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perception interven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4초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ortable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System on the Visual-perceptu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Pilot Study)

  • 전민재;문종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603-610
    • /
    • 2019
  • 본 연구는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 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12명의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6명씩 할당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 또는 대조군의 훈련을 하루 30분, 주 5회, 4주 동안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보편적인 인지훈련을 수행하였다. 시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MVPT-3(Motor-Free Visual Perception-3)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MVPT-3 total score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MVPT-3 total score와 visual short-term memory of sub-item of MVPT-3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지 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그룹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Effect of Group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Intervention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전주영;박진희;김건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수행기술에 인지 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그룹 중재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연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뇌성마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6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실험연구 ABA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A) 3회기, 중재 기간(B)은 10회기(주 1회, 60분/회), 재기초선 기간(A') 3회기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한 평가로는 운동발달평가, 시지각 평가, 일상생활 동작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매회기의 수행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의 질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3명의 대상자 모두 3가지 공통 목표 활동(양치질하기, 색종이 접기, 옷 입고 벗기)에서 작업수행의 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시지각, 대 운동과 소 운동, 일상생활 동작 평가 점수도 향상되었다. 결론 : CO-OP 그룹 중재가 전 학령기 및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학업 전 기술 및 작업수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ye Movement Program Consisting of Saccadic Eye Movement and Pursuit Eye Movement Improved Visual Memory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rson: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 Park, Yongnam;Bae, Youngsook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68-1773
    • /
    • 2019
  • Background: Aging reduces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visual memory (VM) and visual discrimination (VD). Since common cortical networks subserve eye movement and attention, voluntary eye movement may improve visual attention. Visual selective attention was major role for memory, and visual memory and visual attention are intimately related. Objective: To identify the improvement in VD and VM, after implementing the eye movement program consisting of saccadic eye movement (SEM) and pursuit eye movement (PEM) in the institutionalized healthy elderl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sample of 36 participants, and the mean age was 79.03 years (range 76~84 year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6) and control group (n=2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M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twice daily at the same time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3 minutes, and it consisted of SEM and PEM. The target's moving frequency was set at 0.5 Hz. VM and VD at the baseline and post-intervention were measured using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 (MFVPT-4). Results: VM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1).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VD. Conclusion: The eye movement program consisting of SEM and PEM increased VM more than VD. Therefore, eye movement program was feasibl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VM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rsons.

삼음교[SP-6]지압이 여대생의 월경통, 하복부 곡골혈[CV2] 피부온도와 체온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P-6 Acupressure on Dysmenorrhea, Skin Temperature of CV2 Acupoint and Temperature, in the College Students)

  • 전은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343-135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the SP-6 acupressure on dysmenorrhea, the skin temperature of the CV2 acupoint and oral temperatures in the college student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 to August 31, 2002. A total of 58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ticipated in the study. Both groups were pretested before the intervention for three variables', the intensity of dysmenorrhea, skin temperature of the CV2 acupoint and oral temperature. Then, SP-6 acupressure was provided for 20 minutes for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Visual Analogue Scale developed by Johnson & Rice(1974), Menstrual Attitudes Questionnaire Scale developed by Brooks-Gunn & Ruble(l980), and a Stress scale developed by Cheun and Kim(l991).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dysmenorrhea 30minute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intens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temperature of the CV2 acupoint and oral temperature 30minutes after the interven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SP-6 acupressure reduce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dysmenorrhea.

발달장애의 수예공작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고찰 (A Look at the Need for a Crafts program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남순;김동현;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9-89
    • /
    • 2011
  • 환경적 오염 및 산업화 등으로 인한 직 간접적인 문제는 장애인, 급 만성질환자 등의 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아동의 수도 성인과 비슷한 비율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달장애는 전체 아동의 약 5~10%정도에서 발생되는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발달장애 아동에게 적용하는 치료로는 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미술치료 등이 있다. 시지각이란 시각 기관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지하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행동들이 시지각과 연관된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은 충분한 시지각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상과제 수행 면에 많은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아동 작업치료 영역에서 시지각에 대한 평가와 치료에 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 중에는 감각통합 훈련,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수예공작 프로그램 등이 있다. 특히, 수예공작은 주로 손을 사용하여 무엇인가를 만드는 대표적인 활동으로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다. 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수예공작 활동을 통해 뇌기능을 사용하고 그 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소근육운동 또는 세밀하고 정확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활동을 수행할 때 시지각 기술이 기반이 되기 때문에 수예공작을 통한 손 기능의 반복적인 사용은 두뇌기능을 발달시켜 시지각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임을 기대 할 수 있다. 이것은 수예공작이 분명한 치료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작업치료 영역에서 시지각의 발달과 시지각의 장애에 대한 중재가 큰 영역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발달장애 아동의 수예공작 프로그램 수행의 필요성을 소고하고자 한다.

