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 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Cytotoxicity, Apoptosis Induction and Anti-Metastatic Potential of Oroxylum indicum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 Kumar, D.R. Naveen;George, V. Cijo;Suresh, P.K.;Kumar, R. Ash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729-2734
    • /
    • 2012
  • Despite clinical advances in anticancer therapy, there is still a need for novel anticancer metabolites, with higher efficacy and lesser side effects. Oroxylum indicum (L.) Vent. is a small tree of the Bignoniaceae family which is well known for its food and medicinal properties. In present study, the chemopreventive properties of O. indicum hot and cold non-polar extracts (petroleum ether and chloroform) were investigated with MDA-MB-231 (cancer cells) and WRL-68 (non-tumor cells) by XTT assay. All the extracts, and particularly the petroleum ether hot extract (PHO), exhibited significantly (P<0.05) higher cytotoxicity in MDA-MB-231 when compared to WRL-68 cells. PHO was then tested for apoptosis induction in estrogen receptor (ER)-negative (MDA-MB-231) and ER-positive (MCF-7) breast cancer cells by cellular DNA fragmentation ELISA, where it proved more efficient in the MDA-MB-231 cells. Further, when PHO was tested for anti-metastatic potential in a cell migration inhibition assay, it exhibited beneficial effects. Thus non-polar extracts of O. indicum (especially PHO) can effectively target ER-negative breast cancer cells to induce apoptosis, without harming normal cells by cancer-specific cytotoxicity. Hence, it could be considered as an extract with candidate precursors to possibly harness or alleviate ER-negative breast cancer progression even in advanced stages of malignancy.

Galangin 및 양강추출물의 $KBrO_3$ 유도 DNA 및 염색체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the 70% Ethanolic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and Galangin Against $KBrO_3$-induced DNA and Chromosomal Damage in Mice)

  • 양혜은;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23-428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vo effect of galangin and the 70% ethanolic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AO) toward $KBrO_3$-induced DNA and chromosomal damage in mice. Galangin and AO inhibited the formation of 8-hydroxy-2'-deoxyguanosine (8-OH2'dG) as an indicator of DNA oxidative damage in the liver cell. Galangin and AO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formation of DNA single strand break in the splenocyte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assay and also inhibit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 (MNRET) formation of peripheral blood in tail blood of mice. Vit-E revealed antigenotoxic effects in DNA and chromosome levels, but galangin was more potent active compound compare to vit-E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containing galangin can modify the oxidative DNA and chromosomal damage and may act as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ivo.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elative Antineoplastic Potential of the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Linn. in Normal and immortalized Human Cell Lines

  • George, V. Cijo;Kumar, D.R. Naveen;Rajkumar, V.;Suresh, P.K.;Kumar, R. Ash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699-704
    • /
    • 2012
  • Natural products have been the target for cancer therapy for several years but there is still a dearth of information on potent compounds that may protect normal cells and selectively destroy cancerous cell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ytotoxic potential of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L. on WRL-68 (normal human hepatic cells), MDA-MB-435S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nd 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 cells) lines by XTT assay. Prior to cytotoxicity testing, the extract was subjected to phytochemical screening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compounds with therapeutic potential. Their relativ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the reducing power and $DPPH^*$radical scavenging assay. Since most of the observed chemo-preventive potential invariab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present in the extract, their levels were quantified and identified by HPLC analysis. Correlation studies indicated a strong and significant (P<0.05) positive correlation of phenolic compounds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tract was moderately cytotoxic to normal cells with a mean IC50 value of 52.4 ${\mu}g$ wh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or cancerous cells (IC50 values of 29.2 ${\mu}g$ for MDA-MB-435S and 30.1 ${\mu}g$ for HaCaT respectively). The study confirms the presence of therapeutically active antineoplastic compounds in the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Isolation of the active metabolites from the extract is in prospect.

