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Stimulus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5초

무채색 체크무늬 셔츠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Images of Checked Pattern Shirts in Achromatic Color)

  • 최수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9-40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al images of shirts according to coloration and the interval of checked patterns. The experimental stimulus and questionnaires for scaling response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timuli were 12 color pictures, in which the gender, coloration(WG: white+gray, WK: white+black, GK: gray+black), and interval(0.5 cm, 1.5 cm, 3.5 cm, 5.5 cm) were manipulated. The 7-point rating scale was used for evaluation of the visual image. Data were obtained from 144 male college students and 144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Gyeonggi, Gyeongnam, Seoul, Gwangju, Daegu, and Busan on December 2009. For data analysis, ANOVA and the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visual images for shirts according to the coloration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appeal, youth, and modesty. Gender was the main factor when looking at attractiveness. Coloration had the main effect on appeal, youth, and modesty.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coloration on attractivenes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coloration and interval on modesty.

인간 시각 감성에 의한 뇌파의 Wavelet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Wavelet in EEG Signals relataed to Human Visual Sensibility)

  • 김정환;황민철;김진호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77-481
    • /
    • 1997
  • We are exposed to the various external stimuli input from the environment, which cause emotional chang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i. Unfortunately, there are noquantitative results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sensi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sign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EEG signals evoked by visual stimul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waveform may provide the significant information regarding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s of the subject. Seven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devised with eleven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are control and ten different types of visual stimulation based on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s). Seven subjects were used to obtain EEGs while introducing visual stimulation. Wavelet transformat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EEG signals. Mos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 were pairely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constructed signals at the decomposition level revealed the different energy value on the EEG signals. Also, general patterns of EEG signals in rest state compare with negative and positive stimulus were found.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to estabish an algorithm which distinguishes psychophysiological states of the subjects exposed to the visual stimulation.

  • PDF

의상(衣裳) 디자인의 줄무늬(Stripe Pattern) 연구(硏究) - 20세기(世紀) 이후(以後) 서양(西洋) 여성(女性) 패션을 중심(中心)으로 - (Study of Stripe Pattern Appeared in Apparel Design - Focusing o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

  • 김주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4호
    • /
    • pp.99-11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types of stripes pattern and to review its' design expression by analysing stripe pattern and visual effect appeared i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As regards the visual effect of stripe pattern, on the basis of the stripe pattern's direction laid out, we made an investigation of it by classfying it into verticality, horizontality, slant line and mixture of them according to its' gap and thickness. Here are the 4 features of the stripe pattern appeared in modern fashions. The first, graphic variation based on diverse variation and r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between other motives is being onthe rise as a new expression. The second, colorful stripes of Missoni can be exanpled as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of color. The third, as regards the trend of mismatch in pattern, coordination through mismatch can produce experimental and post-modern image. The fourth, as for the expression of draping effect, we find that stripe pattern can maximaze visual effect through draping by inducing visual stimulus, as well as can express human body in a beautiful manner.

d-Amphetamine 및 Chlorpromazine이 흰쥐의 정위반응(定位反應) 및 일반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mphetamine and Chlorpromazine on the Orienting Response and General Behavioral Activity in Rats)

  • 정인성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9
    • /
    • 1974
  • To see if the treatments of d-amphetamine and chlorpromazine have any influence upon the orienting response and general behavioral activity, 3 groups of male Holtzman rats were prepared, namely d-amphetamine animals (1.0 mg/kg.i.p.), chlorpromazine rats (1.0 mg/kg.i.p.) and the physiological saline control animals. The general behavioral activity was examined by visual scanning using the time-sample method in the adaptation period of orienting response. The occurence of orienting response and its rate of habituation were evaluated by observing cessation of ongoing activity in response to a sound stimulus (1,000 Hz, 70 db & 0.1 sec), or turning of head toward the source of stimulus in 20 trials. Attention shift from sound to light stimulus was also tested in 10 trial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behavioral activity of d-amphetamine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however, the chlorpromazine animals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in activity. 2. The d-amphetamine group showed the occurence of orienting response to sound significantly more often than that of placebo controls. However, the chlorpromazine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fewer orienting response than the placebo group did. 3. The d-amphetamine group displayed no clear out habituation to the orienting response following the repetition of trials, though the placebo and the chlorpromazine groups demonstrated apparent habituation to the response. 4. The three animal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with regard to shift of attention from sound to light stimulus. It is inferred that the d-amphetamine tends to increase general activity has a definite facilitative action of orienting response and a inhibitory influence upon the habituation of the latter response. On the contrary, the chlorpromazine tends to decrease general activity, has a inhibitory action of orienting response and facilitatory action of habituation of the response.

