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flavour compound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숙성마늘 extract 의 biomarker로서 생리활성 성분 (Biological Constituents of Aged Garlic Extract as Biomarker)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8-146
    • /
    • 2009
  • 마늘은 역학조사에 의하면 각종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주요 성분인 알리신 성분은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어 새로운 형태의 유황 화합물로 만들어져 이들 성분들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중요한 생리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마늘제품 중에서 숙성마늘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숙성마늘제품은 마늘을 일정한 조건으로 숙성시킬 때 수용성 성분인 S-allylcysteine, S-allylmercaptan, steroid saponins, te-trahydro-${\beta}$-caboline derivatives 및 fructeosyl-arginine 등이 많이 증가하여 그 효능이 상승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판 마늘가공품의 품질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이들 수용성 성분을 biomarker로서 규격기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Characterization of a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Ripening-associated Membrane Protein (TRAMP) Gene Expression and Flavour Volatile Changes in TRAMP Transgenic Plants

  • Kim Seog-Hyung;Ji Hee-Chung;Lim Ki-By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87-95
    • /
    • 2005
  • The tomato ripening associated membrane protein (TRAMP) (Fray et al., 1994) is a member of the major intrinsic protein (MIP) family, defined as channels facilitating the passage of water and small solutes through membranes. During normal fruit ripening the TRAMP mRNA levels were increased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TRAMP in low ethylene ACO1-sense suppressed lines, Nr and rin fruits, were lower than at the breaker stage of wild type fruit. TRAMP mRNA is inhibited by $LaCl_3$, which is an inhibitor of $Ca^{2+}$-stimulated responses, treatment but drought condition did not affect TRAMP expression. The levels of TRAMP mRNA transcripts were substantially higher in the dark treated seedlings and fruits. These suggest that TRAMP function as a water channel may be doubted because of several reasons; no water content was changed during ripening in wild type, antisense and overexpression lines, TRAMP expression under light condition was lower than dark condition and TRAMP expression was not changed in drought condition. Co-suppression plant, 3588 was one of sense suppression lines, which contain CaMV 35S promoter and sense pNY507 cDNA, produced small antisense RNA, approximately 21-25 nucleotides in length, mediated post-transcriptional gene silencing. Therefore, TRAMP expression was inhibited by small antisense and multiple copies might induce gene silencing without any production of double strand RNA. Total seven selected volatile productions, isobutylthiazole, 6-methyl-5-hepten-2-one, hexanal, hexenal methylbutanal, hexenol, and methylbutanol, were highly reduced in sense line whereas total volatile production was increased in TRAMP antisense line. These results suggested TRAMP might change volatile related compounds.

취반(炊飯)중 쌀성분(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및 휘발성(揮發性) Carbonyl 성분(成分)의 생성(生成) (Chemical Changes and Volatile Carbonyl Formation Occurred in Rice during Cooking Process)

  • 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1985
  • 취반(炊飯) 중의 가열반응(加熱反應)에 의하여 일어나는 주요 쌀성분(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및 휘발성(揮發性) carbonyl 화합물(化合物)의 생성(生成) 양상(樣相)을 쌀밥 및 누른밥으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반에 의한 가열반응(加熱反應) 결과 총(總)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중의 몇 가지 아미노산이 감소되었으며 그 감소율은 유리아미노산에서 더 높았고, 환원당 역시 감소되었다. 또한 유지획분에 있어서 구성지방산 조성(組成)의 경미한 변화, 요오드가(價)의 감소, 지방산(價)의 증가 등을 주목할 수 있었다. 한편 휘발성향기성분에서 carbonyl 화합물을 분리하여 GC, GC-MS, TLC 방법에 따라 잠정적으로 8개의 carbonyls을 확인하였고(4개는 완전히 동정(同定)함) 이들의 조성을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쌀밥보다는 누른밥에서 이와 같은 화학적 변화가 심하였고 쌀밥과 누른밥의 주요 휘발성 carbonyl 화합물 조성도 상이(相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취반과정에서는 변화와 관련되는 가열반응(加熱反應) mechanism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김치의 저장중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허우덕;하재호;석호문;남영중;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517
    • /
    • 1988
  •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향기 원인 물질을 분석 하고 맛 성분의 원인 물질인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서는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a, dipropyl disulfida, 1-isothiocyanato butane, diallyl disulfide등을 들 수 있었고.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보면 저장초기에는 젖산이 1.2mg/100g 구연산이 5.4mg/100g이던 것이 33.3mg/100g 및 44.4mg/100g으로 증가하였고 말산은 19.9mg/100g에서 4.8mg/100g으로 감소하였다. pH는 초기에 5.65이던 것이 저장 62일경에 4.25로 감소하였고 김치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보면 저장초기에 316.3mg/100g이던 것이 저장 후기에 627.6mg/100g으로 증가하였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리진, 아르기닌 등 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휘발성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pH는 김치의 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재배환경 요인과 담배생육비교 (Studies on the Tobacco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between KOREA and U.S.A.)

  • 구한서;박현석;유정은;장기운;이용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4-464
    • /
    • 1986
  • 지역이 다른 기상환경 특히 재배환경 조건이 황색종 담배의 생육, 생산성 및 건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국내외 교차경작과 화학적 성분비교에 의한 한ㆍ미산 황색종 잎담배의 품질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하여 국내산 담배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황색종 NC2326을 공시하여 재식밀도, 시비양, 재배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성분중 유기물 함양은 거의 비슷하였고 유효인산함양은 Oxford가 상당히 높았으나 감기치환용량은 낮았다. 2. 삼요소중 103당 질소, 인산, 가리의 삼성분양은 수원이 Oxford보다 더 시용하고 있다. 3. 위도상으로 Oxford가 약간 낮으며 이식시기도 수원보다 늦다. 4. 월별 온도분포는 Oxford가 약간 높으며 생육과정중 강우양은 년중 Oxford가 1,070mm, 수원이 1,327mm로서 Oxford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수원은 성숙기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5. 이식묘의 크기와 건물중은 Oxford가 높았다. 6. 초장, 최대엽의 엽장, 엽폭, 엽후, 중골비율은 수원보다 Oxford가 컸으며 무피복구가 피복구에 비해 컸다. 7. Nicotine함양은 수원이 높았으나 당함양은 낮았다. Nicotine과 당함양은 피복구에서 높았다. 8. 생육과정중 유기산함양은 수원이 높았으나 건엽에서 낮았으며, 무피복구에서 높았다. 지방산함양은 수원이 낮았으나 건엽에서 높았으며 무피복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9. 잎담배 정유성분중 43개 성분을 분리동정하였다. 수원이 낮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피복구보다 무피복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0. 향기성분신 Damascene, Damascennoe, Phrnethyl alcohol 및 Neophytadine 등은 한국이 높은 경향이나 Solanone과 Oxysolanone 등은 미국이 높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