뽕나무 버섯 균사체의 생리.생태학적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Mycelia of Armillariella mellea)

  • 최미자;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4
    • /
    • 1983
  • Armillariella mellea의 2차균사를 potato dextrose medium, yeast extract medium, malt extract medium Hamada medium, 등에 배양해서 생리 생태적 성질을 연구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사용했던 4종의 배치 중에서 malt extract medium에서 가장 잘 자랐고, 그 다음 yeast extract medium, potato dextrose medium 그리고 Hamada medium 순으로 생육율이 높였다. 2. $27^{\circ}C$에서 가장 잘 자랐고, $36^{\circ}C$에서는 집락의 지름이 $27^{\circ}C$와 비슷하나 균사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3. pH6에서 가장 높은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4. 식물 생장 호르몬을 첨가한 경우에는 Heteroauxin의 5ppm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26.2% 증가로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이고, 다음으로 gibberellin 100ppm, Tomatoton 10,000배액, 그리고 Adoton 5,000배액의 순서였다. 식물 생장 호르몬을 적당 농도로 사용하면 생장 증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과량 사용할 경우, 오히려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5. Vitamin 첨가경우에 있어 200ppm 농도의 균일한 조건하(下)에서 Vit.A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18.2%의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였고, $Vit{\cdot}D_2\;Vit{\cdot}E,\;Vit{\cdot}B_1\;folic\;accid\;Vit{\cdot}C$ 그리고 $Vit{\cdot}B_2$의 순으로 그 증가가 나타나 지용성 비타민 첨가 배지에서 상당한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 PDF

UPPER BOUNDS OF SECOND HANKEL DETERMINANT FOR UNIVERSALLY PRESTARLIKE FUNCTIONS

  • Ahuja, Om;Kasthuri, Murugesan;Murugusundaramoorthy, Gangadharan;Vijaya, Kaliappan
    • 대한수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1019-1030
    • /
    • 2018
  • In [12,13] the researchers introduced universally convex, universally starlike and universally prestarlike functions in the slit domain ${\mathbb{C}}{\backslash}[1,{\infty})$. These papers extended the corresponding notions from the unit disc to other discs and half-planes containing the origin. In this paper, we introduce universally prestarlike generalized functions of order ${\alpha}$ with ${\alpha}{\leq}1$ and we obtain upper bounds of the second Hankel determinant ${\mid}a_2a_4-a^2_3{\mid}$ for such functions.

도시거주 저소득층 노인들의 골지표 및 영양소섭취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Nutrition Indicators in Elderly Residing in Low Income Area of the City)

  • 손숙미;전예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3
    • /
    • 2004
  • 본 연구는 부천시에 거주하는 외견상 건강하면서 65세 이상 노인 138명 (남: 38명, 여: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와 관련된 각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자 노인은 남자 노인에 비해 칼슘,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p<0.05). 남녀 모두 칼슘과 비타민 D 섭취량은 각각 331.0 mg, 1.89 $\mu\textrm{g}$과 308.6 mg, 1.21 $\mu\textrm{g}$으로서 RDA의 50% 미만이었다. 남자노인의 경우 요추골밀도, 대퇴부 골밀도는 에너지 섭취량(p<0.05), 칼슘 섭취량(p<0.05), 비타민 D 섭취량(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자노인의 경우 요추골밀도, 대퇴부 골밀도는 에너지, 당질,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D 섭취량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p<0.05). 여자 노인의 혈청 osteocalcin과 소변의 DPYR/CR값이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각 p<0.01, p<0.001)남자 노인에 비해 골 교체율과 골 흡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5(OH)VitD$_3$가 10 ng/mL미만으로서 비타민 D 결핍을 보인 노인이 남자 23.7%, 여자 35.0%였다. 혈청 25(OH)VitD$_3$는 척추, 대퇴 전자부 골밀도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 (p<0.05)를 보였으나 혈청 alkaline phosphatase, 소변의 DPYR/CR, 소변의 P/CR의 비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p<0.05).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추골밀도는 활동량, 혈청 ALP, 체중, 비타민 D 섭취량에 의해 골밀도 변이의 47.6%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타민 D 섭취량(p<0.001), 체중(p<0.001), 활동량(p<0.05)이 감소할수록 골밀도는 감소했고 혈청 ALP는 증가할수록 골밀도는 감소하였다(p<0.01). 대퇴전자부 골밀도는 연령, 혈청ALP, 체중에 의해 골밀도 변이 의 45.9%를 설명할 수 있었고 나이가 많을수록(p<0.01), 혈청 ALP가 높을수록(p<0.01), 체중이 적을수록(p<0.001) 골밀도가 낮았다.

