed bay of Korea and for SQGs in Japan. The metallic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s varied widely with the mean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content, implying that the concentrations of metallic elements are influenced mainly by secondary factors, such as bioturbation, the resuspension of sediment, and anthropogenic input. The overall results for the comparison with SQGs, enrichment factor (EF), and geoaccumulation index ($I_{geo}$) indicate that the surface sediments are slightly polluted by Cr and Ni, and moderately polluted by A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are not polluted by organic matter or metallic elements and the benthic conditions are suitable for healthy organisms.

서낙동강 퇴적물 내 황화물의 분포 및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Sulfides Distribution and Formation in the Sediments of Seonakdong River)

  • 박성열;황경엽;이남주;윤영삼;이상호;김일규;류권규;황인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43-853
    • /
    • 2009
  • Th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onakdong River and were analyzed for sulfide species such Acid Volatile Sulfide(AVS) and Elemental Sulfur(ES) and Chromium Reducible Sulfide(CRS). Then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sulfide species were investigated for six selected sampl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ulfate reducing rate(SRR) was investigated using two selected samples. Concentrations of AVS and CRS were relatively high, which suggests that organics input to the sediments has been continued until recently and that potential of heavy metals leaching from the sediments is low. SRR in the sediments was closely related to fraction of fine particles(silt+clay) and also to dissolved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sediment(DOCsed). The depend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organic content, temperature, sulfate concentration on the SRR was relatively strong in the selected experiments conducted with the samples from Noksan gate and Daejeo gate samples. The environmental factor dependencies were stronger in the Noksan gate samples than in the Daejeo gate samples, which is probably due to higher surface area of the Noksan gate sed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