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ospatial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929초

우반구 손상 환자의 한글 실서증 특징 (Korean Agraphia Subsequent to Right Hemispheric Lesion)

  • 윤지혜;신지철;김덕용;서미경;김향희
    •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121-132
    • /
    • 2006
  • In Hangeul, the graphemes of syllables are organized in horizontal, vertical and mixed (both horizontal & vertical) orientations, and the graphemic posi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in a each syllable needs to be maintained within a square patter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rrors of 9 stroke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RH) lesions and compared it to the performances of 15 normal subjects. The subjects were asked to write to dictation of 90 Korean syllables. One of the interesting findings was that our patients manifested visuospatial errors which are not commonly observed in other language-speaking (e.g., English) patients due to the unique syllabic organizations of Korean writing system. The prominent errors in the RH group could be explained by the impaired RH which normally controls the visuospatial functions.

  • PDF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난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저하 간의 관련성 연구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Bias and Deteriorat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in Increasing the Level of Social Phobia)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3권2호
    • /
    • pp.35-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른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와 이 변화에 기여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식 설문 검사인 사회공포증 검사(Korean version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K-SAD)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와 UFOV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118명의 연구참가자가 참여하였고 응답을 성실하게 하지 않은 연구참가자들을 제외하여 107명(남: 94명, 여: 1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참가자들은 K-SAD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연구 결과, 정서지각과제에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UFOV 과제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공간 과제 수행 시 고농도 산소 공급에 의한 변연계 활성화에 관한 연구 (Activation of Limbic Area due to Oxygen Administration during Visuospatial Task)

  • 최미현;이수정;양재웅;김지혜;최진승;탁계래;정순철;김현준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43-4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간 과제 수행 시 21%의 산소 농도와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이 변연계의 활성화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관찰하였다. 총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을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공간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3T MRI 를 이용하여 뇌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은 21%의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와 30%의 고농도 산소를 각각 공급하면서 공간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두 개의 회기로 구성된다. 변연계를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시상(thalamus), 변연엽(limbic lobe), 시상하부(hypothalamus), 해마(hippocampus), 해마방회(parahippocampa gyrus), 편도(amygdala), 유두체(mammilary body)의 8 개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공간 과제 수행 시 두 가지 산소 농도에 따른 변연계의 활성화 영역은 거의 동일하였다. 그러나 21%의 산소 농도에 비해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 시 대상이랑(cingulate gyrus)과 시상(thalamus) 영역에서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즉,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 시 공간 인지 수행 능력의 증가는 공간 인지 처리와 관련이 있는 대뇌 피질 뿐만 아니라 시상(thalamus)과 대상이랑(cingulate gyrus) 같은 피질하 영역에서의 신경 활성화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뇌기능 영상을 이용한 외부 산소 공급에 따른 공간 지각 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Cognitive Performance Following Oxygen Administration using fMRI)

  • 정순철;김익현;이봉수;이정미;손진훈;김승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7-2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 (21%) 환경에 비해 외부에서 고 농도 (30%)의 산소 공급이 공간 지각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8명의 남자 대학생 (평균 23.5세)을 뇌기능 연구의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1%와 30% 산소 농도를 각각 8L/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공간 지각 능력 측정을 위해 20 문항을 포함하는 두 개의 문제지를 제작하였고, 과제 수행 결과로부터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실험 패러다임은 30%의 산소 농도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회기와 21%의 산소 농도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회기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각 회기는 네개의 black으로 구성되고, 각 block은 통제 과제 8문항. 공간지각 과제 5문항을 포함한다. 3T MRI기기를 사용하였고, single-shot EPI 방법으로 뇌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산소 농도 21%에 비해 30% 상태에서 양측 후두엽 영역, 양측 상두정엽, 양측 하두정엽, 양측 쐐기앞소엽, 양측 중심후이랑 등의 두정엽 영역, 그리고 양측 중간전두이랑, 양측 하전두이랑, 양측 내측전두이랑 양측 상전두이랑, 양측 대상회 등의 전두엽 영역의 활성화가 증가하였고, 과제 수행 결과에서도 산소 농도 21%에 비해 30% 상패에서 정답률이 증가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외부에서의 고농도의 산소 공급이 공간 지각 능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The Effect of Prism Adapta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repor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17
  • Background: The presence of visuospatial impairment can make patients slow functional recovery and impede the rehabilitation process in TBI patient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prism adaptation treatment for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s: The subject received prism adaptation treatment for 2 weeks additionally during traditional rehabilitation for 4 weeks. The Patient has prism adaptation treatment while wearing wedge prisms that shift the external environment about $12^{\circ}$ leftward. The patient received 10 sessions, 15-20min each session. Outcome measures were visuospatial deficit(line bisection, latter cancellation), Visual and spatial perception(LOTCA-visual perception and spatial perception),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FMA U/E; Fugl-Meyer motor assessment upper extremity, ARAT; Action research arm test), balance(BBS; Berg Balance Scale), mobility(FAC; Functional ambulation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level(FIM;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All Assessments took place on study entry and post-treatment assessments were performed at discharge from the hospital. Results: After prism adaptation, the visuospatial impairment scores improved as indicated in the line bisection(-15.2 to -6.02), latter cancellation(2 to 0) and LOTCA- spatial perception scores(7 to 9). The upper motor function improved as indicated in the scores of affected FMA U/E(21 to 40) and ARAT(4 to 22). Ambulation and balance improved as indicated in the BBS scores(25 to 38) and FAC scores(0 to 4). ADL function improved as indicated in the FIM total scores 54 to 70(motor 34 to 61, cognition 20 to 29). Conclusion: Prism adaptation did improve functional level such as motor functions and ADL abilities in TBI patient.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읽기 관련 작업기억 분석 (Analysis of working memory related with reading)

