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symbol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네오 팝아트 방식을 적용한 국가상징 패턴 개발 - 무궁화, 태극기, 국새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ymbolic pattern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 Focusing on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

  • 구본혜;김미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581-594
    • /
    • 2015
  • The emergence of pop art in the 1960s exerted a profound impact on integrating art into the real lives of the general public, which continues in the current area of culture of post-industrial society. Thus, this study aims to attempt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Korean images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p art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symbolic image. This study utilized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which are national symbolic images that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 through differentiation, universality, and visual formativeness. It then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pop art motives and patterns using national symbolic images from the standpoint of symbolism, mix-match, and repetitiveness fro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art. This study carried out pattern design by departmentalizing each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through scribbles composed of the following: Signs, pictograms, and childlike characters; drawing simplification for symbolism; a mix of the East and the West; a mix of subfashion and subculture for mix-match; the repetition of lines, characters, and icons; and the exaggeration and grotesqueness of characters and icons for repetitive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momentum for rais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attern design capable of achieving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ermanence and continuity of national symbols with the popular universality of pop art.

영화 '엑스맨(X-Men)'의 변신모티브에 나타난 파타피직스 분석 (Analysis on Pataphysics of the Metamorphosis in Film 'X-Men')

  • 장세영;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07-414
    • /
    • 2016
  • 영화 'X-men'은 변신(metamorphosis)을 주요 모티브로 등장인물과 배경의 시각효과를 만들어 내며 내러티브를 이끌어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신모티브가 슈퍼히어로 영화의 장르적 특징 중 하나로 '파타피직스(pataphysics)'의 가상성을 기반으로 구현되며, 재현된 새로운 가상성은 변신모티브 영화의 미학적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타피직스는 20세기 중반 유럽에서 시작되어 기존의 전통에서 탈피한 부조리와 사회에 대한 풍자 등의 파타포의 은유적 상징에 의한 고유의 특성을 가진 가상성으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팝아트,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예술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예술 장르의 작품에 나타난 파타피직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영화에 나타난 변신장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영화에 나타난 변신장면의 미학적 특성으로 슈퍼히어로의 외형과 내적인 힘의 양태를 시각화하며, 또한 기술적 가상성과 더불어 가상과 현실의 중첩으로 이루어진 파타피직스의 현전성, 혼종성, 탈정형성의 재현함을 고찰하였다.

현대 감성디자인에서의 사용자 감성체험 : 감성디자인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감성체험의 기본범주 및 관련요소 (User's Emotional Experience in the Contemporary Emotional Designs : Focused on the Analysis for Basic Aspects and Related Components of Emotional Experience for Design Programming)

  • 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84-200
    • /
    • 2013
  • 현대인들은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 있고 감성은 이런 질 높은 삶의 근본적인 요소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경제, 사회, 정치, 문화 전반에 걸쳐 감성을 반영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감성디자인은 이런 사회적 현상을 배경으로 한다. 본고는 감성디자인에 있어 '감성체험'이라는 인간중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디자이너가 감성디자인을 창출하고자 할 때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체화해야 하는 감성체험의 기본범주와 각 범주별 관련요소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고는 프로그래밍을 위한 감성체험의 기본범주를 첫째, 감성의 발생인자(사용자의 감성적 욕구), 둘째, 감성의 전달과정(사용자 관여 수준별 디자인접근법), 셋째, 감성의 체험모듈(사용자의 감성체험 경로)이라는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감성의 발생인자는 생리적 감성, 심리적 감성, 사회적 감성, 문화적 감성으로 분석되었고, 감성의 전달과정은 기호적 접근(소극적 수용자), 경험적 접근(적극적 수용자), 상호작용적 접근(소극적 창조자), 참여적 접근(적극적 창조자)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감성의 체험모듈은 지각하기, 느끼기, 생각하기, 행동하기, 관계짓기로 분석되었다.