  • PDF

치료사에 의해 적용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가정에서 시행된 경피신경전기자극이 경부통 환자의 통증과 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NS by Physiotherapist versus Home based TENS Intervention to reduce Pain and Improve Disability in Patients with Mechanical Neck Disorder)

  • 박재명;양성화;이준용;이재민;정민근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6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NS by physiotherapist versus home based TENS intervention to reduce pain and improve disability in patients with mechanical neck disorder.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elected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ubacute or chronic neck disorders without neurological damage, during the period of four weeks, three times a week, and thirty minutes for one session, 15 patients received TENS by physiotherapist. 15 patients received home based TENS intervention. The primary outcome was pain intensity measured in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VAS). The second outcome was Neck Disability Index to patient's disability. Results: The change in the pain perception degre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p<0.05). TENS by physiotherapi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 in disability, but, Home based TENS intervention group is not. TENS by physiotherapi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and patient's disability than the home based TENS intervention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received TENS by physiotherapist was effective in reducing pain, improving disability for mechanical neck disorder patient, physiotherapist' knowledge need to improve patient's pain and disability.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distraction and counter-stimulation on dental anxiety and pain perception in children

  • Nunna, Mahesh;Dasaraju, Rupak Kumar;Kamatham, Rekhalakshmi;Mallineni, Sreekanth Kumar;Nuvvula, Sivakumar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5호
    • /
    • pp.277-28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virtual reality (VR) distraction and counter-stimulation (CS) on dental anxiety and pain perception to local anesthesia in children.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single-blinded interventional clinical trial with a parallel design was used. Seventy children 7-11 years old who required local anesthesia (LA) for pulp therapy or tooth extraction were recruited and allocated to two groups with equal distribution based on the intervention. Group CS (n = 35) received CS and Group VR (n = 35) received VR distraction with ANTVR glasses. Anxiety levels (using pulse rate) were evaluated before, during, and after administration of local anesthesia, while pain perception was assessed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Wong-Baker faces pain-rating scale (WBFPS), visual analog scale (VAS), and Venham's clinical anxiety rating scale (VCARS) were used for pain evaluation. Student's t-test was used to tes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test the mean difference of pulse rat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pulse rates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while children in the VR group had a higher reduction (P < 0.05), and the mean VCARS scores were significant in the VR group (P < 0.05). Mean WBFPS scores showed less pain perception to LA needle prick in the CS group while the same change was observed in the VR group with VAS scores. Conclusions: VR distraction is better than CS for reducing anxiety to injection in children undergoing extraction and pulpectomy.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in Cognitive Function and Research on the Ability to Their Daily Living

  • Park, Seung-Kyu;Yang, Dae-Jung;Kang, Jeong-Il;Kim, Je-Ho;Jeong, Dong-j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5호
    • /
    • pp.375-38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aimed at stroke patients 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f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Gwangju, Jeonnam including the attention group (group I), memory group (group II), and visual perception group (group III), who were randomly placed in each of a 10 by one problem solving group (group IV). The PSSCogRehab was applied to all subjects who underwent eight weeks once a week after 20 minutes in each group by strengthening mediation 10 minutes 30 minutes total, with a five minute break in the middle. Result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security and inter-group differences before intervention, and post-test results in the memory training group II, the intervention group I, III, IV and more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to it was effective. Conclusion: The results of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measuring cognitive function and ADL in patients with stroke in accordance with the group I, III, and IV group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to IV show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족욕요법이 수지접합 환자의 수술 후 통증, 스트레스, HRV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ot Bath Therapy on Post-operation Pain, Stress, HRV in Hand Replantation Patients)

  • 윤순영;권명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t bath therapy on post-operation pain, stress, HRV of hand replantation patients. Methods: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an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 post test repeated measure design were employed for this experiment. 47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25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foot bath program had foot bath 11 times for 2 weeks; 22 subjects of control group didn't have foot bath. Pain was digitized numerically by using Visual Analogue Scale, stress was measured by stress perception questionnaire, and HRV was measured by using Cnopy9 (IEMBIO). Res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7.0 Win program. (1)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spect of pain (p<.05). (2)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spect of stress (p<.05). (3)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spect of HRV (p>.05). Conclusion: Foot bath program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ain loss and perception of stress reduction. But it wasn't effective for HRV.