서울 일부지역 여자 노인들의 가구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식사의 질 평가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 이연주;권민경;백희준;이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3호
    • /
    • pp.277-288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 시내 복지관 두 곳을 방문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설문조사, 24시간회상법을 통한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고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여자노인을 독거노인군 (LA군), 부부노인군 (LS군), 자녀동거 노인군 (LC군)으로 세 가지 가구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특성에서 여자노인의 나이는 LA군이 75세로 가장 높았고 LS군이 70세로 가장 낮았다 (p < 0.001). WHR에서 LC군이 0.91로 0.89인 LA군과 LS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9). 월수입은 LS군이 18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LA군이 67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p < 0.001). 질병유병률에서는 여자노인 80% 정도가 1가지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유병율이 가장 높았다. 2) 식생활과 생활습관면에서 가구유형별로 흡연, 음주, 운동유무, 영양제 섭취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1일 영양소 섭취량에서 열량, 식물성 단백질, 지질, 칼슘, 인, 칼륨, 셀레늄의 섭취량에서 가구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비타민의 섭취량에서는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 < 0.05), LA군의 섭취량이 LS군 또는 LC군에 비해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는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칼슘, 비타민 D, $B_{12}$,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영양질적지수(INQ)를 보면 칼슘, 비타민 D, 비타민 $B_2$에서 1 미만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 $B_{12}$의 INQ 값은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도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4) 에너지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에너지필요추정량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가 LA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탄수화물에서는 가구유형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에너지적정비율보다 높게 섭취하는 대상자 분율이 LA군에서 가장 높아서 탄수화물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지질의 경우 LA군의 50%가 에너지적정비율에 못 미치는 양을 섭취하였고 단백질은 세군 모두 에너지적정비율만큼 섭취하였다. 5) 미량영양소 섭취 상태를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LA군에서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B_6$, $B_{12}$의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 미만 섭취 분율이 가장 높았고 LS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6) 여자노인의 1일 식품군별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과일류, 생선류, 해조류의 섭취량은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도 가구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 0.05), 과일류는 LS군에서 해조류는 LA군에서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노인들의 식품군 점수를 평가한 KDDS를 살펴보면 여자 노인의 경우 다섯가지 주요 식품군이 모두 포함된 식사 (KDDS = 5)를 하는 대상자는 LS군이 가장 많았고, 3가지 이하의 식품군을 섭취하는 식사 (KDDS = 0~3)를 하는 여자 노인은 LC군과 LA군에서 많았다. (p = 0.048). 노인들의 식품군별 섭취패턴을 보면 우유 및 유제품 군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식품섭취는 가족 구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러나 월 평균 수입도 여성 노인들의 식품 및 영양섭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거노인이 부부노인과 자녀동거 노인에 비해 영양소 섭취율이 낮았고 식품군별 다양성 점수가 낮았다. 영양섭취의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을 위한 영양교육 및 영양지원을 통해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Apoptosis-Induced Cell Death due to Oleanolic Acid in HaCaT Keratinocyte Cells -a Proof-of-Principle Approach for Chemopreventive Drug Development

  • George, V. Cijo;Kumar, D.R. Naveen;Suresh, P.K.;Kumar, R. Ash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15-2020
    • /
    • 2012
  • Oleanolic acid (OA) is a naturally occurring triterpenoid in food materials and is a component of the leaves and roots of Olea europaea, Viscum album L., Aralia chinensis L. and more than 120 other plant species. There are several reports validating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different cancer cells apart from its hepatoprotective activity. However, antitumor activity against skin cancer has not beed studied well thus far. Hence the present study of effects of OA against HaCaT (immortalized keratinocyte) cells - a cell-based epithelial model system for toxicity/ethnopharmacology-based studies - was conduct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cdot}$) and FRAP were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XTT assay at 24, 48 and 72 hrs with exposure to various concentrations (12.5-200 ${\mu}M$) of OA. Apoptotic induction potential of OA was demonstrated using a cellular DNA fragmentation ELISA method. Morphological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to elucidate its antitumor potential. The results revealed that OA induces apoptosis by altering cellular morphology as well as DNA integrity in HaCaT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comparatively low cytotoxicity. The moderate toxicity observed in HaCaT cells, with induction of apoptosis, possibly suggests greater involvement of programmed-cell death-mediated mechanisms. We conclude that OA has relatively low toxicity and has the potential to induce apoptosis in HaCaT cells and hence provides a substantial and sound scientific basis for further validation studies.