  • PDF

움직임 분석 기반의 시각인지 모델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Video Coding Method Using Visual Perception Model based on Motion Analysis)

  • 오형석;김원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23-2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인간 인지 기반 비디오 코딩을 위한 비디오 처리 방법을 개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율-왜곡(rate-distortion) 최적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시, 공간 해상도, 지역적인 움직임 이력(history), visual saliency에 의한 인간 시각 인지를 고려한다. 이러한 인간의 인지적인 효과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패턴을 모델링하고 Hedge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는 기법을 개발한다. 그 다음, 제안한 움직임 패턴과 기존의 visual saliency와의 결합을 통하여 인간 시각 인지 모델을 수립한다. 제안된 인간 시각 인지 모델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foveation filtering 방법을 확장한다. 시각적 자극이 덜한 지역만을 부드럽게(smoothing)하는 기존의 foveation filtering 기법과 비교하여 제안하는 foveation filtering 기법은 인간 시각 인지 모델에 따라 지역적으로 부드럽게 또는 지역적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각적 자극이 덜한 지역에서 줄여진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시각적 자극이 큰 지역에서 사용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전반적인 비디오 화질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인지하는 화질의 품질을 12%~44% 향상시킨다.

사운드에 반응하는 시청각적인 인터랙티브 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dio-Visual Interactive Art interacting with Sound -Focused on 21C Boogie Woogie)

  • 손진석;양지현;김규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329-346
    • /
    • 2014
  • 미술은 한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만들어낸 시대적 산물이다. 최근의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예술에서 표현을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소리나 물리적 지각 반응을 예술 창작의 한 요소로써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 소리, 빛, 그리고 다양한 조형 요소들 간의 재 융합이나 관객의 물리적 반응의 결합을 통해서 작품과 관객과 상호소통적인 공감각적이고 시지각적인 환경을 창출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소리에 반응하는 다양한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는데, 주로 관객이나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물리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작업에 초점을 두고 시지각적 관점에서 소리의 반응에 따른 데이터의 시각화와 작품의 이미지와 관객의 반응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외부의 소리로부터 생성되는 물리적 데이터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이나 외부 소리의 고저(pitch), 음량,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서 데이터 분류가 가능하다. 본 연구자는 관객의 음성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통해서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여 발광하는 LED기반 시각화 연구를 통해서 최근 새로운 미디어아트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물리적 데이터들을 빛(LED)의 환영적 특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우연하게 관객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시각이미지의 연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는 사운드에 반응하는 시지각적인 인터랙티브 작품을 구현해보기 위하여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Broadway Boogie Woogie, 1942~3)작품을 모티브로 삼았다. 몬드리앙은 회화의 본질적인 표현 요소들을 단순화하는 작업으로 불필요하다고 생각된 요소들을 하나씩 제거하여 색, 수직선, 수평선으로 대상을 추상화시킴으로써 그 대상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몬드리앙의 이러한 단순화된 구성을 외부의 소리 자극을 단순화하여 빛(LED)의 요소로 재현하는 시각적 표현의 메타포로 사용하였고, 몬드리앙의 정적 구성에서 빛과 소리의 공감각적인 표현을 극대화하는 동적 구성으로의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을 구현해 보았다.

화면 시차로부터 지각되는 3D 컨텐츠의 입체시 깊이 (Stereoscopic Depth from 3D Contents with Various Disparity)

  • 감기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6-86
    • /
    • 2016
  • 연구에서는 입체시 측정방법과 양안시차에 따라 지각되는 입체시 깊이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직접비교 조건에서는 깊이를 평가할 가상자극과 깊이 평가에 사용된 실제 LED들이 모두 정면의 동일 공간에 제시되어 있었고, 간접비교 조건에서는 가상자극은 정면에 제시되었지만 깊이 평가에 사용된 LED들은 45도 오른쪽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직접비교 조건에서는 동일 공간에 제시된 두 자극의 깊이를 비교하면서 대응시킬 수 있었지만, 간접비교 조건에서는 가상 자극의 깊이를 평가한 후 오른쪽 방향에 있는 LED를 이용하여 깊이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이 들 두 측정 방법에서 지각되는 입체시 깊이가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 부가적으로 관찰자들의 입체시력에 따라 지각되는 깊이가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직접비교 조건에서 지각된 깊이는 간접비교 조건에서 지각된 깊이보다 더 기하학적으로 예측된 깊이와 유사하였다. 또한 입체시력이 좋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기하학적으로 예측된 깊이와 유사한 깊이를 지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양안 시차를 가진 자극들이라도 이들 가상자극들만 제시되는 것보다 현실자극과 가상자극이 동일 공간에 제시될 때 지각된 깊이가 더 크게 지각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양안시차를 가진 자극만 제시되는 가상현실에서 지각되는 입체 자극의 깊이보다 현실영상과 가상영상이 함께 제시되는 증강현실에서 보다 큰 깊이가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림의 부호화 과정과 신경기제 : fMRI 연구 (Neural Substrates of Picture Encoding: An fMRI Study)