20세기 회화공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the body in contemporary painting space)

  • 이금희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109-152
    • /
    • 2007
  • 20세기 미니멀리즘으로부터 시작된 후기미술은 그린버그적인 시각의 순수성과 자율성에 대한 비판으로 시각예술에서 재현과 시각 중심주의에서 비롯된 형식논리를 문제시하게 되고, 시각을 다른 감각들이나 신체, 삶 현실, 역사 등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각(Vision) 혹은 시지각(Visuality)을 신체와 결부시켜 시각의 신체성의 가능성을 회화 공간 속에서 드러난 표현을 통해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성을 검토하여 지각과 그 회화적 표현에 있어서의 신체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신체성은 남성적 시각중심주의에 대해 페미니즘에서는 여성적 신체성, 즉 물질성, 촉각성 등의 공감각적 감각의 세계를 강조하며, 후기 미술의 파편적 특성은 통일성과 게슈탈트를 지향하는 시각중심주의에 대한 해체를 지향하고 있고, 참조와 파스티쉬 역시 시각의 순수성과 통일성을 부인하는 경호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정을 중시하는 프로세스 아트가 성행한다든지, 무정형 (formless), 혹은 앱젝트 미술(Abject Art)이 등장한다든지 하는 것은 바로 시각중심주의를 허물고 거기에 신체성, 즉 행위와 물질성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지미술이나 설치미술 등은 적극적으로 관람자의 신체의 개입을 요구하게 되고, 실제적 공간과 환경 속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지각을 경험하게 한다. 이렇듯 현대미술은 의식적 공간보다는 실제 공간으로, 순수기호적인 공간보디는 신체적 느낌의 공간으로, 눈이 만들어낸 공간보다는 손의 행위와 물질이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통일적 공간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공간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거리를 두는 공간보다는 신체적으로 상호 얽히는 공간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지각과 신체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해 준 사람은 프랑스의 현상학자 메를로 퐁티(M. Merleau-Ponty)이며, 구체적인 작업으로 길을 예시한 사람들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이다. 메를로 퐁티는 후설과는 다르게 세계인식의 근원적 토대로써 명증한 의식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지각과 그 배경으로서 신체를 내세웠는데, 이는 할 포스터 등이 말하듯 미니멀리즘의 현상학적 배경이 되면서 또한 모더니즘의 논리에 반기를 드는 후기미술에 적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 준다. 메를로 퐁티의 $\ulcorner$지각의 현상학$\lrcorner$은 지각의 근원성과 그 신체적 배경에 관한 중요한 이론으로 지각에 있어서 신체의 작용과 특징에 대한 논의는 시각예술에 적용될 때 지각의 신체론의 회화적 함의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메를로 퐁티의 존재론적 회화론은 신체적 표현성과 화가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목되었으며, 그는 세잔의 회화를 살의 존재론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회화의 신체적 존재론적 측면 역시 검토될 것이다. 스텔라의 경우, 7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 전기 작업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주는 것, 이를테면 틀의 해체, 탈중심적 공간표현, 역동적이며 혼합적인 표현, 중첩에 의한 실재 공간의 허용 등이 지각의 신체성을 용인하는 쪽으로의 전향이라고 판단되었으며, 베이컨의 경우, 회화적 구조, 즉 형상(figure), 삼변화, 아플라, 우연에 의한 제작방식 등이 메를로 퐁티의 살(la chair)적인 상호교착(chiasme)의 논리를 잘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 혹은 신체성의 개입에 대한 변화를 확언하기 위하여 지각과 신체의 위치를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후기미니멀리즘, 그 이후의 미술이라는 사적인 흐름의 큰 틀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를 지각과 신체에 관한 담론과 연결시켰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지각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는데, 지각심리학 중에서도 지각의 신체성에 대한 과학적인 논의를 제공해주는 형태심리학적 논의들을 다루고, 이어 형태심리학을 주로 시각예술의 차원에서 예시해 보여주었던 루돌프 아른하임의 논의를 다루었다. 또한 신체와 시지각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사례로, 신체지각적인 요소를 적극 도입하고 있는 후기 스텔라와 베이컨의 회화를 중심으로 시각의 신체성의 문제를 예시하며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체성과 관련하여 봄의 문제를 규정지으려는 작업들, 신체의 축적으로서의 신체의 역할, 신체의 배경으로서의 현실적, 일상적 삶과의 결부로부터 회화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위상변화를 확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