  • 이한규
    • 인지과학
    • /
    • 제22권2호
    • /
    • pp.193-2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읽기와 관련된 작업기억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3, 4학년 읽기부진아들과 일반아동들을 비교하였으며, 성별 비교와 각 성분들 간의 상관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부진아들은 일반아동들보다 작업기억의 모든 하위 검사에서 낮은 수행 수준을 나타내었다. 성별 비교에서 시공간 잡기장에서 성별차가 나타났으며, 그 중 미로이동 기억에서는 읽기능력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도 있었다. 전체 집단에서 작업기억의 각 성분들 간의 모든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읽기부진아와 일반아동을 분리해서 상관을 구했을 때는 하나의 상관을 제외하고 두 집단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집행기의 영향을 제거했을 때 음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 간의 상호관련성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읽기부진아 지도에서는 수업자료를 간략하게 제시할 필요성이 있으며, 읽기부진 남학생에게는 가능한 한 시공간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인지 기능 수행 시 BOLD 신호 크기에 기반 한 영역별 대뇌 편측화 (Cerebrum Lateralization by Area based on the Intensity of BOLD Signal during Cognitive Performance)

  • 정순철;손진훈;김익현;이수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3-192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ased on the area of neural activation with that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For this purpose, 8 right-handed male college students (the mean age - 23.5 years) and 10 right-handed male college students (the mean age - 25.1 years) participated respectively in researches on visuospatial and verbal task brain function. Functional brain images were taken from 3T MRI using the single-shot EPI method. The result of measuring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ased on the area of neural activation suggested that the right hemisphere is dominant in visuospatial tasks and the left one is in verbal tasks. However, the dominance is not sufficient to locate the exact part of the brain for these tasks. When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was computed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it was derived that the area of cerebral lateralization closely related to visuospatial tasks is the superior parietal lobe, and the area of cerebral lateralization closely related to verbal tasks is the inferior and middle frontal lobes. Thus,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y area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as proposed by this study can determine the dominance of the cerebrum by area, so is helpful for accurat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erebral lateralization.

An fMRI Study of Cognitive Function during Hyperoxia

  • Chung Soon-Cheol;Kim Ik-Hyeon;Tack Gye-Rae;Lee Soo Yeol;Sohn Jin-Hu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administration of the air with 30% oxygen compared with normal air (21% oxygen) enhances cognitive functioning through increased activation in the brain. Seventeen college students (right­handed, average age of 24.3)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 oxygen supply equipment that provides 21% and 30% oxygen at a constant rate of 8L/min was developed. In order to measure the performance level of visuospatial and verbal cognition, two psychological tests were developed.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wo runs, one for cognition task with normal air (21% oxygen) and the other for cognition task with hyperoxic air (30% oxygen).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were presented while brain images were scanned by a 3T fMRI system using the single-shot EPI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performance and also increased activation in several brain areas in the higher oxygen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performing cognitive tasks, high concentrations of oxygen administration make oxygen administration sufficient, thus making neural network activate more, and the ability to perform cognitive tasks increase.

공간 및 언어 과제 수행 시 소뇌의 편측화에 관한 뇌 기능 연구 (An fMRI study on the cerebellar lateralization during visuospatial and verbal tasks)

  • 정순철;손진훈;최미현;이수정;양재웅;이법이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25-4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간 및 언어 과제를 수행하게 하면서 뇌 기능 영상을 획득하여, 각 인지 과제 수행에 따른 소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고, 소뇌 편측화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평균 $21.5{\pm}2.3$세)과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평균 $23.3{\pm}0.5$세)이 각각 공간 및 언어 과제 실험에 참여하였다. 3T MRI 에서 single-shot EPI 기법을 이용하여 뇌 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뇌 기능 영상 데이터는 SPM-99 S/W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은 네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통제과제(1분), 인지 과제(1분)을 포함하며, 한 실험당 소요시간은 블록당 2분씩, 총 8분이었다. 감산법을 이용하여 공간 및 언어 과제에 대한 소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았고, 소뇌의 활성화 voxel 수를 이용하여 소뇌의 편측화 지수를 계산하였다. 두 인지 과제 수행 시 활성화된 소뇌 영역은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유사한 영역이었다. 두 인지 과제 모두 좌, 우소뇌 반구의 활성화 voxel 수가 비슷하여 소뇌 기능의 편측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인지적 접근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전도성 실어증자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s of Cognitive Language Intervention in a Subject with Conduction Aphasia: Case Study)

  • 이옥분;권영주;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119-129
    • /
    • 2001
  • Language is one aspect of cognition, along with attention and concentration, learning and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executive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cognitive approach on language expressive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This study used several tasks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ask, visual memory tasks, memory tasks, categorization, divergent thinking, self-monitoring and evaluate thinking.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by periodic probing of both trained and untrained familiar words in three tasks; picture naming, answering to questions and telling stories.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s both in trained and untrained wor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f this aphasic patient is amenable to this intervention, and that cognitive therapy approach can be usef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