  • 강은주;김희정;김성일;나동규;이경민;나덕렬;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3권1호
    • /
    • pp.23-40
    • /
    • 2002
  • 본 연구는 fMRI를 이용하여 정상인에 있어서 자극 유형, 특히 그림 자극의 부호화와 관련된 두뇌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can 1에서는 그림 자극의 부호화 과정에 관여하는 두뇌 영역을 화인하기 위하여 어의범주 판단 과정 중에 그림과 단어에 대하여 비교 관찰하였으며 Scan 2에서는 그림자극에 대하여 그림 명명과제와 어의범주 판단과제를 비교하여 과제 유형에 따른 그림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두뇌 활성화 영역을 연구하였다. 피험자는 어의범주(인공물/자연물)에 따라 마우스를 눌러 반응하거나(Scan 1) 그림명명이나 범주 소속 여부를 속으로 말하도록(subvocal response)(Scan 2) 요구되었다. 자극의 유형과 무관하게 부호화 중에 좌측 전전두 영역 양측의 두정엽, 그리고 양측의 고차시각 피질 등이 공통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그림보다 단어의 부호화에는 좌측 하 전전두엽, 우측 전측 전전두 영역, 양측의 도(insula), 좌측 두정-측두엽 등 광범위한 언어/개념관련 두뇌 영역에서 더 높은 활성화가 발견되는 반면, 그림의 부호화에는 양측의 고차 시각 영역과 해마방화(parahippocampal gyrus) 영역에서 더 높은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동일한 어의판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도 단어는 어의적/언어적 처리가 그림은 지각적 정보처리 및 novelty 관련 정보처리가 서로 다른 해부학적인 영역에 의하여 매개됨을 의미한다. 그림 명명과제나 어의범주 판단과제 모두를 속으로 말하는 수행(Scan 2)은 배측 하 전전두 영역, 즉 Broca영역의 활동 증가를 야기시켰으며, 특히 명명과제 수행에는 어의범주 판단과제를 수행할 때에 비하여 양측의 시각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상의 명칭을 인출하는 과정에 고차 시각정보 처리가 더 많이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시청각 동영상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ANS responses in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 이영창;장은혜;정순철;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71-480
    • /
    • 2007
  • 부정적 감성은 인간의 생존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 동영상자극을 이용하여 부정적 감성을 유발하고 각 부정적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성인 남녀 30명(22.6세${\pm}$1.24, 남: 15명, 여: 1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2분 길이의 동영상 자극을 실험자극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참여자가 선정된 동영상자극을 시청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EDA), 심전도(ECG)가 측정되었고, 하나의 자극제시가 끝난 후에 실험참여자들에게 각 감성자극에 의해 경험되는 감성에 대한 심리평가를 실시하였다. 심리반응 분석결과, 각 부정적 감성 자극은 표적감성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신경계 반응분석결과, 각각의 감성자극들은 서로 구분되는 자율신경계 활동패턴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공포자극은 다른 유형의 부정적 감성자극보다 피부전기활동과 심전도의 지표들에서 높은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부정적 감성에 대한 자율신경계 반응을 세분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레트로 로맨틱 패션의 시각적 평가 (Visual Evaluation of Retro-Romantic Fashion)

  • 조말희;이명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3호
    • /
    • pp.523-53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dimensions of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costume details of the retro romantic fashion and to research on the costume details and the visual evaluation by evaluators' gender, age, and major, and on their preferences. Quant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pictures, 10 costume detai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ques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All 446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or near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which included: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visual evaluation of retro romantic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costume detail evaluation, five factors including attractiveness, decorativeness, cuteness, retro, and femininity surfaced.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women rated decorative, cute, retro,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higher than men di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in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depending on costume details and evaluators' gender. Fourth, subjects majoring in fashion valued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of the stimulus over non-fashion majoring subject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costume details depending on gender.

  • PDF