실험 타이포그래피 관점에서의 부적의 조형성 (A Study on the Form of Charms with the Attributes of Experimental Typography)

  • 정성환;김민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99-108
    • /
    • 2001
  • 부적에는 고대의 다양한 기호나 그림, 원형문자가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쓰여지고 있다. 이는 체계화된 문자와 조합되어 다양한 표현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현재도 전통적인 방법이 고수되는 반면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인간의 감정과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 부적은 일반적 견해로 생각하는 실험 타이포그래피 만큼이나 논리적이며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다. 또한 문자가 가지고 있는 의미로 다른 기호나, 상형문자, 그림 및 유사단어로 표현하고 있다. 각각의 요소들은 상징적 심볼 및 연상성, 글의 해체성 등 다양성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타이포그래피의 실험적 성격을 더욱 실험적으로 표현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는 부적에서 배워야할 해체와 구성작업을 회화적 타이포그래피 관점으로도 눈여겨볼 점이 많았음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부적이 가지고 있는 조형적 특징을 실험 타이포그래피와 비교, 분류, 분석하여 부적이 가지고 있는 조형적 특징이 시각적 언어와 타이포그래피 표현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적 조형 문화로서 부적이 형태적 물성이 가지는 시각 이미지에 대한 재인식과 그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타이포그래피의 서구적인 고정된 틀을 벗어나 우리의 문화와 정서에 맞는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영역을 화장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수학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 과정 - 정당화 과정과 표현 과정을 중심으로 -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ustifica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n a Task of Spatial Geometry)

  • 이경화;최남광;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4호
    • /
    • pp.487-506
    • /
    • 2007
  • 본 연구는 14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영재들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를 소재로 한 공간기하과제를 해결하면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에 대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들의 다양한 반응들을 분석하였다. 정당화 유형에서는 부분적인 분석을 통해 형식화를 추구하는 학생과 비형식적이며 경험적인 정당화이지만 모든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전체적 정당화를 시도하는 두 반응간의 비교를 통해 비형식적 정당화의 유용성에 분명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수학적 표현에서 시각적 표현은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고,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기호적 표현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을 표현 속에 함축시키고 정제시켜 정교한 기호(Harel & Paput. 1994)를 창출하려는 욕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페이스북 일상담화의 감정 탐색 (Exploration of the Emotion for Daily Conversation on Facebook)

  • 황유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업로드, 공유하는 게시물 감정의 내용분석을 수행했다. 페이스북은 최근 사회적인 소통 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SNS의 한 종류로서 그 이용자수는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페이스북에서는 다양한 인간적 감정이 교류되고 있으며 사진, 동영상 등의 여러 콘텐츠 유형이 동원된다는 점에서 페이스북은 단순한 전자 게시판과 다르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특정한 미디어에 의해 매개되는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에서도 시각적 심볼 및 각종 비언어적 단서(non-verbal cues)들을 통해 풍부한 의미 전달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게시물 감정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탐색 했으며 콘텐츠 타입과 감정 간의 관계를 통해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각 유형의 콘텐츠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도 분석했다. 자료 수집은 페이스북 게시물을 수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사용했다. 페이스북 이용자 205명의 총 10,308개 게시물을 바탕을 내용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기쁨 감정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콘텐츠 타입에 따라서도 감정 분포의 차이가 확인됐다.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상태 콘텐츠에서는 의문의 감정이 부각됐고, 사진 콘텐츠에서는 사랑의 감정이 두드러졌으며 동영상 콘텐츠에서는 놀람 감정이 비교적 빈번했다.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했다.

패션아이템에 표현된 그래픽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Graphics Expressed on Fashion Items)

  • 나수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1-124
    • /
    • 2009
  • Since the graphics of fashion items as a means to deliver messages suggest practical sections of the society while showing individual ideas and identity, they have values of promotion to attract attention by manifesting an effective function during the process of delivering intentions and the signif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with graphics shown on T-shirts of casual wear out of all the fashion items and analyze the social messages reflected on them. Using the Barthes' system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distinguished symbolic functions and meaning among graphic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expression methods of the graphics as the denotation of initial meaning and connotation of secondary meaning. Each casual brand has led the sale of casual markets by appealing consumers with graphic items with characters printed such as various kinds of animals and symbols or lettering printed such as hieroglyph and logos, as various expressive methods and social significance as well as a effective communicative means of graphics. As examined above, graphics expressed on fashion items have an informative characteristic and a persuasive characteristic in the aspect of contents, which has a single value as a communicative characteristic. Those characteristics have developed into the fashion graphic actively reflecting a designer's conviction, values, feelings and identity by acting on social issues and publicness. That is, in the age of information, effective messages delivered through the fashion graphic to the public hav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atmosphere of visual culture while maximizing the role and function as a social significance.