상승적 화학적 간독성에 미치는 YH439의 영향 (The Effects of Isopropyl 2-(1,3-dithioetane-2-ylidene)-2-[N-(4-methyl-thiazol-2-yl)carbamoyl]acetate (YH439) on Potentiated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 김상건;조주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07-416
    • /
    • 1996
  • 간독성물질인 $CCl_4$의 대사에서 반응성이 높은 대사중간체의 증가가 P450 2E1의 활성 및 발현증가와 관련된다. YH439는 랫트에서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된 간 손상에 보호효과가 탁월하였고, 각종 독성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염을 억제하며 P450 2E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450 2E1의 발현억제가 YH439의 간장보호작용의 일부기전으로 해석되나 free radical 공격의 제어, 방어과정에 관련된 탐식세포의 역할등 간장독성에 관련된 YH439의 영향 및 관련된 기초연구는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상승적인 화학적 독성에 대한 YH439의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Retinoyl palmiate (Vit-A)를 전처러하고 YH439를 처리한 rat의 경우 $CCl_4$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혈장 alanine aminotransferase (ALT)활성이 5배로 증가하여 $CCl_4$에 의한 간독성을 현저히 강화시켰으나, YH439와 Vit-A를 동시에 전처리한 rats에 있어서는 Vit-A에 의하여 강화된 독성이 94% 감소하였다. Vit-A에 의한 혈장 ALT 활성 증가는 Kupffer cell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GdCl_3$의 투여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YH439가 Kupffer cell 활성억제를 매개로 상승적 간손상에 대하여 보호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 Propyl sulfide의 전처치는 $CCl_4$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을 $CCl_4$ 단독투여와 비교했을때 5배 이상 증가시켰으나, Propyl sulfide와 YH439를 병용투여할 경우 propyl sulfide에 의해 강화되는 간독성이 YH439의 투여용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propyl sufide와 $CCl_4$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증가가 YH439에 의하여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pyl sulfide에 의하여 강화된 간독성의 차단은 YH439가 P450 2E1 발현조절을 통하여 간독성을 제어함을 지지한다. 그러나 YH439는 pyridine과 $CCl_4$에 의한 독성을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는 Pyridine에 의해 유도되는 다른 형의 P450발현이 YH439에 의해 억제되지 못하는 이유로 해석된다. 중금속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YH439의 보호효과를 ICR mice에서 관찰하였을 때 $CdCl_2$를 1회 투여할때 AL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활성이 $5{\sim}6$배 증가하였으나 YH439를 투여한 후 $CdC1_2$를 투여한 동물에 있어서는 투여후 6시간에 AST의 증가가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YH439는 thioacetamide에 의하여 유발된 liver fibrosis에는 개선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YH439가 Kupffer cell 불활성화를 통하여 Vit-A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YH439에 의한 P450 2E1의 발현억제는 propyl sulfide를 경유하는 간독성 차단과 관계되며, YH439는 중금속으로 유도된 조직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

  • PDF

Inhibition of osteoclast formation by putative human cementoblasts

  • Kim, Mi-Ri;Yang, Won-Kyung;Grzesik, Wojciech;Ko, Hyu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13-116
    • /
    • 2008
  • Cementum is the mineralized tissue of the tooth. It is similar to bone in several aspects but it differs from bone. Human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 and human cementum derived cells (HCDC) (10,000 $cells/cm^2$) were plated in 6 well plates as feeder cells. The next day, mouse bone marrow cells (1.5 million $cells/cm^2$) were added. One group of these plates were incubated in serum-free conditioned medium (SFCM) generated from BMSC or HCDC supplemented with 2% FBS, parathyroid hormone (PTH), 1, 25 dihydroxyvitamin $D_3$ (Vit. $D_3$) and dexamethasone, or plain medium with the same supplements. Another group of plates were cocultured with BMSC or HCDC in plain medium supplemented with 2% FBS, PTH, Vit. $D_3$ and dexamethasone. Plates grown without SFCM or coculture were used as controls. After 10 days, the cells were stained for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BMSC were found to support osteoclast formation under normal conditions. This was inhibited however by both SFCM generated from HCDC and also by coculture with HCDC. In addition, HCDC themselves did not support osteoclast formation under any conditions. Our results thus indicate that HCDC do not support osteoclast formation in vitro and that soluble factor (s) from HCDC may inhibit this process. In addition, we show that this inhibition also involves an active mechanism that is independent of osteoprotegerin, a feature that may distinguish cementoblasts from other cells present in periodont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