  • PDF

서양 역사복식에 나타난 과장적 헤어스타일의 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Western Costume)

  • 이연희;성광숙
    • 복식
    • /
    • 제65권8호
    • /
    • pp.110-12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a phenomenon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history of Western custom through publications related with Western costume and research papers. By adopting the criteria of Delong, M. R. to analyze visual forms shown by interaction between human body and costume worn over the body, it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In addition, it infer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amined phenomenon focusing on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ostume socio-psychological precedent studi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applied by analysis criteria of Delong, M. R. were in pursuit of the emphasis style. This was clearly and intensively recognized by forming spaces for mostly closure style, part style, three dimensional style, determinate style, and space separation style.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hair and ornamentations, 'precedence of ornamentation' was pursued as ornamentations were recognized earlier than the hair itself. It means associative meanings of the surface effect were accompanied by emotions of 'intensiveness' and the pursuit of the attractive style. A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there were many cases of pursuing 'continuity' mutually and visually by connecting the hairstyle and the costum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were inferred as 1) the expression of the sprite of the age(i.e. art, culture, politics, society, ideology, religion), 2) symbols of wealth, class, authority, and excellence, 3) pursuit of addicted desire to ornament, and 4) harmony through continuity with costume. This study verified that hairstyle was connected as a part of costume, or formed as a way to express deeper human psychology beyond just a part of a costume. It was also confirmed that hairstyle was an expressive method to express the spirit of the age, such as art, culture, society, religion, ideology.

한국 고건축 양식을 응용한 반(盤) 디자인 (A Study on Soban(dining table) Design Applying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이종수;김명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9-86
    • /
    • 2014
  • Furniture can be a product of design and is considered a form of a decorative art. Architectural works are often perceived as cultural symbols and as works of ar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form and wooden furniture were improved by adding up an organic coordination in the interior space. Furniture adds beauty of life by being coordinated with the interior space with its particular characteristic in the form of architectural structure. Architecture and furniture are also being improved in a more natural and diverse way. Therefore, in this research, from the choice of the locati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considered to be coordinated with the nature, and the technical skill is lessened to express its beauty. There is a presence of elegance yet robust combination of simplicity and beauty. In additi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wooden furniture are completely expressed structurally with coordination of the outstanding design and solid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rifty living in the Confucian ideas which influenced the Korean traditional society.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aeheulrim pillar, has worked as motive because of its visual comfort caused by optical illusion and formative elements. The small portable dining table (Soba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unique tradition and the sensitivity of Koreans has been reinterpreted through the motive in this research. As a result, it has shown the possibility as the design element to change the aesthetic structure. In the modern society, cultural identity plays a vital role.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reference for the new concept of furniture - making. It could be a combination of modern people, lifestyle and living space by creating the Korean image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 PDF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I) -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Aesthetic Images in Men s Bodies and Fashion(I) - Focused on Eroticism in Men s Fashion-)

  • 이민선;김민자
    • 복식
    • /
    • 제51권1호
    • /
    • pp.163-17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eatures of eroticism expressed in men's fashion, to explain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xts which engender eroticism and to analyze in what way eroticism is portrayed in men s fashion in this context. Eroticism as the metonymy of forbidden sexual desire, has been embodied mostly in visual forms such as picture and photo. From a psychoanalytic view, the context in which eroticism is formed can be explained by primary narcissism and fetishism. Primary narcissism is the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the self in which the subject who is admiring and the object of admiration are one and the same. Accordingly, in order to give rise to eroticism, both subject and object have to exist. Fetishism, the metonymy of castrated penis, is also one of the factors to produce eroticism. Metaphorically seen as a woman who has a penis, a man who dresses in the same manner as a woman dresses can be a source of eroticism to gays. From a sociological view, the context in which eroticism is fostered depends on the dynamic relations among social powers. In these relations, who is a subject or who is an object has been continuously changing. In the Post-modern culture appearing in the late 20th century, power begins to take various forms, and gays and women who had never been subjects begin to make man an object of eroticism. The other point is that social morality, ignoring desire itself, objectifies sexual desire and seeks to remove It by exchanging it for objectified symbols. The design elements provoking eroticism in men s fashion are exposure and decoration. In particular, models in exposure and decorative fashion have been objectified through the methods of fragmentation rather than showing the whole figure or removing a person s individuality or wi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